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MBC100분토론 벅스사태 벅스게시판 [펌]

 


방금 100분 토론을 보고 벅스에 가입하게 됐네요.

아랫글들 말들도 많지만 간단히 생각해 보자구요

예를 들어 만약 화가가 어떤 그림을 그렸다고 합시다..

정말 애써서..수 개월 동안 여러 사람의 자문도 구하고 그림을 팔때 어디에 팔지

물어보고 대신 팔아주면 이익도 나누어 갖기로 약속도 하고...

그런데 그 그림을 어떤 장사꾼이 화가의 허락도 없이 복사기에 넣고 쭉 복사해서

자신의 가게에 걸어 놓고 자신의 물건을 팔기 시작했습니다.

화가의 그림을 보고 사람들이 많이 모이게되자 또 다른 화가의 그림도 허락도

없이 또 쭉 복사해서 자신의 가게에 걸어 놓고 사람들의 시선을 모여

자신의 물건들을 또 팝니다.. 그 화가의 기분이 어떻겠습니까?

그러한 창작물들을 맘데로 쓰지 못하게 사회가 정해 놓은 법이 저작권 법 입니다.

물론 저도 공짜 좋아하고 소리바다에서 mp3도 다운 받아서 들어본적도 있습니다.

우리나라 가요앨범? 정말 허접합니다. 라이브 하면 길길 댑니다..

열 몇곡 중에 한 두곡 들을 만하다는 것도 사실 입니다.

하지만 이걸 합법적으로 당연하다는 듯이 몰고가는 것은 우리나라 음악시장을

더욱 더 파멸 시키는 것 입니다.

그런 가수들 음반은 사지 않으면 그만 입니다. 하지만 허접한 가수라고 해서

mp3 다운받아 듣는건 잘못된 것이 아닐까요?

또 한가지 더 예를 들어 차가 다니지 않는 새벽시간에 빨간불인 신호등을 건너면서

많은 사람들이 편하다는 이유로 또는 기다리기 싫어서 그냥 건넙니다.

하지만 수많은 사람들이 편하다는 이유로 빨간불인 신호등때 건넌다는걸

당연하다고 받아 들인다는건 잘못된 것 입니다.

또 음협 또한 "빨간불일때 건넜으니 여짓것 무단횡단한 벌금 다 내놓아라" 하는

것 또한 합리적이지 못한 것 입니다.

벅스에서 음악을 듣는 여러 네티즌분들...

최소한의 원칙은 알고 벅스를 또는 음협을 응원 또는 비난 하시는

성숙한 네티즌들이 되었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램에서 이 글을 남깁니다.

