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주인없이 표류하는 하나로통신을 보며...

 


우리나라의 IT를 한단계 끌어올린 초고속 인터넷 사업자들이 KT를 제외하고는 모두 표류하고 있읍니다. 두루넷이 그러하고 온세통신이 그러하고 하나로가 그러합니다. 두루넷과 온세통신의 경우에는 원래 태생적인 문제(너무도 적은 자본금)이 문제였다고 하지만 하나로통신이 그러한 것은 초고속인터넷시장의 기술이 너무 급속도로 변하는 측면에서 기인한데는 문제가 있읍니다.

ADSL이 보급되고 난 후 4년이 되지 않아 VDSL이라는 그다지 매리트없는 기술이 나오니 돈이 있는 한국통신에서는 시장을 선점하기 위하여 공격경영으로 치고 오니 하나로,두루넷과 같은 부가사업자들은 따라 갈 수 밖에없는 상황이고 이러한 상황속에서 자금압박은 더더욱 가속화 될 수 밖에 없는 현실속에서 도산,법정관리와 같은 자금난에 허덕이게 되었읍니다.

그러나 하나로통신의 표류는 내부적인 문제라고 볼 수 있는 측면이 강합니다. 한국통신이 VDSL로 치고 올라오면 같이 맞불작전으로 VDSL로 승부를 한다면 자금력이 약한 하나로통신이 지는 것은 자명한 일이기에 VDSL은 적정수준만 유지한채 DOCSIS 2.0의 케이블 모뎀서비스에 주력을 하였다면 상황은 어찌 되었을지 모릅니다.

한국통신이 가지지 못한 케이블 망을 하나로통신은 가지고 있고 한국통신이 아파트 단지에 파고 들어갈때 역으로 하나로통신은 일부의 아파트단지와 단독주택단지를 공략했다면 적은 비용으로도 많은 가입자를 유치할 수 있었을 겁니다.

지금도 하나로통신은 아파트 단지에 ADSL가입자가 VDSL로 쉽게 이전을 하지 않는 현상이 많이 벌어집니다. 이러한 아파트단지에서의 싸움이 벌어지고 있을 때 단독주택 가입자들은 "누구든 들어와라! 먼저들어오는 놈 있으면 사용하겠다"라고 기다리고 있으나 어떤 ISP에도 들어오고 있지 않습니다.

저는 지금 하나로통신에 VDSL장비를 공급하는 회사에 근무하고 있읍니다. 13M급은 1~2월달에만 들어가더니 3월부터 20M급이 공급되고 최근 들어 13M급은 팔리지도 않습니다. 그리고 언젠가는 13M급 VDSL은 20M급으로 교체될 것이라고 합니다.

저는 그것이 아깝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차라리 그 돈으로 DOCSIS 2.0급의 케이블 모뎀 서비스에 투자하여 단독주택을 파고 들어갔다면 적은 비용으로 많은 네티즌들에게 서비스를 할 수 있었을 건데 중복과잉투자로 남는 것 없이 돈만 날린 결과가 되어서입니다.

두루넷이 초창기에 케이블 모뎀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 배경도 케이블 망이 DSL망에 비하여 투자비가 적게 들어갑니다. 이제라도 하나로 통신은 KT와의 경쟁보다는 KT가 넘보지 못하는 부분에 투자를 하여 경쟁을 하는 것이 중복과잉투자를 막는 지름길이며 독자생존할 수 있는 길이라는 것을 기억하였으면 좋겠네요.

written by an9383 (an9383)
2003-08-07 23:26:49
2779 번 읽음
  총 7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좋은친구♬~ '03.8.8 1:05 AM 신고
    :)*그러게요 케이블망 잘활용해서 닥시스2.0같은빠른 인터넷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아무래도 지역케이블업체에서는 자금때문에 선뜻닥시즈2.0을 못하고 있고..
    두루넷,하나로에서 하면 좋을텐데 ,,그러면 KT가 보고만 있지는 않을것 같고.....
