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PC 게임 시장, 부셔버린 주범은 '불법복제'

 


시장의 붕괴가 어느 하나만의 원인때문은 아니겠지만

PC 게임시장에서 불법 복제의 심각성은 지독하다.

결국 이제 시장을 부셔버린 주범으로 몰리는 상황까지 온 것이다.

과연 이것은 해결책은 없는 것인지.

아쉬울 따름이다.

-----------------------------------------------------------------------------------

 PC게임 시장이 불법복제로 경영상황이 크게 악화되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PC게임의 경우 와레즈 등 불법복제를 통해 이용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는 반면 PC게임업체들의 매출은 크게 떨어져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현재 패키지 PC게임 시장 규모는 사상 최대의 불황이었다는 지난해의 60% 수준으로 지난해까지만 해도 업체별로 게임당 평균 3만장 이상의 타이틀이 꾸준히 판매됐으나 올해들어 연간 5000장 팔기도 어려워 1만장 이상 초도물량을 공급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국내 최대 게임 B2B 쇼핑몰인 비엔티에 따르면 PC게임의 올 월 매출은 예년의 3분의 1 수준으로 급락하고 있으며 여름과 겨울 방학 등 성수기 시장 매출도 지난해 60%에도 못미친다고 밝혔다.  실제로 10월 현재 패키지 게임 중 PC게임의 경우 3만장 이상 판매한 타이틀은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3’ 등 블리자드 대박 타이틀을 제외하고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따라 PC게임 유통업체들의 피해도 심각하다.


용산전자상가 주요 PC게임유통업체들이 폐업 준비에 들어가는 등 게임상가의 30% 이상이 업종이 변경되거나 폐업하고 있다. 삼국지시리즈 유통업체인 비스코는 현재 게임사업을 정리하고 있으며 위자드소프트도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흑자전환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또 고속성장을 구가하던 아타리코리아, EA 등 외국 게임 직배사들도 일부 직원을 구조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전략상품인 신규게임이 와레즈 사이트, 팝폴더, 구루구루 등 각종 파일공유 사이트를 통해 무차별적으로 유포되는데도 막을 방법은 전혀 없어 자칫 게임개발 의욕까지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W업체 한 관계자는 “불법소프트웨어 일제단속의 경우 사무용 소프트웨어에만 국한될 뿐 게임과 같은 콘텐츠에는 그 손길이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사이버 수사대측도 PC게임을 불법 유통시킨 당사자 외에 다운한 사람과 공유사이트 운영자 등에 대한 처벌 규정이 없다는 말만 되풀이해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의 한 관계자도 “올해 들어 정보통신부, 산업자원부까지 게임 산업 육성하겠다고 나서면서 불법 복제에 대해서는 아무도 나서지 않는다”며 불만을 터뜨렸다.

 


새벽야시
2003-10-24 07:51:47
2600 번 읽음
  총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박재현 '03.10.25 12:55 PM 신고
    :-)*지금같은 정서라면 게임이 만원이라도 판매량은 지금보다 조금 늘어난정도일거고,
    제 생각엔 유저들의 의식이 제일 중요할것 같네요.
    불법으로 이용하는사람중에는 니들은 안썼냐? 지들도 썼으면서 뭘그러냐. 나, ↓댓글에댓글
  2. 2. 허상 '03.10.24 5:27 PM 신고
    :-)*자기 밥그릇은 자기가 지켜야지...
    알콜처럼 고소해서 돈 뜯어내면 되지않나? ↓댓글에댓글
  3. 3. 신수지 '03.10.24 5:47 PM 신고
    :-)*알꼴은 너무 웃기는 짓을 했고..
    퍼스컴 게임이란 역시 사서 하는 사람들에게
    "뭔가가 주어지는" 유도장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대요 ↓댓글에댓글
  4. 4. 박재현 '03.10.25 12:56 PM 신고
    :-)*이 게임 소장가치도 없는게임이다. 라는 말도 안돼는 이유로
    불법을 정당화 하려고 하는 사람이 많더군요.
    아무리 엄청난 락을 만들더라도 조금만 지나면 크랙이 나오고
    각종 해체법이 나오고 있습니다. ↓댓글에댓글
  5. 5. 박재현 '03.10.25 12:57 PM 신고
    :-)*지금이 유저들의 의식이 확실히 바뀌어야할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국내 팩키지시장은 거의 망했지만, 의식만 바뀐다면 살릴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팩키지 매니아로써 조금 안타깝습니다. ↓댓글에댓글
  6. 6. 김용식 '03.10.26 2:35 AM 신고
    :-)*너무 자주 너무 많이 쏟아져 나오니 ↓댓글에댓글
  7. 7. 정경수 '03.10.26 11:53 AM 신고
    정품게임 사고싶도록 만들어야지...마케팅 전략이 개판이니 누가 사겠어요 마케팅 전공한 사람이 한명도 없나봐...쯧쯧쯧.... ↓댓글에댓글
  8. 8. 김두협 '03.10.26 2:26 PM 신고
    :-)*어디서 들었는데..
    씨디 굽는 도중에 하드가 포멧된다는... ↓댓글에댓글
  9. 9. 권오덕 '03.10.24 11:31 PM 신고
    :-)*여자 등짝과 불법복제는 어떤 상관관계가??? ↓댓글에댓글
  10. 10. 최경환 '03.10.25 12:25 AM 신고
    :-)*복사 하는 사람들도 문제지만 무엇보다 쉽게 뚤리지 않는 락을 개발 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어느 누구나 뚫수 없는 락이 걸려있다면 정말 하고픈 게임이라면 사서 하겠죠 ↓댓글에댓글
  11. 11. 김원욱 '03.10.25 1:27 AM 신고
    :-)*예전에 게임대여점이 있었습니다.. 망한이유는 대여기간에 비해 게임의 플레이타임이 너무 길다는거죠...스타같은의 경우 시디키는 어떠고요?
    락또한 계속 개발되고 있지만 푸는법도 개발되는건 생각안하시는지요??
    사람들의 정신이 뜯어고쳐지지 않는한 ↓댓글에댓글
  12. 12. 김진우 '03.10.25 6:54 AM 신고
    :-)*아마 조만간 엄청난 퀄리티의 대작이 세계적으로 수입을 올리고
    우리나라에서 부수입을 올리는 그런 날이 올지도 모르겠군요...
    물론 저도 정품만의 퀄리티를 강조하는데는 찬성입니다...