안양도령
2003-12-12 02:08:34
2312 번 읽음
  총 5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안양도령 '03.12.12 2:10 AM 신고
    :-)*여러분들의 생각은?? ↓댓글에댓글
  2. 2. 모미지 '03.12.12 2:29 AM 신고
    :-)*고구마 장사가 힘들어요. 100원만 주세요. ↓댓글에댓글
  3. 3. 사쿠라기하나미치 '03.12.12 2:54 AM 신고
    dc폐인이닷..........dc폐인은 디시로 가슈.......여긴 뭐하러 왔오 --ㅋ ↓댓글에댓글
  4. 4. 논뚜렁깡패 '03.12.12 4:46 AM 신고
    :-)*화가.......우하하하....그림좋아하는사람은 복사품 절대안사요..진품으로사지..
    그리고 토론을 봤듯이..벅스에서 새로운앨범의 몇곡을 들은후 자기가 좋아하는곡이고 앨범이 좋으면 사는사람이 만은걸로 알고있습니다... ↓댓글에댓글
  5. 5. 논뚜렁깡패 '03.12.12 4:48 AM 신고
    :-)*토론에서 그랬죠.......앨범사서 들어보고 마음에 안들면 100% 환불해줄거냐고
    소비자들에게 기본적으로 보고 듣고 평가해볼수있게 해줘야합니다.
    그리고나서 판단하는거죠...그걸 벅스에서제공하는데..그걸유료화할려고 뷁~이요 ↓댓글에댓글
  6. 6. 파천신검 '03.12.12 6:19 AM 신고
    :-)*논뚜렁님두 보셨군요.
    마음에 안들면 100% 환불해줄거냐고 물으니깐 대답이 없더군요.. ↓댓글에댓글
  7. 7. 반지하제왕 '03.12.12 9:00 AM 신고
    :-)*모든 근원은 인터넷 기술의 발전때문에 기인한걸로 보이는군요...몇해전만해도 지금같이 스트리밍서비스가 발전할지 몰랐으니...음협에서도 관심이 없었겠지만...지금 뚜껑을 열어보니 음반시디시장보다 더 부가가치가 높으니 ↓댓글에댓글
  8. 8. 반지하제왕 '03.12.12 9:04 AM 신고
    :-)*돈되겠다 싶으니...이제 그 권리를 되찾으려고 하는 거 같습니다...양방 모두 할 말도 많고 그 권리 또한 서로 인정해줘야될 듯 싶네요... ↓댓글에댓글
  9. 9. H.D '03.12.12 10:06 AM 신고
    :-)*환불에 한표...저도 제가 좋아하는 가수나 들어보고 노래가 좋으면 음반 구입합니다. 그렇니 환불에 한표... ↓댓글에댓글
  10. 10. 막쌍 '03.12.12 11:06 AM 신고
    :-)*전 음반협회 보면 항상 생각나는거지만. 어쨰서 게임물이나 영상물은 조용한거죠? 음협회처럼 요란떨지않는거 같은데..게임쪽은 거의 포기한거 같기도 하구요. 음악보단 게임물의 불법복제가 더 심할텐데... 영상쪽도.. 왜 그쪽은 음협같은 대응을 안할까요? ↓댓글에댓글
  11. 11. 아싸.... '03.12.12 11:26 AM 신고
    :-)*결국 다운이나 실시간 모든 인터넷의 음악이 유료화되면 벅스도 유료화엔 문제 없지만 벅스만 유료화하면 실패한다는거죠 실패는 곧 망한다는거고,
    솔직히 벅스에서 음악 들어본다음에 음반 사는데 그럼 어디서 들어보란 말이오? ↓댓글에댓글
  12. 12. 아싸.... '03.12.12 11:27 AM 신고
    :-)*물론 티비나 라디오로 들을순 있지만 내가 들을수 있는 시간에 듣고 싶은 음악을 듣는다는 것은 아무리 봐두 한계요 ↓댓글에댓글
  13. 13. 안양도령 '03.12.12 11:34 AM 신고
    :-)*논뚜렁님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입니다. 만은.. 이 아닙니다.
    그리고 벅스에서 음악을 듣고 앨범을 산다구요? 맞습니다.. 벅스에서 음악을 듣고 사는 사람도 있습니다만 방송이나 기타 매개체를 통해 구입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댓글에댓글
  14. 14. 안양도령 '03.12.12 11:37 AM 신고