    어떤분 ↓댓글에댓글
  2. 2. 길동이형(頭文字:D) '03.8.8 12:31 AM 신고
    :)*진짜 닥시스를 이용했었으면 좋았을텐데.... 아쉽군요.....안정성도 오히려 케이블망이 좋다고 느끼고... ↓댓글에댓글
  3. 3. 길동이형(頭文字:D) '03.8.8 12:27 AM 신고
    :)*제가봐도 VDSL은 그리 메리트있는 회선같지는 않아보입니다. 아무리 대칭형이고 그렇다쳐도 아직도 ADSL처럼 안정성이 떨어지고 아파트거주자들한테만이 특권을 누릴수있죠.... ↓댓글에댓글
  4. 4. 길동이형(頭文字:D) '03.8.8 12:30 AM 신고
    :)*그렇다고 주택에 있는 사람들을 아파트로 보낼수도 없는거고 주택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은 고속의 인터넷을 사용하지말라는법도 없고..... ↓댓글에댓글
  5. 5. 서하늘 '03.8.8 2:15 AM 신고
    :)*정말 좋은 글 입니다.. 닥시스 2.0 이 상용화만 되었어도. kt 의 adsl 을 쓰고 있는 가입자들이. 케이블 쪽으로 올꺼라고 생각합니다. kt는 돈만 알지. 상도덕은 모르는 것 같아요. 독점 ! 정말 무진장 정말 디지게 곱하기 1000000 해서 무서운거죠. ↓댓글에댓글
  6. 6. 박성훈 '03.8.8 9:17 AM 신고
    :)*하지만 케이블망의 공통적인 특징인 패킷손실은 어쩔수 없을듯 싶습니다... 그런 점을 생각하면 adsl이나 vdsl쪽이 나을수도 있죠. 물론 케이블망도 전봇대에서 직접 끌어다 쓰면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그걸 잘 해주진 않죠. 한국통신의 경우엔 속도가 나지 않는 경 ↓댓글에댓글
  7. 7. 길동이형(頭文字:D) '03.8.8 11:12 AM 신고
    :)*언제서부터 한국통신 그런 점검정신이 투철했었나요? 이쪽 종로구쪽은 정말 불친절합니다. 속도느리다고 막 따지면서 뭐라고 하니까 컴터가 왜 이XX이냐고 이소리 들었습니다. 그래서 진짜 멱살잡고 싸운적있죠... 한국통신은 AS및 점검분야에서도 빵점입니다. ↓댓글에댓글
  8. 8. 안기선 '03.8.8 12:44 PM 신고
    :)*박성훈님의 의견도 맞습니다. 그런점은 대다수의 네티즌들이 알고 있읍니다. 그러나 오늘날 초고속인터넷은 수요중심의 공급이 아닌 공급중심의 수요입니다. 즉 ISP가 망을 깔면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VDSL에 비하여 패킷손실은 있다고 하더라도 하나로통신이 ↓댓글에댓글
  9. 9. 브라흐만 '03.8.8 1:46 PM 신고
    :)*얼마전 하나로에 업속도 제한때문에 엄청 따진일이 있었는데.... 그때 하나로 직원이 개발하고 있다는 상품이 닥시스 2.0인가 보군요... 언제 되냐구 하니깐 언제일지 장담할수 없다는 군요. VDSL에 투자한 시간과 비용을 케이블로 돌렸다면..... 어쩌면 하나로는 일반 주 ↓댓글에댓글
  10. 10. 챕스 '03.8.8 4:53 PM 신고
    :)*제기랄 KT는 하는짓이 하나부터 열까지 맘에 안들어... 나라를 말아먹어도 지네만 먹고 살면 된다는 식이지... 공기업일때 방만하던 경영습관 못버리고 돈많다고 지랄... ↓댓글에댓글
  11. 11. 바람잡이 '03.8.10 7:22 AM 신고
    :)*아직도 한통 adsl 쓰시는 분 있으신가요? 시골동네 다른 회선이 안들어온다면 모를
