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멀티미디어] 외장형 TV엔코더 V-SHOT

 

안녕하세요?

외장형 TV엔코더 V-SHOT (LT902) 필드 테스트를 시작할까 합니다.

우선, 제품을 제공해주신 (주)라인테크코리아(주)비씨파크에 감사를 전합니다.


엔코더란 PC의 각종 프로그램을 TV, 멀티비젼, 빔프로젝트 등에서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로 영화나 프리젠테이션시 모니터의 작은 화면을 TV등의 대형 화면에서 선명한 화질로 볼 수 있도록 해주는 기기를 말합니다.




제품의 프리뷰는 이곳을 눌러주세요~ ^^





제품 리뷰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을 하겠습니다.

1. 제품 박스 포장 / 내용물 구성
2. 제품 소개 및 스펙
3. 테스트 환경
4. 제품 성능 평가
5. 사용후기


※ 사진은 SONY DSC-U20 기종으로 촬영하였습니다.



1. 제품 박스 포장 / 내용물 구성



제품의 포장은 위와 같은 Box로 포장되어있습니다.
PC용 메인보드 Box와 비슷한 크기로 제작되어 있으며, 다른 일반 Box 보다 좀 더 튼튼한 재질로 제품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Box 내부에는 제품을 단단히 고정해주게끔 포장이 되어있습니다. 포장상태는 한마디로 굿~! 입니다. ^^

아주 사소한 이야기일지 모르지만, 소비자는 제품의 포장재 하나 하나에서부터 기업과 제품의 이미지를 결정짓게 됩니다. 즉, 박스 포장 하나만 보더라도 그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의 이미지를 떠올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제품의 운송도중 혹시라도 발생하게될지 모르는 충격으로부터 제품의 보호를 위해 꼼꼼하고 세심한 제품의 포장 상태는 기업이 소비자에게 신뢰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너무 무분별한 포장재 사용은 좋지 않겠죠? ^^







박스를 열면 위와 같이 제품의 구성품을 확일할 수 있습니다.
V-SHOT 제품 본체는 정전기 방지용 포장재로 포장이 되어있고, 제품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내피로 제품을 고정시켜주고 있습니다.







제품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V-Shot(TV Encoder) 1개
- DC 5V 1.5A Adapter 1개
- 모니터(RGB)케이블 1개
- S-VHS 케이블 1개
- A/V 케이블 1개
- 사용 설명서
 







V-SHOT 본체는 사이버틱한 디자인과 은회색의 컬러로 좀 더 고급스러운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제품의 재질은 별로 만족스럽지 못했습니다. 제품 디자인에 비해 재질감이 좀 떨어지네요. 조금만 더 신경써주면 제품 고급화에 큰 역할을 할 듯 합니다.

제품 사진을 잘 보시면 좀 특이한 점이 있습니다. 찾으셨나요? ^^

컨트롤 버튼의 위치가 좀 이상하다는 점입니다.
잘 보시면, 화면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Right 버튼과 Left 버튼의 위치가 각각 왼쪽 오른쪽으로 서로 위치해있다는 것입니다. 별것 아닌듯 싶지만.. 직접 사용해보니 좀 불편했습니다.

즉, 일반적으로 Left 버튼은 왼쪽, Right 버튼은 오른쪽에 위치해 있어야하나, 정반대의 위치에 위치해있다보니, 화면의 위치를 조정할때 꼭 반대로 조작하게된다는 것입니다. 어떤 이유로 버튼을 서로 반대의 위치에 배열하게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사용자는 조작할때마다 매번 실수를 유발하게 됩니다. 이점도 앞으로 개선해야될 것 같습니다.







제품의 좌측에 전원 공급 라인과 Dip 스위치가 보입니다.
Dip 스위치는 제품의 출력신호를 NTSC와 PAL 중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잠깐~!
NTSC와 PAL가 뭐냐고요? ^^

NTSC와 PAL는 TV 신호의 전송규약을 말합니다.

TV 신호 전송규약에는 전 세계적으로 다음과 같은 3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 미국, 캐나다, 한국, 일본 등 몇 몇 나라가 사용하고 있는 NTSC 방식
- 독일, 영국 등이 사용하는 PAL 방식
- 프랑스와 소련이 사용하는 SECAM 방식

따라서, NTSC 방식을 사용하는 우리나라 제품을 일본에 가져가서 사용해도 상관은 없으나, 유럽에 가져가서 사용하려하면 TV가 나오지 않게된다는 이야기죠..^^







제품의 하단부로 제품을 지지해주는 부분은 고무 재질로 되어있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제품의 상단부로 PC의 VGA 신호를 입력하는 단자와 영상을 TV 신호로 보내주는 출력 단자, 다시 PC로 보내주는 단자가 설치되어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 언급하겠습니다.








제품에 함께 제공되는 SVHS 케이블로 COMPOSIT 방식보다 좋은 품질의 화질을 전송해 줍니다.

