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우체국 개인정보 유출 파문(종합)
(서울=연합뉴스) 이정내기자= 최근 인터넷상의 개인정보 유출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정부기관의 홈페이지에서 회원의 개인정보가 무단으로 유출되는 사례가 발견돼 사생활 침해는 물론 정부의 공신력 실추 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문제의 인터넷 홈페이지는 정보통신부 소속 우정사업본부가 운영중인 인터넷우체국(www.epost.go.kr).
인터넷우체국은 새 기념우표가 발행될 때마다 회원들에게 기념우표 안내 e-메일을 발송, 구입신청을 받고 있는데 구입신청란을 클릭해 나타난 구매신청화면의 인터넷주소창 끝 부문 ID란에 자신의 ID대신 타인의 ID를 입력하면 그 회원의 이름과 주소, 유선전화 및 휴대폰 번호, e-메일주소 등 개인정보가 그대로 나타난다는 것.
우표수집 애호가인 대학생 이모(22)씨는 30일 "기념우표 안내 e-메일을 받고 무심코 ID란에 다른 사람의 ID를 입력해봤더니 해당 ID소유자의 이름과 주소 등 개인정보가 드러났다"면서 "정부기관 홈페이지에서도 개인정보가 이처럼 허술하게 다뤄지는 데 너무 놀랐다"고 말했다.
그는 "인터넷우체국의 하단에 `보안마크', `안전마크', `개인정보보호마크' 등 3개 마크가 버젓이 있는데도 이처럼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보고 인증마크조차도 신뢰할 수 없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신뢰성에 의문을 표시했다.
정통부가 작년 10월부터 정보보호 문화운동을 벌이는 한편 지난 3월부터는 매월 15일을 `해킹.바이러스의 날'로 지정하고 민관 합동으로 정보보호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정작 스스로의 정보보호에는 소홀했다는 지적을 면키 어렵게 됐다.
이같은 문제점이 드러나자 정통부는 이날 오후 4시 35분께 인터넷 기념우표 구매신청 서비스를 중지하고 프로그램을 수정, 오후 5시 30분께 서비스를 재개했다.
정통부는 "(e-메일) 프로그램 개발시 신청서 양식에 주문자의 ID가 표시되도록 한 것이 원인"이라면서 "그러나 전체 회원 54만명의 ID가 모두 유출된 것은 아니며 임의로 ID를 입력해 회원 ID와 일치할 경우 그 회원의 정보가 주문신청서에 표시된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최근 일부 이동통신 업체의 홈페이지에서 가입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돼 물의를 일으킨 데 이어 이번에는 정부기관 홈페이지에서 조차 개인정보가 허술하게 다뤄지고 있음이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인터넷연합/ jnl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