    까?? 컴 a/s 하면서 인터넷이 안된다는 전화오면 어디꺼 쓰냐고 물어보면 거의 adsl입니다. 한통의 a/s기사들의 불친절을 떠나 망 자체가 불안해서 어디 그거 쓰겠습니까? 짜증 그 ↓댓글에댓글
  12. 12. 바람잡이 '03.8.10 7:26 AM 신고
    :)*체입니다. 인터넷품질에 문제가 있으니까 당장 잡아떼려니 a/s 기사분들 본분을 다하지 못하고 불친절한것이 당연한거 아닐까요...아마 친절도 한두번일껍니다. 친절하면 뭐합니까? 중요한건 인터넷이 잘 되야지요. ↓댓글에댓글
  13. 13. Cmoon '03.8.15 8:42 PM 신고
    :)*아직도 쓰는 사람 여기있죠.. 이사를 오는 바람에 되는게 adsl아니면 케이블입니다. 케이블은 속도 보장도 못하고.. 그냥 쓰고 있네요. 저 같아도 당장 DOCSIS 2.0 들어온다면 당장 KT해지할껍니다. 그 특유의 불친절함은 정말 대단하죠.. ↓댓글에댓글
  14. 14. Cmoon '03.8.15 8:42 PM 신고
    :)*DOCSIS 2.0이 빨리 보급 되길 기대해 봅니다.. 빌라/주택에서 해뜰날이 오길.. ↓댓글에댓글
  15. 15. 염문호 '03.8.17 11:38 PM 신고
    :)*하나로 개통을 담당했었는데 docsis2.0도입을 많이 생각해봤었지만 의외로 비용이 많이 드는 기술입니다. 바로 상향 대역확보에 문제가 있습니다. 현재 전송설비로 운영하려면
    onu만을 계속 늘려야만 가능한 기술입니다. 뭐 모뎀등 기타장비들이 많이 저렴해저도 ↓댓글에댓글
  16. 16. 염문호 '03.8.17 11:42 PM 신고
    :)*상향 대역을 현재 3.2m 대역으로 3체널 정도 사용합니다. 그러나 docsis2.0으로 쓰려면
    6.4m 정도를 요구하며 이럴경우 1개 체널만 유지할수 있습니다. 현재 운용가능한 대역은
    30mhz 부터 40mhz정도에 분포되어있는데 65mhz까지 사용할수 있도록 법개정과 ↓댓글에댓글
  17. 17. 장성호 '03.8.26 8:58 PM 신고
    :)*여기 보니 한국통신이 나쁘다는 쪽으로 약간 기운듯 하네요. 하지만 제가 경험하고 있는 하나로 통신은 말 그대로 싸xx 없었습니다. 인터넷 불통인데 와서 하는 말이 자기들은 할거 다했으니 고객님 컴퓨터나 포멧하시지요. 저희한테 전화하기 전에. 이런 말 하더군요 ↓댓글에댓글
  18. 18. 장성호 '03.8.26 8:58 PM 신고
    :)*결국에 결과는 그쪽에서 준 모뎀에서 문제가 있었습니다. 2-3번 모뎀을 교체했음에도 불구하고 다 불량품을 가져온것이지요. 그것도 제가 막 우겨서 모뎀을 교체한 것입니다. 이딴식으로도 말하더군요. 고객님 컴퓨터에 대해서 저희가 더 잘알지 누가 더 잘압니까? ↓댓글에댓글
  19. 19. 장성호 '03.8.26 9:00 PM 신고
    :)*이런식으로 말하더군요. 자랑은 아니지만 프로그램 베타테스트 및 동호회 클럽을 맡고 있습니다. 당연히 그런 기초지식은 알고 있는데 그런 헛소리를 하더군요. 정말 저 그 자리에서 모뎀 던지면서 꺼지라고 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도 뻔뻔하게 계속 그러더군요. ↓댓글에댓글
  20. 20. 장성호 '03.8.26 9:01 PM 신고
    :)*그 후로 하나로 통신 바로 끊어버렸습니다. 그리고 끊으면서 말을 했죠. 이런식으로 계속 서비스 하다가는 언젠가는 망한다고. 이건 뭐 어느 기업이나 똑같은 말이겠지만...
