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끝없는 실업대란, 서울대생도 20번 탈락

 


일을 하고 싶어도 못하는 것은 괴롭다.
작정하고 백수짓을 하겠다는 것도 아닌데.
사지육신 멀쩡한데 일을 못하다니.
그래도 한가닥 희망은 국내 최고의 대학인 서울대만 들어가면
취직 걱정이야 없겠지라는 것인데.
이젠 그런 안전판도 없나보다.
아! 이 실업 대란의 끝은 어디 있는가!

하지만 서울대에 다니는 분들도 곰곰히 생각해 보시라!
혹시 너무 높은 조건에만 매달리는 것이 아닌지.
작고 견실한 회사는 눈에 들어오지는 않는지.

------------------------------------------------------------------------------------

서울대를 비롯한 이른바 명문대도 더이상 ‘취업난 무풍지대’가 아니다. 일부 지방에서는 아직도 서울대생이 나오면 ‘축 서울 대 입학’이란 현수막이 내걸리고 마을 잔치가 벌어지기도 하지 만 명문대에 들어가는 것이 취업과 장래를 보장해주는 시대는 지 났다. 채용사이트 리쿠르트 이광석 사장은 “기업들이 대학 간판 만을 보고 인재를 뽑던 시대는 지났다. 이런 상황에서 학교만 보 고 진학을 결정하는 것은 어리석은 행동”이라고 입을 모은다. 서류전형에서만 20여차례 낙방한 한 서울대생의 구직스토리를 통 해 청년실업 문제의 심각성을 조명해본다.

“이제 취업만 시켜준다면 혼이라도 팔고 싶은 심정입니다. 취직 이 안되더라도 면접이라도 한번 봤으면 좋겠는데….” 16일 오후 서울대 중앙도서관 앞에서 만난 이 대학 인문대 4학년생 이모(2 6)씨는 긴 한숨부터 내쉬었다. 이씨는 지난 봄만해도 경기불황이 니 사상 최악의 취업난이니 하는 말들이 남의 얘기인 줄 알았다 . ‘그래도 국내 최고의 대학 졸업생이 설마 취직도 못할까’하 고 조금 안이하게 생각했다. 이른바 ‘잘 팔린다’는 법학과나 경영학과는 아니지만 그래도 서울대 인문대를 다니고, 토익점수 900점에 학점도 괜찮아(4.3만점에 3.2) 걱정은 하지 않았다. 취 업이 어렵다던 지난해에도 선배들 대부분이 취업을 했기 때문에 더욱 그랬다.

그러나 사정은 지난 8월 입사지원서를 작성하면서부터 달라졌다.

정성껏 작성했지만 첫 원서부터 서류전형에서 탈락했다. LG나 현대자동차등 5대그룹뿐만 아니라 두산, 금호타이어, 한화 등 30 대 그룹에서도 마찬가지. 상경계열보다 불리할 것 같아 인문계열 을 모집하는 곳을 중심으로 원서를 냈지만 결과는 참담했다. 지 금까지 원서를 제출한 20여곳 모두 1차인 서류전형에서 번번이 떨 어졌다.

이씨는 “그나마 저보다 학점도 좋고 토익점수도 높은 친구가 서 류전형에서 15번 떨어졌다는 사실에 위안을 얻고 있어요”라며 쓴 웃음을 지었다. 같은 과 친구 중 유학이나 고시 준비생들을 제외하고 취업희망자 10명 중 오직 1명만이 취업을 확정했을 뿐 이다. 이씨는 “취업사이트에 가보면 연·고대생들 중에는 토익 950이고 학점 3.7인데도 서류전형에서 30번 떨어졌다는 사람이 있 다”며 “취업이 어렵다고는 하지만 이렇게 심할 줄은 몰랐다” 고 말했다.

8월부터 고향에 내려가지 않은 이씨는 요즘에는 부모님께 안부전 화도 드리지 못하고 있다. 아들이 서울대에 다닌다고 동네에 자 랑하고 다니셨던 부모님의 목소리를 차마 들을 수 없기 때문이다 . 서류전형에서 20여번 떨어지자 요즘에는 두통에다 불면증에 시 달리게 됐다. 지난주부터는 그나마 채용공고마저 거의 끊겨 이제 는 더욱 우울한 겨울을 맞게 됐다. 이씨는 “대학을 졸업하면 공 무원으로 정년퇴직하신 아버지께 용돈을 드리려고 했는데…”라 며 눈물을 글썽였다.

