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요청+] 타이거 샤크를 아세요?

 
1978∼1982, 동서냉전의 최종 극한기에(미국에서는 레이건 대통령이 우주전쟁을 계획하기도 했었던) 민간기, 차세대 실험기 설계를 주로 하던 노스롭社가 기존의 "자유진영 중소국가 공군 보급용"으로 양산하고 개발/개조해온 F5시리즈, 프리덤.파이터 계열의 최고 걸작으로 불리는 F5E 타이거ⅱ의 초호화 업글판 전투기였답니다. 시험비행 중의 사고가 몇 차례 있었던 일이라던가 절대적인 자금력의 우위로, 제네랄 다이나믹스社의 팔콘이 20세기형 최종 차세대 보급기로 선정되기도 했지만.. 안그래도 중량대비 추력이 최고급이었던 타이거ⅱ의 J85.GE21엔진을(2t정도..쌍발) 달랑 900㎏이 겨우 넘는, FA-18용(현재의 호넷트의 이전 실험모델) GE404엔진을 처음으로 실전용 기체에 장착하고, 절대 기체중량을 극소화하고(5t밖에 안되는 전투기!) ..서도 단발엔진으로 기존의(F5시리즈) J85쌍발엔진보다 ⅔가량 추력을 높인 최고의 기체였답니다. 출력면에 있어서는, 타이거ⅱ의 최고 마하1.6 속도를 마하2.0으로 올린 정도였지만(설계상으로는 마하 6이 넘는 속도도 견딜 수 있는 유일한 기체였지만.. 엔진중량을 줄이고, 연료소모량도 대폭 줄이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했기에 GE404엔진을 사용했답니다. 동체의 구조나 외견은 (타이거 시리즈 가운데 유일한 단발엔진이지만)타이거ⅱ를 거의 그대로 가져왔고, 중심골격은 X15에 쓰였던(35만ft 고도를 마하 7∼8로 날아다니는 성층권 탐사기) 것과 똑같은, 나중에 X22의 제작에 쓰인 형태로 몰드된 (..라고는 해도, 역시 중량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모티브로 삼은 기체라서 외벽은 티타늄이 아니라 듀랄루민을 주소재로 쓰고 있지만, 대류권을 날아다닐 전투기라서 딱히 흠이 되지는 않겠대요) 최고의 (보기부터 날렵한)기체였대요. 가장 직접적으로는, "껍데기에 세라믹만 입히면" 로켓부스터를 가동시켜도 멀쩡히 날아갈 수 있는 몇 안되는 비행기라고 표현할 수 있겠지만(보통의 기체는 저항을 못견디고 분해됨) 순항시속 700㎞내외도 잘 안쓰는 전투기에, 그으∼런 설계가 어째서 필요했을까라는 의문은 정비시간 및 출격대기시간을 생각해보면 쉽게 알 수 있는 일이었답니다. 타이거.샤크보다 훨씬 나중에 공개되었고, 세계최단의 이륙거리를 자랑하던, 비겐마저 능가하는 SAAB社의 저 유명한 그라펜. 정비 및 출격대기시간에서는 세계최단이라고 하는 그 그라펜의 7분정비/1분출격보다도 두 배는 빠를 4분정비/37초출격이라는 전투기의 혁명을 가져올(뻔 했던) 비행기로 만들어졌답니다. (Volvo엔진은 통째로 떼고 갈아넣기가 좀 더 쉬운..점이 있어서 오버홀 시간은 그라펜이 낫겠지만) 표준장비로 전투시 행동반경은 FSX시노비의 절반 수준 밖에 안되지만.. F2라던가 FSX가 90년대 후반에나 나온 비행기고, 중량이랑 연료소모가(더불어 기체 크기) (타이거.샤크의)세 배에 이르는 수준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전혀!(보조 연료탱크 쓰냐 안쓰냐의 차이) 팔콘 베이스 계통과의 차별이 확실하다고나 할까요? 딱 하나 흠이라면, 기본 엔진장비 상태에서는 라팔보다 초계비행 고도가 쬐끔 낮다는 거지만.. (한 13000ft 낮은 데서만 활동함..