    아무튼 하나로 통신이 망하게 된것은 자기 이권을 독차지하기위한 여러 대기업도 문제 ↓댓글에댓글
  21. 21. 장성호 '03.8.26 9:02 PM 신고
    :)*겠지만 결국에는 소비자를 외면하고 막 대하면 망한다는 거죠. 물론 다른 지역의 하나로 통신 서비스 센터는 잘 대해줄지 모릅니다. 하지만 그 날 이후로는 철저한 안티 하나로가 되어버렸다는 점이지요. (그런데 저랑 같은 경우의 일을 겪으신 분들이 좀 많더군요...) ↓댓글에댓글
  22. 22. 장성호 '03.8.26 9:02 PM 신고
    :)*아무튼 앞으로 모든 기업들이 소비자에게 제대로 대해줬으면 합니다. 그런식으로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를 할 때에는 하나로 뿐만이 아니라 그리고 통신 기업 뿐만이 아니라 다른 여러 기업이 망하게 될 테지요. ↓댓글에댓글
  23. 23. 이현종 '03.8.26 9:20 PM 신고
    :)*하나로 통신의 앞길에 대한 토론장에서 왠 한통을 씹고 계신가요 ㅋ 자기 옆집 사람 성질이 개긋고 안좋다고 전국 사람들이 다그런게 아니죠 어느인터넷이든 지역별 차이는 다있습니다..... ↓댓글에댓글
  24. 24. 이현종 '03.8.26 9:22 PM 신고
    :)*음..그리고 저는 경북 영천 에 사는데요 영천에서 케이블인터넷 서비스를 하는 지역케이블 업체가 2곳있거든요 ( 나울넷 , 신라케이블 타키온 ) 이두 서비스들은 모두 하나로통신 백본망을 가지고 서비스를 하는업체들입니다 ↓댓글에댓글
  25. 25. 이현종 '03.8.26 9:26 PM 신고
    :)*저희동네 하나로 통신 속도 그다지 좋은편은아닌데요 하나로백본망을 이용해 서비스하는 지역케이블 2곳 업체는 상당하더군요 나울넷 VDSL ( 다운 20Mbps 업 10Mbps) 신라케이블타키온 (다운12Mbps 업 1~2Mbps) 로 서비스 하고있습니다 ↓댓글에댓글
  26. 26. 이현종 '03.8.26 9:28 PM 신고
    :)*한달사용료 19,000원 모뎀임대료 2500원 약정기간 없구요 언제든지 해지가능....백본망 추가 증설도 어려운 하나로에서 타업체에 백본망 새까지 주고있습니다 속도도 하나로보다 꽤 잘나오는 편이네요/... ↓댓글에댓글
  27. 27. 김도훈 '03.8.27 2:08 AM 신고
    :)*태클하나 하겠습니다.
    '있읍니다' 가 아니라 '있습니다' 가 옳습니다. ↓댓글에댓글
  28. 28. 정창우 '03.8.27 5:11 AM 신고
    :)*맞 습니다 맞고요~~~ㅋㅋ ↓댓글에댓글
  29. 29. 이시열 '03.8.27 8:06 AM 신고
    :)*근데 지역마다 다른가봐요.. 저는 대구 복현동에사는데 인터넷 몇번 안되어서 부르니까 잘만 오더라구요... 그리고 인터넷 속도가 안나와서 부른적이있는데 렌카드 바꿔보라고 하더라구요... 대구지역은 그럭저럭 괜찮은거 같아요 ^^ ↓댓글에댓글
  30. 30. 조충기 '03.8.27 8:35 AM 신고
    추천! +100점! ↓댓글에댓글
  31. 31. 김영균 '03.8.27 8:41 AM 신고
    추천! +100점! ↓댓글에댓글
  32. 32. 박종석 '03.8.27 10:11 AM 신고
    :)*제 생각은 하나로가 그냥 케이블 사업을 포기했으면 합니다. 대부분 하나로에 대한
    불만 사항을 가지는게 케이블 초고속통신 사용하는 사람들인거 같습니다.
