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CMOS 사용법 배우기-1

 
CMOS 셋업이란 무엇인가》

컴퓨터, 계산은 빨리 하지만 추리력이나 상상력, 적응력은 없습니다. 그
렇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를 그냥 케이블에 연결하고 "나머지는 네가 알아
서 어디 해봐"해도 제대로 인식을 하지 못합니다. 사람이 일일이 모두 지
정해 주고 닦고 조이고 기름쳐야(-_-;) 겨우 제 역할을 하게 되죠. 지금
PnP라는 시대를 맞이하여 조금 나아지기는 하였지만 거의 그자리라고 볼
수밖에 없습니다.

CMOS 셋업이란 바로 컴퓨터에게 뭔가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어떤 하드 디
스크가 장착되어 있는지, VGA 카드를 사용하는지 아니면 흑백 허큘리스
카드를 사용하는지... 이런 것들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마다 모두 다
르기 때문에 공장에서 미리 일괄적으로 고정할 수가 없죠. 사용자의 손을
통해서 CMOS에 저장하고, 컴퓨터는 그 CMOS의 내용을 읽어서 자신에게 어
떤 주변기기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어떻게 제어를 해야 할지 알게 됩니다.

컴퓨터를 완제품으로 구입한 분은 이미 CMOS 셋업이 잘 되어 있을 것입니
다. 따라서 거의 신경을 쓰지 않죠. 하지만 하드 디스크 등을 추가로 장
착하거나 아니면 컴퓨터를 자신이 조립하여 사용하는 분들은 필히 CMOS
셋업이 필요합니다. CMOS의 설정값을 모두 지워 버리는 바이러스도 있는
데 그 경우도 필요하겠죠.

보통 아래와 같은 경우에 CMOS 셋업이 필요합니다.

- 하드 디스크를 추가/변경할 경우
-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추가/변경할 경우
- 흑백 디스플레이 카드를 사용하다가 VGA 카드로 변경할 경우
- 부팅 순서를 바꾸고 싶은 경우 (부팅 디스켓으로 부팅하려 할 때)
- 부팅시 램 검사를 4번이나 하는 경우 1번만 하게 하고 싶을 때
- 윈도 95나 도스 등의 운영체제를 새로 설치할 경우
- 이상하게 모뎀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 어떤 원인에 의해 CMOS 셋업의 설정치가 모두 지워진 경우

8비트나 XT 시절의 컴퓨터에는 CMOS 셋업이라는 것이 없었습니다. 주변기
기를 바꿀 때마다 사용자는 일일이 본체를 열고 딥스위치나 점퍼로 조절
해야만 했습니다. AT부터 비로소 CMOS 셋업이 생겼는데 지금과 달리 초창
기에는 디스크에서 파일 형태의 셋업 프로그램을 실행하였습니다. 나중에
는 CMOS 셋업 프로그램을 바이오스에 내장하고 부팅할 때 실행하는 형태
가 보편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CMOS는 반도체의 하나로 `시모스`라고 읽습니다. 이것이 사용되는 이유는
다른 반도체 소자에 비해 전력의 소비가 극히 적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컴퓨터의 전원을 내려도 여기에 저장된 것은 지워지지 않는데, 그것은 작
은 전지로 전력이 공급되기 때문이죠. 예전에는 조그만 원통 모양의 충전
지를 사용했는데 요즘은 전자 계산기나 전자 시계에 들어가는 것과 비슷
한 모양의 전지를 사용합니다.

만일 이 전지를 제거하거나 전지의 양쪽을 잠시 동안 단락하면 CMOS에 저
장된 모든 데이터는 사라집니다. 또 실수로 본체에 나사 하나가 굴러 다
녀도 전지가 쉽게 방전해 버려 설정값이 모두 지워지는 경우가 있죠.



《 3. 바이오스(BIOS)와 CMOS 셋업 》

바이오스를 설정한다거나 바이오스 셋업이라는 표현을 상당히 많이 사용
합니다. 심지어 컴퓨터 전문 필자들도 그렇게 쓰고 있는데, 그만큼 바이
오스와 CMOS의 구분을 잘 못하고 혼동하여 쓴다는 얘기가 되겠죠.

이 바이오스는 Basic Input/Output System의 약자로, 메모리, 디스크, 모
니터와 같은 주변기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관장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프
로그램은 프로그램이지만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아래아 한글과 같은 프로
그램은 아니고, 컴퓨터의 하드웨어에 가장 접근되어 있는 함수들의 집합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만일 이 바이오스라는 프로그램이 없다면 우리는 도스나 윈도 95를 사용
할 수 없고, 물론 아래아 한글도 쓸 수 없습니다. 도스나 윈도 95, 아래
아 한글 모두 알게 모르게 결국 이 바이오스의 함수를 호출하여 모든 처
리를 하는 것입니다.

그림으로 쉽게 그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
│┌────────────────┐ │
││┌──────────┐ │ │
│││┌────┐ │ │ │
││││하드웨어│바이오스│운영체제│응용 프로그램 │
│││└────┘ │ │ │
││└──────────┘ │ │
│└────────────────┘ │
└─────────────────────────┘

바이오스는 롬(ROM)에 들어 있기 때문에 흔히 롬바이오스라고 부르죠. 롬
은 읽을 수만 있고 쓸 수는 없다는 뜻의 Read Only Memory의 줄임말입니
다. 컴퓨터 부팅시 키 누르면 나오는 CMOS 셋업 프로그램과 주변기
기 초기화, 자체 진단 루틴도 이 롬바이오스에 같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롬에는 쓰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장착된 주변기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
려면 쓰기를 할 수 있는 다른 공간이 필요하겠죠. 그리고 저장한 것은 컴
퓨터의 전원이 없어도 사라져서는 안됩니다. 그곳이 바로 CMOS입니다. 우
리가 CMOS 셋업 프로그램을 이용해 장착된 주변 기기에 대한 정보를 알려
주면 바이오스는 그것에 기초하여 하드웨어를 인식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됩니다.

written by (ldg1983)
2003-02-19 20:58:34
953 번 읽음
  총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쭈니 '03.2.22 5:15 PM 신고
    :-D*감사합니다. 유용한 정보^^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