    그나저나...여자등과 불법복제는 정말 무슨 관계일 ↓댓글에댓글
  13. 13. 김진우 '03.10.25 6:53 AM 신고
    :-)*제 생각에는
    앞으로 우리나라 게임은 온라인게임과 일부 아동용 소프트웨어
    정도만 그나마 적자를 면하고 후속작 개발비를 뽑을겁니다.
    안그래도 조그만 나라에 불법복제 유저 빼면 시장이 너무 협소하죠 ↓댓글에댓글
  14. 14. 이정승 '03.10.25 10:35 AM 신고
    :-)*PC 게임 아직도 나오는 구나.. PC 게임은 삼국지 시리즈만 나오는줄 알았는데
    콘솔겜의 경우 하나에 5만원 정도 하는 게임을 매달 삽니다.-_- 왜 그럴까요..
    PC 겜하면 생각나는 건 스타 워크 삼국지 만들다말았다, 창세 피파...
    이중에서 소장가치 ↓댓글에댓글
  15. 15. 이정승 '03.10.25 10:36 AM 신고
    :-)*소장가치 있는게 몇개나 있을까요?-_-산 보람이 없는 게임들... ↓댓글에댓글
  16. 16. 김시화 '03.10.24 11:21 PM 신고
    :-)*비싸고 빨리 끝낼 수 있으며(?) 또한 소장가치도 그리 많지 않는 게임에 비해
    싸고 10년이 넘게 들을 수 있고 또한 소장가치도 큰 음악앨범을 사람들이 찾겠죠. 따라서 돈벌기에 시급한 게임회사들은*아동용게임*온라인게임으로 전락하고 말죠. ↓댓글에댓글
  17. 17. 김영석 '03.10.24 11:30 PM 신고
    :-)*이건 그냥 순전히 그냥 생각난 제 의견인데요.... 왜 만화책도 두번잘 안보게 되니까 안사잖아요... 그래서 대여점이 활발하고.... 그니까 게임 대여를 활성화 시키는거에요... 어때요? 음... 안되나?? 헤헤.... ↓댓글에댓글
  18. 18. 정진우 '03.10.24 8:55 PM 신고
    :-)*불법복제는 2가지의 톱니 바퀴가 같이 돌아가야합니다... 하나는 유저들의 정품사용 인식이고... 다른 하나는 정품만의 특별한 퀄러티나 가격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느 한쪽만 강요를 한다면 불법복제를 막을수가 없겠죠... ↓댓글에댓글
  19. 19. 황승호 '03.10.24 11:04 PM 신고
    :-)*정품 게임 가격을 만원정도로하면 구입 안할사람이 없을듯.... ↓댓글에댓글
  20. 20. 최민형 '03.10.24 9:42 PM 신고
    :-)*정품을 샀을 때 몬가 특별한 다른게 있어야 좋을 듯 싶어요.
    정진우님 말처럼...또한 게임을 하는 부류는 대부분 10대라고 생각되는데요.
    학생이라는 부분을 감안해 가격이 너무 비싼듯 싶어요. ↓댓글에댓글
  21. 21. 유택근 '03.10.24 11:14 PM 신고
    :-)*그전에 거원오디오가 만원이였죠... MS word도 만원대에 팔던기억이있는것 같은데.... ↓댓글에댓글
  22. 22. 김시화 '03.10.24 11:22 PM 신고
    :-)*1.아동게임2.온라인게임 으로 전락하기 마련이죠.
    결국에는 1.싸고 2.장르가 다양하며 3. 다시 해도 지루하지 않는 게임을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