    하나로야 원래 ADSL로 시작했으니깐 아직도 아파트에서 하나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댓글에댓글
  33. 33. 박종석 '03.8.27 10:12 AM 신고
    :)*인식이 좋습니다. 대부분 케이블 사용하시는 분들이 저 품질 저속도로 불만을 제기하더군요 이분들에 대한 서비스 비용이 만만치 않은듯 싶습니다. 그리고 돈이 없는 하나로가
    VDSL을 쫙 뿌리는 한통에 대항하는 방법은 아무래도 기존의 ADSL 지원을 더 강화해 ↓댓글에댓글
  34. 34. 박종석 '03.8.27 10:14 AM 신고
    :)*굳이 업다운 속도 같은 VDSL보다 VDSL의 다운속도보다 빠른 ADSL 2같은게 있다면 다운을 주로 받는 저 같은 사람은 ADSL2를 가입할꺼 같습니다. 물론 이 같은거는 속도제한
    같은걸 풀어보리면 되겠죠. ↓댓글에댓글
  35. 35. 박종석 '03.8.27 10:15 AM 신고
    :)*업다운 2M인 VDSL light 보다 다운4, 업0.5 인 ADSL 라이트를 서비스 한다면 사람들이
    굳이 VDSL에 목매달지 않을것이구 하나로에서도 엄청난 비용을 주고 VDSL DSRAM
    장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고 봅니다. ↓댓글에댓글
  36. 36. 이현종 '03.8.27 11:09 AM 신고
    :)*저는 KT ADSL-Lite 사용입니다 초기(2년전) 하향 1.5Mbps 상향 700kb/s 였죠 요즘은 VDSL이 쫙 깔리고 주택에도 일부 VDSL 서비스를 하고 지역케이블도 상당하다보니 저는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는데 인터넷 속도가 갈수록 올라가더군요 ↓댓글에댓글
  37. 37. 이현종 '03.8.27 11:12 AM 신고
    :)*초기 1.5Mbps 사용하던 제가 두달전 4Mbps 에서 현재는 6.7Mbps 가 나와요 VDSL이 보급화되고 지역케이블인터넷 서비스 영향을 받은 ADSL-Lite (아직상당수 라이트사용자죠) 이렇다보니 한통에서 라이트 속도를 올려준것입니다 ↓댓글에댓글
  38. 38. 이현종 '03.8.27 11:17 AM 신고
    :)*그리고 지역케이블이 한달에 1만9천원이라는 가격으로 다운 12Mbps 업 1~2Mbps 서비스를 하고있습니다 하나로가 하루 발리 비상구를 찾아야 하는데 마리죠..... ↓댓글에댓글
  39. 39. 정상훈 '03.8.27 11:22 PM 신고
    :)* 컴퓨터가 왜 이 모양이냐는 소리...저만 들은지 알았습니다...과연 친구들 말대로 수법이었군요... ↓댓글에댓글
  40. 40. 좋은친구♬~ '03.8.8 1:05 AM 신고
    :)*그러게요 케이블망 잘활용해서 닥시스2.0같은빠른 인터넷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아무래도 지역케이블업체에서는 자금때문에 선뜻닥시즈2.0을 못하고 있고..
    두루넷,하나로에서 하면 좋을텐데 ,,그러면 KT가 보고만 있지는 않을것 같고.....
    어떤분 ↓댓글에댓글
  41. 41. 길동이형(頭文字:D) '03.8.8 12:31 AM 신고
    :)*진짜 닥시스를 이용했었으면 좋았을텐데.... 아쉽군요.....안정성도 오히려 케이블망이 좋다고 느끼고... ↓댓글에댓글
  42. 42. 길동이형(頭文字:D) '03.8.8 12:27 AM 신고
    :)*제가봐도 VDSL은 그리 메리트있는 회선같지는 않아보입니다. 아무리 대칭형이고 그렇다쳐도 아직도 ADSL처럼 안정성이 떨어지고 아파트거주자들한테만이 특권을 누릴수있죠.... ↓댓글에댓글
  43. 43. 길동이형(頭文字:D) '03.8.8 12:30 AM 신고
    :)*그렇다고 주택에 있는 사람들을 아파트로 보낼수도 없는거고 주택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은 고속의 인터넷을 사용하지말라는법도 없고..... ↓댓글에댓글
  44. 44. 서하늘 '03.8.8 2:15 AM 신고