    :-)*지금 토론의 중점이 벅스때문에 음반이 안팔리니 잘팔리니 하는 문제가 아니라. 디지털시대에 맞추어 새로운 시장 (mp3 다운로드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쌍방의 합의하에 열어가는냐가 관건인듯 싶습니다. ↓댓글에댓글
  15. 15. 안양도령 '03.12.12 11:41 AM 신고
    :-)*그리고 음반사고 안좋으면 환불이요? 어찌 그런 초등학생간은 발상을 가지고 계십니까? 파천신님이나 논뚜렁님은 음반을 사실때 아무런 정보도 없이 그냥 사십니까? 최소한 가수에 대한 정보나 방송을 통해 들어보고 사시는것 아닙니까? ↓댓글에댓글
  16. 16. 안양도령 '03.12.12 11:53 AM 신고
    :-)*그리고 벅스의 서비스 형태는 감상용 서비스지 절대 음반 판매를 위한 서비스라고는 보이지 않구요.. 음반을 사기전에 음반에 대한 모니터를 하기위한 서비스라 할지라도 저작권자나 저작인접자에게 승락을 받은 후 서비스 하는 것이 옭은 것입니다. ↓댓글에댓글
  17. 17. 강적 '03.12.12 12:55 PM 신고
    :-)*외국은 음악한곡만 따로따로 99센트식 다운받게 해주지 않나요? 우리나라도 한 1,000원선에서 한곡씩 다운받게 해주면 장사 잘되고 나가 떨어질꺼 떨어지고 쓸데없는 한두곡 빼곤 쓸데없는 음악듣느니. 한곡 만 좋은 음질로 사는건 어떨까요? ↓댓글에댓글
  18. 18. 주윤발 '03.12.12 1:37 PM 신고
    :-(*문제는 모두 공평하게 음원에 대한 사용료를 내야 한다는 것입니다. 벅스뮤직에 데해서는 1인당 500원씩 1천4백만회원용으로 받고, 그럼 7백억을 내야 하는데 왜 KBS에는 1년 사용료로 몇 억밖에 안 받습니까? 1년 매출이 수조원인데... 라디오나 TV는 복사못합니까? ↓댓글에댓글
  19. 19. 주윤발 '03.12.12 1:40 PM 신고
    :-)*궁극적인 문제는 뭐가 문제인지 모르는 정부, 자신들이 직접 벅스같은 회사를 통째로 삼켜 장사하려는 음반회사, 아무런 의식없이 음원을 사용한 벅스, 그리고 솔직히 말하면 정확히 뭐가 어떤게 법에 걸리는지 멋 모르고 사용한 네티즌이 문제입니다. ↓댓글에댓글
  20. 20. 주윤발 '03.12.12 1:43 PM 신고
    :-)*그리고 정말 가장 큰 문제는 세상이 팍팍 돌아가는데 그걸 감지 못하는 정부와 음반회사들입니다. 스트리밍 방식은 이제 바야흐로 성숙한 시장단계에 들어서는데, 아직도 초등생 수준으로 뒷북만 치는게 더 큰문제입니다. 사실 다른 쪽도 더 문제입니다만... ↓댓글에댓글
  21. 21. 주윤발 '03.12.12 1:45 PM 신고
    :-)*제 개인적으로 솔직히 말하면 음반회사들이 일부러 지금까지 기다린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좀 더 시장이 커지고 더 사회적으로 파장이 클 수 있을때까지 기다린게 아닌가 하는 ... 이런 저의 생각에 강추 100점 !!! ↓댓글에댓글
  22. 22. 주윤발 '03.12.12 1:54 PM 신고
    :-P*PS. 근데 지금까지 음반회사나 정부는 뭐 했대요? 자기 물건 가져다가 남에게 공짜(?)로 나눠주는데... 설마 법을 몰라서 액션을 안 취했나요? 그럼 법을 안 만든 정부가 문제네 ... ↓댓글에댓글
  23. 23. Szabo '03.12.12 2:08 PM 신고
    :-)*법의 칼을 들어 벅스를 탄압하는데 대응방법이 있을까요?
    네티즌의 미리(!)들을 권리를 악착같이 막으려는 음반협회의 대처에 이겨낼 방법이 있을까요?
    아니면, 음반협회가 힘을 쓰지 못하고 손발 들게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댓글에댓글
  24. 24. Szabo '03.12.12 2:10 PM 신고
    :-)*제가 보기엔 방법이 있습니다.
    국내음반 안사기...
    불매운동 벌이면...
    저분들(음반협회) 어이없는 짓거리에 대응하는 것은
    마찮가지로 막무가내식 집단행동 뿐입니다.