심은정기자 ejshim@munhwa.co.kr

새벽야시
2003-11-17 16:14:42
2104 번 읽음
  총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깜시대장 '03.11.19 12:41 AM 신고
    :-)*솔직히 명문대 정도 다닌다고 하면 공부 잘하는 거겠죠~ 하지만 사회가 학교에서 공부 잘한거 가지고만 평가를 받는 곳이 아니잖아요~세상에 대기업만 회사고 중소기업이나 소기업 벤처는 회사가 아닌가? 자신을 조금만 낮추면 모두 취업이 가능할 꺼라 봅니다~ ↓댓글에댓글
  2. 2. 멀봐 '03.11.19 12:07 AM 신고
    :-)*정말로 웃기는 사람들입니다... 자기들 노력(물론 많이들 했겠죠) 도 하지 않아놓고는 그런 소리하면됩니까?

    위에 님 말씀처럼 3D업종에 처박아 넣고 반쥑이~ 뽀싸뿌리야됩니다.. ↓댓글에댓글
  3. 3. T없2맑은4랑 '03.11.18 6:45 PM 신고
    :-)*아무튼 저는 배운사람들은 그만큼의 정신적 수준을 갖추고 좀 더 못배운 사람들은 다른 방면으로 열심히 일을 하는게 가장 알맞다고 생각합니다. ↓댓글에댓글
  4. 4. T없2맑은4랑 '03.11.18 6:44 PM 신고
    :-)*든놈들.. 어쩌구.. 그러면 그건 뭔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부한게 죕니까? 결국 이나라가 발전되는것은 분명 3d업종이 기반이 되어야 하긴 하지만 머리에 많이든 사람들사이에서 그 직업창출을 하는 몫을 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댓글에댓글
  5. 5. T없2맑은4랑 '03.11.18 6:43 PM 신고
    :-)*너무 그러지 마십시오.. 분명 몇몇은 버릇없는 사람도 있을지 모르겠지만.. 자신이 죽도록 공부해서 써먹으려고 한것을 빛도 못보게 된다면 얼마나 원통하겠습니까.. 그리고 그러게 된 이 사회도 참 안타깝구요.. 공부는 자기가 하고 싶어서 한건데 무조건 머리에 뭐 ↓댓글에댓글
  6. 6. 빈깡통 '03.11.18 8:11 AM 신고
    :-)*잡것들 머리에 먹물이 가득차니까 별의별 핑꼐다데네
    하여튼 배운것들은 이래서 안된다니까 ↓댓글에댓글
  7. 7. 블랙천사 '03.11.18 2:46 PM 신고
    :-)*맞는 말이오...그저 편한 일만 하려 하단마리오...우리 회사도 3D업종에 속하오 그런데 대학 나온 사람은 사무직에 근무하는 몇명이오..그거도 목아지에 기부스를 했나 인사를 해도 도무지 인사 받아주는 인간 드물고..하여간 벼는 익을수록 머리르 숙이는데... ↓댓글에댓글
  8. 8. miso '03.11.17 11:47 PM 신고
    서울대답게 대기업만 쓰는군요. 조금만 낮춰서 중소기업에서 열심히해서 회사를 크게 만들면 그게 더욱 발전하는 길일것입니다. ↓댓글에댓글
  9. 9. 알짜보이 '03.11.17 8:30 PM 신고
    :-)*서울대 졸업생 분도 20번이나 떨어지다니.... 고졸(대학비를 못구할정도의 학생들)은 이제 어떻한다... ↓댓글에댓글
  10. 10. 섭이。 '03.11.17 7:56 PM 신고
    :-@*깜시대.. 님 말슴에 동참!! 편한 것만 따지니 저렇지.. 좀 힘든것도 알아야 돼요. ↓댓글에댓글
  11. 11. 깜시대장 '03.11.17 7:47 PM 신고
    :-)*우리나라 명문대생들은 모두 3D 업종에 박아넣고 한 3년은 고생을 시켜야 정신을 차린다니까~ 지금 3D 업종들은 일손이 딸린다는데~ 그져 편한거 쉬운거
    그져 높은곳만 보고 사니 취업이 될리가 있나~? 정신 좀 차려라~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