    :)*정말 좋은 글 입니다.. 닥시스 2.0 이 상용화만 되었어도. kt 의 adsl 을 쓰고 있는 가입자들이. 케이블 쪽으로 올꺼라고 생각합니다. kt는 돈만 알지. 상도덕은 모르는 것 같아요. 독점 ! 정말 무진장 정말 디지게 곱하기 1000000 해서 무서운거죠. ↓댓글에댓글
  45. 45. 박성훈 '03.8.8 9:17 AM 신고
    :)*하지만 케이블망의 공통적인 특징인 패킷손실은 어쩔수 없을듯 싶습니다... 그런 점을 생각하면 adsl이나 vdsl쪽이 나을수도 있죠. 물론 케이블망도 전봇대에서 직접 끌어다 쓰면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그걸 잘 해주진 않죠. 한국통신의 경우엔 속도가 나지 않는 경 ↓댓글에댓글
  46. 46. 길동이형(頭文字:D) '03.8.8 11:12 AM 신고
    :)*언제서부터 한국통신 그런 점검정신이 투철했었나요? 이쪽 종로구쪽은 정말 불친절합니다. 속도느리다고 막 따지면서 뭐라고 하니까 컴터가 왜 이XX이냐고 이소리 들었습니다. 그래서 진짜 멱살잡고 싸운적있죠... 한국통신은 AS및 점검분야에서도 빵점입니다. ↓댓글에댓글
  47. 47. 안기선 '03.8.8 12:44 PM 신고
    :)*박성훈님의 의견도 맞습니다. 그런점은 대다수의 네티즌들이 알고 있읍니다. 그러나 오늘날 초고속인터넷은 수요중심의 공급이 아닌 공급중심의 수요입니다. 즉 ISP가 망을 깔면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VDSL에 비하여 패킷손실은 있다고 하더라도 하나로통신이 ↓댓글에댓글
  48. 48. 브라흐만 '03.8.8 1:46 PM 신고
    :)*얼마전 하나로에 업속도 제한때문에 엄청 따진일이 있었는데.... 그때 하나로 직원이 개발하고 있다는 상품이 닥시스 2.0인가 보군요... 언제 되냐구 하니깐 언제일지 장담할수 없다는 군요. VDSL에 투자한 시간과 비용을 케이블로 돌렸다면..... 어쩌면 하나로는 일반 주 ↓댓글에댓글
  49. 49. 챕스 '03.8.8 4:53 PM 신고
    :)*제기랄 KT는 하는짓이 하나부터 열까지 맘에 안들어... 나라를 말아먹어도 지네만 먹고 살면 된다는 식이지... 공기업일때 방만하던 경영습관 못버리고 돈많다고 지랄... ↓댓글에댓글
  50. 50. 바람잡이 '03.8.10 7:22 AM 신고
    :)*아직도 한통 adsl 쓰시는 분 있으신가요? 시골동네 다른 회선이 안들어온다면 모를
    까?? 컴 a/s 하면서 인터넷이 안된다는 전화오면 어디꺼 쓰냐고 물어보면 거의 adsl입니다. 한통의 a/s기사들의 불친절을 떠나 망 자체가 불안해서 어디 그거 쓰겠습니까? 짜증 그 ↓댓글에댓글
  51. 51. 바람잡이 '03.8.10 7:26 AM 신고
    :)*체입니다. 인터넷품질에 문제가 있으니까 당장 잡아떼려니 a/s 기사분들 본분을 다하지 못하고 불친절한것이 당연한거 아닐까요...아마 친절도 한두번일껍니다. 친절하면 뭐합니까? 중요한건 인터넷이 잘 되야지요. ↓댓글에댓글
  52. 52. Cmoon '03.8.15 8:42 PM 신고
    :)*아직도 쓰는 사람 여기있죠.. 이사를 오는 바람에 되는게 adsl아니면 케이블입니다. 케이블은 속도 보장도 못하고.. 그냥 쓰고 있네요. 저 같아도 당장 DOCSIS 2.0 들어온다면 당장 KT해지할껍니다. 그 특유의 불친절함은 정말 대단하죠.. ↓댓글에댓글
  53. 53. Cmoon '03.8.15 8:42 PM 신고
    :)*DOCSIS 2.0이 빨리 보급 되길 기대해 봅니다.. 빌라/주택에서 해뜰날이 오길.. ↓댓글에댓글
  54. 54. 염문호 '03.8.17 11:38 PM 신고
    :)*하나로 개통을 담당했었는데 docsis2.0도입을 많이 생각해봤었지만 의외로 비용이 많이 드는 기술입니다. 바로 상향 대역확보에 문제가 있습니다. 현재 전송설비로 운영하려면
    onu만을 계속 늘려야만 가능한 기술입니다. 뭐 모뎀등 기타장비들이 많이 저렴해저도 ↓댓글에댓글
  55. 55. 염문호 '03.8.17 11:42 PM 신고
    :)*상향 대역을 현재 3.2m 대역으로 3체널 정도 사용합니다. 그러나 docsis2.0으로 쓰려면
