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리눅스 레드헷 네임서버 만들기

 
레드헷리눅스 8.0 커널 2.4.18-24 기준으로 설명할 것이며,
원론적인 설명을 하지 않고 방법만 설명하겠습니다.
(기초를 모르고 흉내만 낸다면 응용을 하지 못합니다. 꼭 기초를 쌓기를 바랍니다.)
bind 9.x 를 사용하겠습니다. 레드헷 리눅스 8.0에 들어있는 패키지를 그대로 사용해도 됩니다.
네임서버를 만드실려면 반드시 고정IP가 있어야 합니다.
참고로 한국통신 Only 상품을 사용하면 월7만원으로 고정IP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자신의 시스템에 bind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십시요.
# rpm -qa | grep bind
# rpm -qa | grep "^caching"
필요한 패키지는 bind-9.x 와 caching-nameserver 입니다.
설정에 필요한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etc/resolv.conf
/etc/named.conf
/var/named/각 존파일들..

vi 편집기로 /etc/named.conf 파일을 엽니다.
제일 윗 부분에 options 에서 네임서버에서 사용할 zone파일이 저장된 디렉토리경로를 지정합니다.
( /var/named )
그 다음 zone "." IN { } 부분이 있는데 손댈필요 없습니다.
최상위 네임서버에 대한 파일이름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file "named.ca" test.com
IP가 192.168.0.11 로 나와야 합니다.
> www.test.com
제대로 되었다면 이제 도메인을 등록한 곳에 접속해서 네임서버를 자신의 컴퓨터로 등록합니다.
도메인 네임 : test.com
1차 네임서버 : ns.test.com IP: 192.168.0.11
2차 네임서버는 없으므로 그냥 비워두셔도 됩니다.
분명히 네임서버는 공인IP가 있어야 가능합니다.
그리고 모든 웹 서비스는(http,ftp,mail 등등) 네임서버에서 기초를 하고 있습니다.
네임서버가 허술하면 웹서비스는 엉망이 되고 말것입니다.
네임서버에 대한 내용은 기초부터 확실히 알아두시는것이 좋습니다.
그냥 참고만 하라고 적었습니다.
즐건 넷 ...



2003-02-15 10:06:21
1894 번 읽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