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진영 'xDSL' 그늘 탈출 호기
정부의 차세대통합네트워크(NGcN) 구축 계획에 광동축혼합(HFC)망을 한 축으로 포함시킨다는 것은 HFC망 기반의 관련 사업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라고 할 수 있다.
HFC는 중계유선을 포함해 1000만 명의 케이블TV 가입자를 연결하고 있음에도 불구, ADSL과 VDSL 위주의 초고속인터넷망에 가려져 있던 영역이다. 하지만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는 환경에서 HFC는 디지털방송과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고품질 네트워크'로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정보통신부가 HFC망을 NGcN 가입자 망의 한 축으로 검토하기 시작한 것은 HFC 인프라를 기반으로 방ㆍ통 융합 시장을 노리고 있는 사업자들에게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특히 지난해 12월 파워콤을 인수한 데이콤, 나아가 데이콤의 대주주인 LG그룹의 움직임은 정통부 움직임과 맞물려 비상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아울러 HFC망을 유선과 무선, 방송과 통신이 합쳐진 통합 네트워크 환경에서 최종 소비자를 수용하는 가입자망의 한 축으로 삼게 될 경우 이는 투자여력 부족으로 지지부진한 케이블TV망의 디지털전환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그룹 진영의 움직임〓파워콤은 지난 9일 550억원을 들여 HFC망을 대대적으로 업그레이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현재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44%인 576만 가구가 거주하는 31개 SO 지역의 광가입자망접속장치(ONU), 증폭기 등을 대거 교체해 상ㆍ하향 주파수대역을 대폭 늘림으로써 방송과 초고속인터넷서비스를 복합적으로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파워콤은 전체 케이블TV가입자의 63%에 해당하고, 총 길이가 4만7748㎞에 이르는 HFC망을 보유하고 있다.
또 파워콤의 대주주인 데이콤은 파워콤 HFC망을 이용한 무선 초고속인터넷서비스를 14일부터 개시한다고 밝혔다. 당장은 서울 동작구와 광주 광역시 일대를 시작으로한 시범서비스이지만, `천리안'을 끝으로 가입자 기반을 상실한 데이콤이 일반 가입자를 대상으로한 인터넷서비스에 나섰다는 사실은 의미가 남다르다. 이에 앞서 지난 10일에는 박운서 데이콤 회장이 나서 파워콤의 HFC망을 기반으로 LG카드ㆍLG텔레콤ㆍLG홈쇼핑ㆍ데이콤 등을 잇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였다. 디지털미디어센터(DMC) 사업을 통해 방송통신 융합 시장에서 데이콤을 새로운 강자로 부상시키겠다는 게 박 회장의 전략이다. 이런 전략에는 KT와 하나로통신이 분점하고 있는 유선통신시장에 `데이콤'을 제3의 세력을 부각시켜 통신시장을 `3강 구도'로 재편해야 한다는 논리가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HFC망의 가치를 십분 활용해 NGcN 계획을 새로 짜겠다고 나선 정통부의 움직임은 데이콤을 포함한 LG그룹 진영에 있어서 실로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유선과 무선 모두 거대 통신사업자의 양강구도 속에서 기를 펴지 못한 LG진영 입장에서 보면 차세대통합네트워크 시장에서는 한번 겨뤄볼 만한 상황변화를 고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케이블TV 진영〓케이블TV방송사업자(SO)들은 방송ㆍ통신 융합의 흐름에 따라 HFC망이 디지털가입자회선(xDSL)망의 대등한 경쟁자로 인식되고 있다는 사실에 고무되고 있다.
특히 최근 정부가 밝힌 `T―거번먼트(TV 정부)' 사업의 기간 망으로 HFC 망이 채택되면 현재 추진중인 케이블TV의 디지털 전환을 뒷받침하는 정부 지원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는 양방향 TV 서비스의 일환인 `T―거번먼트' 사업에 HFC망이 적합하다는 판단에서다. xDSL 망은 운영 거리가 수 ㎞ 내외로 제한돼 있어 일반 주택에는 보급하기가 어렵고, 대역폭도 870㎒ 대역의 HFC망에 비해 좁아 HDTV나 브로드밴드 서비스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설명이다. 이처럼 HFC망은 확장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비용 면에서 xDSL망 보다 우수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현재 HFC망은 파워콤 망 외에 전국 118개 SO들이 자체적으로 망을 구축, 전국적으로 망이 포설돼 있다.
SO업체 한 관계자는 "HFC망을 통한 NGcN과 T―거번먼트는 셋톱박스의 보급에 달려 있다"며 "디지털TV와 콘텐츠 등 산업 전반의 활성화를 위해서도 정부가 부가세 감면이나 셋톱박스 보조금 등 다양한 형태의 지원책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디지털타임스 : 박창신기자, 권정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