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소식]盧의 美 '코드' 맞추기

 
노무현 대통령이 취임 이후 첫 정상외교로 미국을 선택했음에도 미 언론들 의 반응은 냉소적인 모습이었다. 심하게 보면 '비아냥'에 가까웠다.
미국의 보수를 대변하고 있는 뉴욕 타임즈를 비롯해 대다수 미국 언론들이 보인 반응은 이랬다. 불과 1년전까지만 해도 반미(反美)주의자를 표방했던 노 대통령이 왜 갑자기 친미(親美)주의로 돌변했나.

그들은 정치를 위해서 반미를 외치다가 아쉬워 지니까 친미를 부르짖고 있 다고 대한민국 국민을 대표하고 있는 대통령을 비웃었다.

결론은 노 대통령이 자세를 바꿔 미국은 좋은 나라, 혈맹의 나라라고 얘기 하고 있지만 '또 언제 어떻게 변할 지 모른다. 그렇기 때문에 신뢰하기엔 좀 위험이 있다'였다.

객관적으로 봐서도 미국 언론의 '노무현 바라보기'는 일면 수긍이 가는 점 이 많다. 노 대통령은 당선전이나 당선 직후나 '자주적인 외교. 자주적 한 미관계'를 강조했다. 미국이 잘 살고 군사적인 힘도 있지만 그에 굽힘이 없이 우리가 할 말은 정확하게 전달하겠다는 뜻이었다.

그 말을 믿은 많은 사람들은 '노란 손수건'을 흔들며 환호했다. 그 환호는 또 '표'로 연결됐다. 그러나 노 대통령이 난생 처음 미국에 첫 발을 내디 딘후부터 그동안 했던 말은 거품처럼 사라진 듯 하다.

원했든 원하지 않았든 '정당한, 대등한, 자주적인' 미국과의 관계를 부르 짖고 그를 바탕으로 당선된 노 대통령은 미국에 대해 '낮은 자세'로 임했 다.

미국에 도착하면서부터 '미국은 좋은 나라. 부러운 나라, 희망의 나라'로 칭송의 대상이었다. 국내에서는 자신의 코드(Code)맞추기를 강력하게 밀어 붙이다가 태평양을 건너서는 코드 맞추기의 대상으로 몸을 낮출 수밖에 없 었다는 얘기다.

그 결과 미국은 흡족한 표정이다. 친한국적인 미국 사업가라고 볼 수 있는 폴 챔버린 한미 컨설팅사 회장은 이번 한미정상회담에 대한 성과를 묻는 질문에 "매우 예외적으로 성공한 미팅"이었다고 대답했다.

그러나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그 결과를 도출해 내기위해 노 대통령이 보 인 자세다. 부시대통령과의 첫 대면에서 예상한 만큼의 성과를 거두긴 했 지만 대다수 국민들이 기대하던 성과에는 턱없이 못 미쳤다는 게 이번 한 미정상회담을 지켜본 국내외 언론들의 시각이다.

노대통령의 이번 방미 하이라이트인 정상회담을 지켜보고 느낀 점은 '코드 맞추기'가 항상 국력이나 국익과는 직결되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나중에 노 정권의 역사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나올 지 궁금하다.


서울경제신문 2003-05-15 19:35:57

공화당.
2003-05-16 14:06:13
375 번 읽음
  총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총살산공 '03.5.16 2:13 PM 신고
    :-D*어쩔수 없지 않습니까...수출을 끌어 올려면 미국에게 맞춰야지요... ↓댓글에댓글
  2. 2. 공화당. '03.5.16 3:33 PM 신고
    :-D*맞습니다. 허이구 전라도 사투리 나오는것 안쓸라니 힘들어 죽겠네. -_- ↓댓글에댓글
  3. 3. 샨슈르 '03.5.16 7:42 PM 신고
    :-D*당당하기만 해서는 쉽게 부러지지요. 때론 유연함도 필요하기에... 노대통령님에게 한표 던집니다. -_-v ↓댓글에댓글
  4. 4. hippolee '03.5.16 9:29 PM 신고
    :-D*샨슈르님 말씀이 일리는 있지만 좋게 보이지는 않는군요.그리고 공화당님! 사투리는 언제 보게 됩니까? 에궁 보고팡... ↓댓글에댓글
  5. 5. 공화당. '03.5.17 4:08 AM 신고
    :-D*이동호님 감사합니다. 산슈르님 오랜만입니다. 사투리 듣기싫다고 쓰지말라는 압력을 받아서.... -_- ↓댓글에댓글
  6. 6. 환돌 '03.5.17 4:32 PM 신고
    :-D*울나라두 먼가 내세울게 있어야 하는디... ↓댓글에댓글
  7. 7. 앗싸돈 '03.5.18 7:19 AM 신고
    :-D*어쩔수 없는거죠. 국가라는 게 다른 국가와 조금이라도 경제적으로 연관성이 있다면. 더군다나 의존하는 쪽으로 연관이 있다면 자주성은 그만큼 상실되는것이죠. 우리무역의 대미의존도...문제는 그것이죠. ↓댓글에댓글
  8. 8. 앗싸돈 '03.5.18 7:19 AM 신고
    :-D*대일의존도 역시 심해서. 그 쪽바리들이 수시로 해대는 독도망발. 위안부망발. 강경하게 대처못하는거죠...이럴때는 중국이 부럽죠. ↓댓글에댓글
  9. 9. 앗싸돈 '03.5.18 7:20 AM 신고
    :-D*중국같은 애들은 내수시장이 20억명이니 드러우면 수출안하고 지네끼리 팔아 먹어도 되니..상대적으로 우리보다야 훨낫죠. 지금이야 자본유치를 위해서 조금 굽힙니다만...중국자본이 점점 쌓이게 되면 전세계 모든 나라가 중국에 ↓댓글에댓글
  10. 10. 앗싸돈 '03.5.18 7:21 AM 신고
    :-D*게 굽실대야겠죠. 그 미국도 마찬가지일거구요. 미국의 미래학자들 대부분이 내다보는 미래의 중심국가는 중국이죠. 경제...결국 국가간에도 돈 많은 넘이 장땡이네요 ^^ ↓댓글에댓글
  11. 11. 마하맨v5 '03.5.21 2:43 PM 신고
    :-D*오늘의 적은 내일의 우방, 오늘의우방은 내일의 적인만큼 적과도 동침할 수 (-_-;; 이정도는 아니고; ) 있는 유연성이 필요하죠 ... ^^;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