이라고는 해도 실제 라팔이 6만피트 꽉 채워서 나는 경우도 없으니) 선회반경이나 순간출력대비 기체중량은 엄청 까다로운 난기류 지역에서도 하루 5회, 7회 출격과 전투활동이 가능하도록 고려된 (전투기 많이 못굴리는 나라用의) 파일럿의 근성과 깡다구에 따라서 "무한의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기체거든요. ≥≤ 여하튼! 날씬하고 날렵하고 쭈ㅡ욱 빠진, 타이거샤크라던가 타이거ⅱ의 이미지를 많이 가지고 있는 분이 ..계시면 모쪼록 분양 많이 해주세요.(이 스샷들도 아랫쪽 것은 타이거ⅱ) 덧) 타이거ⅱ와 마찬가지로 프리덤.파이터 베이스이긴 하지만.. G타입이라던가 D, B의 변형인 "제공호"는 그다지 취향이 아닌 게, 도색을 너무 촌스럽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더래요;;

치세
2003-11-11 09:41:00
2470 번 읽음
  총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장지혁 '03.11.11 2:56 PM 신고
    :-)*타이거샤크가 사장된 이유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도와 페이로드입니다. F404 단발 엔진에 의한 신뢰도 저하와, 태생에서 유래되는 낮은 페이로드는 타이거샤크의 용도를 크게 제한할 수밖에 없습니다. ↓댓글에댓글
  2. 2. 장지혁 '03.11.11 2:58 PM 신고
    :-)*작은 크기라서 탑재량이 적다는 것은 뭐라 할 말이 없지만, 최대 무장 탑재량, 최대 연료 탑재량에서 절대적 기준으로 적다는 것은 이 전투기가 단순한 방공전투 임무밖에 수행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댓글에댓글
  3. 3. 장지혁 '03.11.11 2:59 PM 신고
    :-)*소위 말하는 "가난한"공군을 위한 전투기라면 적은 대수로도 최다 출격을 통해 빈틈을 매우기보다는 한 기종으로 공중요격, 방공, 중단거리엄호, 지상근접지원, 정찰 및 커멘더, 대 게릴라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댓글에댓글
  4. 4. 장지혁 '03.11.11 3:00 PM 신고
    :-)*한국군도 이런 "가난한"공군으로 생각해볼 수 있으며, 한국공군의 전투기들 가운데 복좌기가 많은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댓글에댓글
  5. 5. 장지혁 '03.11.11 3:01 PM 신고
    :-)*보조 연료탱크 탑재를 통한 항속거리 연장은 무척이나 제한적입니다. F-15E 이후의 컨포멀 연료탱크나, MIG-29의 세비컨포멀 연료탱크에서 볼 수 있듯, 일반적인 연료탱크로는 그 저항으로 말미암아 연료 소모율이 훨씬 커지기 때문이죠. ↓댓글에댓글
  6. 6. 장지혁 '03.11.11 3:03 PM 신고
    :-)*그리고, 또 한가지. 저 옛날 설계의 기체가 높은 하중과 저항을 견딘다 하더라도 조종사가 견디지 못하면 소용 없는 일입니다. 분명한 것은 타이거 시리즈의 기체가 9G 이상의 연속 기동을 고려하고 설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죠. 기체가 아니라 조종사가 견디지 못하죠 ↓댓글에댓글
  7. 7. 하경수 '03.11.11 3:04 PM 신고
    :-)*이 비행기가 우리한테 낯 설지 않은 것은 공포의 외인부대에서 주인공 카자마 신의 기체로도 유명했죠. ↓댓글에댓글
  8. 8. 장지혁 '03.11.11 3:04 PM 신고