    6.4m 정도를 요구하며 이럴경우 1개 체널만 유지할수 있습니다. 현재 운용가능한 대역은
    30mhz 부터 40mhz정도에 분포되어있는데 65mhz까지 사용할수 있도록 법개정과 ↓댓글에댓글
  56. 56. 장성호 '03.8.26 8:58 PM 신고
    :)*여기 보니 한국통신이 나쁘다는 쪽으로 약간 기운듯 하네요. 하지만 제가 경험하고 있는 하나로 통신은 말 그대로 싸xx 없었습니다. 인터넷 불통인데 와서 하는 말이 자기들은 할거 다했으니 고객님 컴퓨터나 포멧하시지요. 저희한테 전화하기 전에. 이런 말 하더군요 ↓댓글에댓글
  57. 57. 장성호 '03.8.26 8:58 PM 신고
    :)*결국에 결과는 그쪽에서 준 모뎀에서 문제가 있었습니다. 2-3번 모뎀을 교체했음에도 불구하고 다 불량품을 가져온것이지요. 그것도 제가 막 우겨서 모뎀을 교체한 것입니다. 이딴식으로도 말하더군요. 고객님 컴퓨터에 대해서 저희가 더 잘알지 누가 더 잘압니까? ↓댓글에댓글
  58. 58. 장성호 '03.8.26 9:00 PM 신고
    :)*이런식으로 말하더군요. 자랑은 아니지만 프로그램 베타테스트 및 동호회 클럽을 맡고 있습니다. 당연히 그런 기초지식은 알고 있는데 그런 헛소리를 하더군요. 정말 저 그 자리에서 모뎀 던지면서 꺼지라고 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도 뻔뻔하게 계속 그러더군요. ↓댓글에댓글
  59. 59. 장성호 '03.8.26 9:01 PM 신고
    :)*그 후로 하나로 통신 바로 끊어버렸습니다. 그리고 끊으면서 말을 했죠. 이런식으로 계속 서비스 하다가는 언젠가는 망한다고. 이건 뭐 어느 기업이나 똑같은 말이겠지만...
    아무튼 하나로 통신이 망하게 된것은 자기 이권을 독차지하기위한 여러 대기업도 문제 ↓댓글에댓글
  60. 60. 장성호 '03.8.26 9:02 PM 신고
    :)*겠지만 결국에는 소비자를 외면하고 막 대하면 망한다는 거죠. 물론 다른 지역의 하나로 통신 서비스 센터는 잘 대해줄지 모릅니다. 하지만 그 날 이후로는 철저한 안티 하나로가 되어버렸다는 점이지요. (그런데 저랑 같은 경우의 일을 겪으신 분들이 좀 많더군요...) ↓댓글에댓글
  61. 61. 장성호 '03.8.26 9:02 PM 신고
    :)*아무튼 앞으로 모든 기업들이 소비자에게 제대로 대해줬으면 합니다. 그런식으로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를 할 때에는 하나로 뿐만이 아니라 그리고 통신 기업 뿐만이 아니라 다른 여러 기업이 망하게 될 테지요. ↓댓글에댓글
  62. 62. 이현종 '03.8.26 9:20 PM 신고
    :)*하나로 통신의 앞길에 대한 토론장에서 왠 한통을 씹고 계신가요 ㅋ 자기 옆집 사람 성질이 개긋고 안좋다고 전국 사람들이 다그런게 아니죠 어느인터넷이든 지역별 차이는 다있습니다..... ↓댓글에댓글
  63. 63. 이현종 '03.8.26 9:22 PM 신고
    :)*음..그리고 저는 경북 영천 에 사는데요 영천에서 케이블인터넷 서비스를 하는 지역케이블 업체가 2곳있거든요 ( 나울넷 , 신라케이블 타키온 ) 이두 서비스들은 모두 하나로통신 백본망을 가지고 서비스를 하는업체들입니다 ↓댓글에댓글
  64. 64. 이현종 '03.8.26 9:26 PM 신고
    :)*저희동네 하나로 통신 속도 그다지 좋은편은아닌데요 하나로백본망을 이용해 서비스하는 지역케이블 2곳 업체는 상당하더군요 나울넷 VDSL ( 다운 20Mbps 업 10Mbps) 신라케이블타키온 (다운12Mbps 업 1~2Mbps) 로 서비스 하고있습니다 ↓댓글에댓글
  65. 65. 이현종 '03.8.26 9:28 PM 신고
    :)*한달사용료 19,000원 모뎀임대료 2500원 약정기간 없구요 언제든지 해지가능....백본망 추가 증설도 어려운 하나로에서 타업체에 백본망 새까지 주고있습니다 속도도 하나로보다 꽤 잘나오는 편이네요/... ↓댓글에댓글
  66. 66. 김도훈 '03.8.27 2:08 AM 신고
    :)*태클하나 하겠습니다.
