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에 이어 오늘은 공유기 없이 인터넷공유하기 입니다.
공유기 없이 인터넷을 공유하는 방법으론 싸이게이트류의 공유프로그램을 쓰는 방법과
Windows에서 제공하는 공유프로그램으로 공유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싸이게이트류는 구하기도 어렵거니와(?) 유료프로그램(?)이므로 Windows의 공유로...
1. 기존 인터넷과 연결된 PC를 서버PC라고 정의하고, 공유할 PC를 클라이언트PC라
정의하면 (인터넷모뎀) (서버PC) (클라이언트PC)의 연결 순이 됩니다.
2. 기존 인터넷 구성에서 (인터넷모뎀)과 (서버PC)는 구성이 잘 되어 있죠...
다음은 (서버PC)와 (클라이언트PC)의 연결을 위해서는 새로운 2장의 LAN카드와
크로스케이블이 필요합니다. 크로스란 다이렉트 또는 스트레이트 케이블과 반대의
PIN구성을 가지는 LAN케이블로 제작은 어렵고 "크로스케이블 주세요"하고 사야겠죠.
3. 서버PC에 새로운 LAN카드를 꼽고 설정을 잡습니다. LAN카드를 살 때 따라오는
구동드라이버로 또는 자동설정(XP 등등)으로 잡히는 경우도 있고요.
기존의 LAN카드가 하나 있고, 또 하나를 추가하는 거지요. 설정이 쫌 어려운 경우도...
LAN카드 뒤에보면 LED가 있는데 10/100Mbps의 경우는 보통 2개의 LED가 있는데
수신/송신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작동해야 반짝이죠. LED가 4개인 경우는
연결/송신/수신/작동 등의 표시인 경우도 있죠. (INTEL은 4개...)
4. 클라이언트PC에도 LAN카드를 꼽고 설정을 잡습니다. 하나니까 쉽겠죠...
5. 이제 모든 장비를 켭니다. 인터넷모뎀, 서버PC, 클라이언트PC, 프린터...
참, 각각의 케이블 연결은 그림과 같이...필수...^^*
서버PC의 (내 네트워크환경)에서 (홈네트워크 또는 소규모 네트워크 설정)을 누르고
잘 따라하시면 됩니다. (다음)->(다음)하시다가 (이컴퓨터는 인터넷에 직접...)을
누르시고....2장의 LAN카드 중 각각의 연결에 사용할 LAN카드를 선택하셔야 하는데
인터넷모뎀 쪽에 연결된 것이 인터넷연결용이고 클라이언트PC에 연결된 것이 로컬입니다.
6. 클라이언트PC에서도 내 네트워크환경)에서 (홈네트워크 또는 소규모 네트워크 설정)을
누르고 (다음)->(다음)하시다가 (이컴퓨터는 다른 컴퓨터 또는...)누르시면 끝.
7. 프린터공유는 프린터가 연결된 컴퓨터의 (제어판)->(프린터)에서 공유 누르시고
프린터가 연결되지 않은 컴퓨터에서 (제어판)->(프린터)->(추가)하시면 되고요.
8. 원래 Windows의 공유프로그램이 쫌 불안한 감이 없지 않으니 정성껏, 잘 하시고
잘 되지 않더라도 인내심을 가지고 여기 게시판에 자세히 질문하시길...
그럼 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