    :-)*실제로 저 기체를 개발한 노드롭은 이미 60년대에 에어쇼에서 F/A-18의 전신인 기체를 선보였었습니다. F-5를 통해 얻은 공력자료를 토대로 만들었죠. 충분한 신뢰성이 있었다면 이 새로운 기체를 만들 이유가 없었겠죠. ↓댓글에댓글
  9. 9. 장지혁 '03.11.11 3:05 PM 신고
    :-)*정확히 말해 타이거 시리즈의 기체로는 이미 60년대에 와서 한계를 알았던 것이죠. ↓댓글에댓글
  10. 10. 신수지 '03.11.11 10:19 PM 신고
    :-)*단좌기 가운데, 제일 "파일럿의 근성"과 실력에 달린 효과를 보여줄 수 있는 무대포의 기체라서 좋아합니다;; 어차피 승부의 세계에, 다목적기는 无用 ㅡoㅡ
    어떤 경우라도 깡으로 개길 각오를.. ↓댓글에댓글
  11. 11. 장지혁 '03.11.12 12:35 AM 신고
    :-)*현대 공중전은 먼저 발견하고, 먼저 쏘고... 신속히 전장을 이탈해야 합니다. 파일럿의 기량과 기체의 운동성보다 선행하는 것이 고성능 레이더와 정밀유도무기죠. 운동성이 떨어지더라도 먼저 다수의 적을 요격할 수 있다면 됩니다. ↓댓글에댓글
  12. 12. 장지혁 '03.11.12 12:36 AM 신고
    :-)*파일럿의 기량과 기체의 운동성이 요구되는 공중전은 도그파이팅. 현대전에서 이런 경우가 닥치는 순간 파일럿들은 "갓뎀"을 외치죠.. 최악의 경우가 아니면 접하지 않으니까요. ↓댓글에댓글
  13. 13. 장지혁 '03.11.12 12:39 AM 신고
    :-)*상대적으로 기량이 월등히 차이났던 중동전에서 격추당한 이스라엘 전투기는 모두 SAM에 희생됐습니다. 직접 SAM 공격을 받았을 때 근접신관을 갖춘 SAM에 격추당하지 않는 것은 오로지 운이죠. ↓댓글에댓글
  14. 14. 장지혁 '03.11.12 12:40 AM 신고
    :-)*만화나 영화에서 나오는 그런 박진감 넘치는 공중전은 현대전에서 이미 사라진지 오래입니다. 아마 레이저로 요격하는 시대가 오면 유인전투기라는 것 자체가 자살행위인 것처럼 말이죠. ↓댓글에댓글
  15. 15. 장지혁 '03.11.12 12:41 AM 신고
    :-)*이러는 저 역시 정작 저 타이거샤크는 좋아하는 기체 가운데 하나군요....^^; ↓댓글에댓글
  16. 16. 심혁성 '03.11.12 12:25 PM 신고
    :-)*아주 매끈하니 날렵하게 군살이붙지않구.. ↓댓글에댓글
  17. 17. 신수지 '03.11.12 7:25 PM 신고
    :-)*지극히∼ "미인"이라니까요^^
    "사람이 모는" 전투기로서는 최고라고 생각하거든요.
    전략적인 측면이나 전술효과는 모르겠지만.. 기동성도 굉장하고 말여요 ↓댓글에댓글
  18. 18. 고효남 '03.11.13 1:22 AM 신고
    추천! +40점! ↓댓글에댓글
  19. 19. 장난감 '03.11.16 6:47 PM 신고
    :-)*도색만 잘 해도 훨 괜찮아 보일텐데.. ↓댓글에댓글
  20. 20. Mave '03.11.19 1:13 AM 신고
    :-)*어찌되었건 경전투기의 한계를 보였다는..

    제가 한때 F-14와 더불어 최고로 좋아했던 기체입니다.. ↓댓글에댓글
  21. 21. 울트라맨z '03.12.10 3:40 AM 신고
    :-SF-5 실제로 전투기를 보고 이야기하는건지..
    실제로 보면 장난감 비행기
    한마디로 차로 말하면 티고입니다.. 마티즈도 아니고 티고^^ ↓댓글에댓글
  22. 22. TRIPOD '03.12.18 11:40 AM 신고
    :-)*저걸 F-16대신 도입할 뻔 했으니 정말 끔찍하다는 생각이..!!!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