    논리가 통하지 않으면, 결국 실력행사라는 거지요. ↓댓글에댓글
  25. 25. 원더우먼 '03.12.12 2:11 PM 신고
    :-@*벅스뮤직은 돈받고 음악을 팔지 않습니다. ↓댓글에댓글
  26. 26. Szabo '03.12.12 2:12 PM 신고
    :-)*스트리밍 서비스때문에 음반 판매량이 줄어드니...
    스트리밍 서비스 하면 안된다...가 저들의 논리입니다. ↓댓글에댓글
  27. 27. Szabo '03.12.12 2:14 PM 신고
    :-)*그럼 보여주는 거지요.
    스트리밍 서비스 막으니...음반 판매량이 늘더냐? ↓댓글에댓글
  28. 28. 달빛청년 '03.12.12 3:40 PM 신고
    :-)*벅스가 노래 복사해서 막 뿌리는건가요?? 그리고 요즘 대부분 벅스유저들 벅스에서 노래 들어보고 음반 사게 되는 방향으로 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벅스를 조금이라도 써보셨는지 궁금 하군요..어제 저도 100분토론 봤는데 벅스를 완전히 불법행위라도 하는것처럼 ↓댓글에댓글
  29. 29. 달빛청년 '03.12.12 3:41 PM 신고
    :-)*몰아 버리더군요.. 음협쪽에서는 아무런 대책 없으면서 무조건 벅스 없애라! 유료화 해라! 소리바다 없애라!! 이러는거 참 보기 안좋군요.. ↓댓글에댓글
  30. 30. 때릴꺼야? '03.12.12 4:40 PM 신고
    :-)*그 창작물의 복사품을 보고 좋다고 생각하면 화가를 찾아가 진품을 받아오겠지요. 복사품따위를 벽에 걸어놓고 싶은 사람은 없을겁니다. ↓댓글에댓글
  31. 31. 때릴꺼야? '03.12.12 4:41 PM 신고
    :-)*"이 그림은 살만한 가치가 있다"라고 생각될때 구입하는 게 요즘 시대입니다. 무턱대고 그림만 그려가지고 잘팔아보려는 생각자체가 잘못된 것이죠. ↓댓글에댓글
  32. 32. 때릴꺼야? '03.12.12 4:43 PM 신고
    :-)*좀 빗나간 이야기지만 소리바다가 사라지면 국내 수백만개의 인터넷방송국의 운영은 어떻게 될런지.. ↓댓글에댓글
  33. 33. 후니--; '03.12.12 6:06 PM 신고
    :-)*또시끄릅네! 벅스가만놔두지!
    너그들이 먼데! ↓댓글에댓글
  34. 34. 울트라캡쑝짱 '03.12.12 11:24 PM 신고
    :-)*http://kr.news.yahoo.com/service/news/ShellView.htm?ArticleID=2003121220361325001&LinkID=9&bbs=on&NewsSetID=16&ModuleID=470
    야후 뉴스 보니 위와 같은 말이 있네요.. 축구 경기장에서 애국가 틀었으니 돈내라고 음반협회에서 그랬답니다. 근데 돈은 못낸 ↓댓글에댓글
  35. 35. 울트라캡쑝짱 '03.12.12 11:25 PM 신고
    :-)*구단들을 고소 했다고 하네요... 이를 어찌하나~~ 애국가도 돈내고 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댓글에댓글
  36. 36. 헬리혜성 '03.12.12 11:39 PM 신고
    :-)*지금 애국가도 돈 내라구하는데 그냥 이번 기회에 음협 대기업으로 성장하겠네요 축카 애국가 로얄티만 얼만데... 재벌 1위 음협 ↓댓글에댓글
  37. 37. 안양도령 '03.12.12 11:46 PM 신고
    :-)*같은 저작자 입장의 병철님의 생각은 어떠신지요..? ↓댓글에댓글
  38. 38. GunDam '03.12.13 12:15 AM 신고
    :-)*병철님을 끌어드릴필요까지야 있을까요?