여기서 또 한번 잠깐~!!
SVHS와 COMPPOSIT의 차이에 대해..^^

COMPOSIT 단자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가정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COMPOSIT 단자(AV 단자)는 VTR 뒤에 있는 영상 및 오디오 단자를 떠올리면 쉽습니다. 빨간색, 하얀색, 노란색의 단자로 이뤄져 있으며, 빨간색과 하얀색은 오디오를, 노란색은 영상신호를 주고받는데 사용됩니다. TV와 비디오 처럼 영상을 다루는 대부분의 장치에서 기본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호환성이 좋지만, 그 특성상 최대해상도가 300라인 정도에 그쳐 화질이 떨어지는 편입니다.


SVHS 단자

동그란 잭에 4개의 핀이 있는 모양으로 화질이 떨어지는 COMPOSIT의 단점을 해결하는 영상신호용 인터페이스로, 500라인 정도의 화질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LD, DVD 등에서 널리 이용됩니다.







영상신호 전송용 AV 케이블입니다.(RCA 케이블이라고도 합니다.) 제품의 COMPOSIT 단자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좀더 깨끗한 영상을 전송해주기 위해 금도금 처리되어있습니다. 영상을 전송하기에 규격에 의해 노란색 케이블이 제공됩니다.







TV와 모니터를 동시에 쓰기 위해 D-sub 케이블도 함께 포함도어있습니다.













2. 제품 소개 및 스펙

제품의 상세 스펙은 아래와 같습니다.
(내용은 라인테크에서 제공하는 내용입니다.)

▨ 제품의 특징
- PC프로그램 (인터넷, 동영상, 게임등)을 TV에서 볼 수 있게 해주는 장치
- 출력단자 (S-VHS)2개 보유로 활용범위가 넓어짐.
- 고해상도 지원 : 1024*768 , 800*600
- TV 신호 설정 변경 가능 : NTSC/PAL
- 원터치로 정지 화면을 볼 수 있음

▨ PC 시스템 구비조건
- IBM호환 전기종 PC [486, Pentium 1~4], 노트북 PC 전 기종
- 주기억장치 : 최소 640KB 이상
- 보조기억장치 : 최소 3MB 이상
- 비디오 카드 : VGA, SVGA
- 운용 소프트웨어 : MS-DOS, Windows 3.1/95/98/ME/2000 LINUX/UNIX 계열
- 연결장치[TV/빔프로젝트/VTR/멀티비젼] : A/V 및 S-VHS 연결단자 보유













3. 테스트 환경


시스템 사양
CPU : INTEL Pentium 4 - 1.4GHz
Mainboard : ASUS P4T - FSB 400MHz
RAM : Rambus 384M
Monitor : Samsung SyncMaster 176T
Graphic : Geforce 2 MX200 - 32M SDR
HDD : Segate 바라쿠타 4 - 30G
ODD : LG 52 MAX
SOUND : SB Live DE 5.1
TV-CARD : SASEM Little ON-Air
LAN : Realtek 10/100








TV는 D사의 29" 모델로 사용한지는 오래되었지만, 그당시 최고급 제품으로.. ^^;
PIP 기능과 함께 S-VHS 입력 2개, AV 입력 3EA 지원 모델입니다.








V-SHOT 본체에 전원, VGA 입력, VGA 출력, S-VHS 출력을 설치한 모습입니다.
추가로 S-VHS 입력 1개와 AV 입력 1개를 동시에 더 지원하므로, 총 3대의 TV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제품 성능 평가

제품의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024*768(60Hz) 에서 S-VHS로 출력
- 1280*1024(60Hz) 에서 S-VHS로 출력
- 800*600(60Hz) 에서 S-VHS로 출력
- 1024*768(60Hz) 에서 S-VHS와 AV 동시 출력









- 1024*768(60Hz) 에서 S-VHS로 출력
위 사진은 제품에 PC의 VGA 신호를 1024*768(60Hz) 로 연결해서 TV로 출력한 모습입니다.
TV가 완전평면 모델도 아니고, 좀 오래된 모델이라 화질이 좀 떨어집니다. 이해해주세요..^^
일반 PC화면과, DivX 영화 화면입니다.







-액정모니터 촬영모습

-액정모니터 촬영모습

엔코더를 연결한 후의 모니터 화면입니다. 엔코더를 연결하기 전보다 색감이 약간(미세한차이로..) 달라졌습니다.







-TV 촬영모습

-TV 촬영모습

엔코더에서 S-VHS로 출력한 화면입니다. 일반 PC용 화면을 보여주는 모습은 글자가 작고, 선명하지 못해서 눈이 좀 피로해지더군요. 그러나, 영화와 같은 동영상 화면은 TV를 볼때와 마찬가지로 선명하고 부드럽게 재현해줘서 더 큰 화면으로 편하게 볼 수 있더구요.