    '있읍니다' 가 아니라 '있습니다' 가 옳습니다. ↓댓글에댓글
  67. 67. 정창우 '03.8.27 5:11 AM 신고
    :)*맞 습니다 맞고요~~~ㅋㅋ ↓댓글에댓글
  68. 68. 이시열 '03.8.27 8:06 AM 신고
    :)*근데 지역마다 다른가봐요.. 저는 대구 복현동에사는데 인터넷 몇번 안되어서 부르니까 잘만 오더라구요... 그리고 인터넷 속도가 안나와서 부른적이있는데 렌카드 바꿔보라고 하더라구요... 대구지역은 그럭저럭 괜찮은거 같아요 ^^ ↓댓글에댓글
  69. 69. 조충기 '03.8.27 8:35 AM 신고
    추천! +100점! ↓댓글에댓글
  70. 70. 김영균 '03.8.27 8:41 AM 신고
    추천! +100점! ↓댓글에댓글
  71. 71. 박종석 '03.8.27 10:11 AM 신고
    :)*제 생각은 하나로가 그냥 케이블 사업을 포기했으면 합니다. 대부분 하나로에 대한
    불만 사항을 가지는게 케이블 초고속통신 사용하는 사람들인거 같습니다.
    하나로야 원래 ADSL로 시작했으니깐 아직도 아파트에서 하나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댓글에댓글
  72. 72. 박종석 '03.8.27 10:12 AM 신고
    :)*인식이 좋습니다. 대부분 케이블 사용하시는 분들이 저 품질 저속도로 불만을 제기하더군요 이분들에 대한 서비스 비용이 만만치 않은듯 싶습니다. 그리고 돈이 없는 하나로가
    VDSL을 쫙 뿌리는 한통에 대항하는 방법은 아무래도 기존의 ADSL 지원을 더 강화해 ↓댓글에댓글
  73. 73. 박종석 '03.8.27 10:14 AM 신고
    :)*굳이 업다운 속도 같은 VDSL보다 VDSL의 다운속도보다 빠른 ADSL 2같은게 있다면 다운을 주로 받는 저 같은 사람은 ADSL2를 가입할꺼 같습니다. 물론 이 같은거는 속도제한
    같은걸 풀어보리면 되겠죠. ↓댓글에댓글
  74. 74. 박종석 '03.8.27 10:15 AM 신고
    :)*업다운 2M인 VDSL light 보다 다운4, 업0.5 인 ADSL 라이트를 서비스 한다면 사람들이
    굳이 VDSL에 목매달지 않을것이구 하나로에서도 엄청난 비용을 주고 VDSL DSRAM
    장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고 봅니다. ↓댓글에댓글
  75. 75. 이현종 '03.8.27 11:09 AM 신고
    :)*저는 KT ADSL-Lite 사용입니다 초기(2년전) 하향 1.5Mbps 상향 700kb/s 였죠 요즘은 VDSL이 쫙 깔리고 주택에도 일부 VDSL 서비스를 하고 지역케이블도 상당하다보니 저는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는데 인터넷 속도가 갈수록 올라가더군요 ↓댓글에댓글
  76. 76. 이현종 '03.8.27 11:12 AM 신고
    :)*초기 1.5Mbps 사용하던 제가 두달전 4Mbps 에서 현재는 6.7Mbps 가 나와요 VDSL이 보급화되고 지역케이블인터넷 서비스 영향을 받은 ADSL-Lite (아직상당수 라이트사용자죠) 이렇다보니 한통에서 라이트 속도를 올려준것입니다 ↓댓글에댓글
  77. 77. 이현종 '03.8.27 11:17 AM 신고
    :)*그리고 지역케이블이 한달에 1만9천원이라는 가격으로 다운 12Mbps 업 1~2Mbps 서비스를 하고있습니다 하나로가 하루 발리 비상구를 찾아야 하는데 마리죠..... ↓댓글에댓글
  78. 78. 정상훈 '03.8.27 11:22 PM 신고
    :)* 컴퓨터가 왜 이 모양이냐는 소리...저만 들은지 알았습니다...과연 친구들 말대로 수법이었군요...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