- 1280*1024(60Hz) 에서 S-VHS로 출력
위 사진은 제품에 PC의 VGA 신호를 1280*1024(60Hz) 로 연결해서 TV로 출력한 모습입니다.
V-SHOT은 최대 1024*768의 해상도를 지원하므로, 그 이상의 신호를 입력해주면 TV에 위 사진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나, 모니터는 모니터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까지는 모두 커버가되어 제대로된 영상을 보여줍니다. 즉, 평상시에는 모니터의 최대해상도로 활용하고 영화감상시에는 V-SHOT의 권장해상도로 변화시켜 사용하면 편리할꺼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







-액정모니터 촬영모습

-TV 촬영모습

- 800*600(60Hz) 에서 S-VHS로 출력
해상도를 낮춰서 800*600(60Hz)으로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화면의 폰트만 더 커졌을뿐, 1024*768의 해상도와 다른 차이는 없었습니다. 즉, V-SHOT의 최대해상도로 사용하더라도 화질저하가 거의 없다는 이말씀~ ^^








-TV(PIP기능) 촬영모습

- 1024*768(60Hz) 에서 S-VHS와 AV 동시 출력
지금까지의 테스트는 S-VHS 단자를 이용한 테스트였습니다. 그러나, S-VHS는 아직까지 지원하지 않는 TV가 더 많으므로, 대부분은 AV 단자를 이용하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AV단자와 S-VHS를 동시에 출력하여 화질을 비교해봤습니다. (TV에 PIP 기능이 있어서 2화면 동시 출력 기능을 이용하여 비교했습니다.)







-TV(PIP기능) 촬영모습

사진의 좌측화면은 S-VHS 출력,  우측화면은 AV 출력입니다. 우선, TV를 사진으로 촬영할때 TV화면이 고르지 못한점 양해부터 구하겠습니다.

좌측 S-VHS는 우측 AV보다 화면 밝기가 조금 어두웠습니다. 그러나, 문자 가독성이 조금 더 좋았습니다. 즉, 화면 밝기는 AV가 더 좋고, 문자 가독성은 S-VHS가 더 좋았습니다.








-TV(PIP기능) 촬영모습

영화라서 위 아래 여백이 생겼습니다. 사진을 잘 보시면, 좌측의 S-VHS화면이 조금 더 선명하고 색감이 좋다는것이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화면 밝기는 여전히 AV가 조금 더 밝고요.













4. 사용후기

(주)라인테크코리아에서 출시된 V-SHOT 외장형 TV 엔코더 제품은 기존 엔코더 제품들보다 성능과 편리함에서 차별화된 제품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엔코더를 연결하기전 PC 화면과 연결후 화면의 선명도와 색상의 저하가 적었으며, TV로 영화를 감상할때에는 최고의 성능을 발휘하는 제품이라 말할 수 있겠습니다. 제품의 크기도 작고, 설치가 간편하여 어느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그러나, 리뷰 시작할때 언급한것 처럼 컨트롤 버튼의 위치가 어색한점, 사용주파수가 70Hz가 넘어서면 화면의 떨림현상 발생 등 사소한 문제가 있었습니다. (물론, 사용설명서에는 최적의 주파수가 60Hz라고 명시되어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PC 사용자들은 최소한 70Hz 이상에서 사용하는것을 감안했을때 조금 부족함이 있었습니다.)

V-SHOT 엔코더. 작은 크기와 함께, 외장형 엔코더 중 성능 대비 합리적인 가격대 실현으로 인해 앞으로 많은 인기를 끌것 같은 예감이 드네요...^^


이상으로 필드 테스트를 마칩니다. 끝까지 읽어주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


P.S. 카메라 성능이 어두운곳에서는 별루라서 TV 촬영화면 상태가 상당히 안좋습니다. 양해바랍니다. 꾸벅.. (--)(__)



2003-02-24 01:38:31
4160 번 읽음
  총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Wi-Fi '03.2.24 2:18 AM 신고
    :-D*수고하셨습니다. ↓댓글에댓글
  2. 2. 박병철 '03.2.24 5:33 AM 신고
    :-D*오! 리뷰 계속 하셔도 될거 같네요. 근데, 정우진씨 스타일이네요.^^ ↓댓글에댓글
  3. 3. 박병철 '03.2.24 5:34 AM 신고
    :-D*간단하고 깔끔한 리뷰 아주 괜찮습니다. 담에도 또 부탁해야겠네요.^^ ↓댓글에댓글
  4. 4. 닉네임 '03.3.3 9:43 PM 신고
    :-D*가격대비 쓸만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쉬운 점은 영상은 자세한 설명을 하셨는데 음질에 관한 언급이 없는데 어떨지 사용해보고 싶습니다. ↓댓글에댓글
  5. 5. 나는나 '03.3.3 10:05 PM 신고
    :-D*맞습니다. 가격대비 괜찮은 제품이라고 생각됩니다. ↓댓글에댓글
  6. 6. 나는나 '03.3.3 10:06 PM 신고
    :-D*그런데, V-SHOT은 음성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즉, 음성은 pc에서 듣거나, 직접 pc에서 tv로 연결해줘야합니다. ↓댓글에댓글
  7. 7. 나는나 '03.3.3 10:08 PM 신고
    :-D*요즘 대부분의 엔코더 제품이 이러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2.1 채널부터 5.1 채널 까지 음성지원이 워낙 광범위한지라.. 그렇다고 합니다.. ^^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