    자신의 입장을 댓글로 달아주세요.
    벅스와 속도 패치와는 엄현이 틀린건데. ↓댓글에댓글
  39. 39. GunDam '03.12.13 12:17 AM 신고
    :-)*그리고 어제 토론을 보니 외국에서 유로화된 스트리밍 서비스가 시작된지 꽤됬음에도 불구하고 사양화 되는 사업이라는것에 양쪽다 동의 하는 문제인데 벅스보고 그냥 지금까지 일구어 놓은 사업을 접으란 말씀이십니까?
    양도님 같으면 그러실수 있을까요? ↓댓글에댓글
  40. 40. 둘이서 '03.12.13 12:21 AM 신고
    :-)*음반협회들 벅스처럼 서비스하면서, 질좋은 음반서버 구축해서 음반판매에 열중하던가? 괜히 가상공간에 떠도는 파일 뭐라고 욕해봤자.. 인터넷전산망이 없어지지 않는한 개인대 개인 전송방식을 어떻게 단속.. 전국민 전부 범죄자다 그래^^** ↓댓글에댓글
  41. 41. GunDam '03.12.13 12:22 AM 신고
    :-)*그리고 님 말처럼. 음반을 사기위해선 정보가 필요로 합니다. 아무음반이나 큰돈주고 사지는 않죠 방송이나 라디오에서 어떤 신인 가수가 나왓다고 칩시다. 1시간이라는 방송시간대에 그 가수 혼자 전곡을 다 부릅니까? ↓댓글에댓글
  42. 42. GunDam '03.12.13 12:23 AM 신고
    :-)*1곡 내지는 2곡 부르면 다행입니다...헌데 씨디 한장에 1만원 이상주고 사는데 1~2곡 좋다고 그 씨디를 다 산다는건 문제가 있지 않습니까? 최소 반이상 좋아야 그 씨디를 구매할수있는 매력이 있지 않을까요 그러기위해선 벅스에서 한번 듣고 구입을 하는게 ↓댓글에댓글
  43. 43. GunDam '03.12.13 12:23 AM 신고
    :-)*좋지 않을까요? ↓댓글에댓글
  44. 44. 빈깡통 '03.12.13 1:37 AM 신고
    :-)*좋게 해결으면 합니다
    좋은 해결방안이 있을법도 같은데 절충안을 모색해 봅시다 ↓댓글에댓글
  45. 45. 안양도령 '03.12.13 2:04 AM 신고
    :-)*건담님 병철님을 끌어 들인게 아니라 의견을 물어본 겁니다.여긴 토론하는 곳 아닌가요? 그리고 음악과 프로그램은 포멧은 다르지만 저작권이 있는 저작물이라는건 같습니다. 그리고 벅스가 일궈놓은 사업을 접으란 얘기가 아닙니다. ↓댓글에댓글
  46. 46. 안양도령 '03.12.13 2:10 AM 신고
    :-)*애시당초 저작권자에게 허락없이 스트리밍서비스를 했다는 것은 분명 잘못된 것입니다. 그리고 벅스가 스트리밍 서비스만 했나요? 사람들 많이 모이게되자 이런저런 배너 걸어놓고 장사하기 시작 했잖아요. 제말이 틀린가요? 그냥 음악 서비스만 해도 불법인데 ↓댓글에댓글
  47. 47. 안양도령 '03.12.13 2:14 AM 신고
    :-)*벅스는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로 회원수를 늘리고 그 회원들로 사적이익을 챙기고자 여러 컨텐츠까지 만들었습니다. 순수하게 네티즌들에게 음악만 들려주고자 서비스를 한것이 아니란 말입니다. 그렇다고 음협도 잘한것 하나도 없습니다. 현실을 받아들이고 ↓댓글에댓글
  48. 48. 안양도령 '03.12.13 2:20 AM 신고
    :-)*적절한 선을 찾아 네티즌+벅스+음협 이 모두 살길을 모색해도 모자랄 판에 계속 터무니 없는 돈만 달라고 하는건 음협이 욕 얻어 먹을만 합니다. 애국가 얘긴 정말 황당한 발상 이더군요..고 안익태 선생이 애국가 들려줄때 돈 받으라고 시킨것도 아닌데.. ↓댓글에댓글
  49. 49. 안양도령 '03.12.13 2:24 AM 신고
    :-)*토론의 요지가 잠깐 빗나갔는데요.... 최소한 벅스가 마치 합법적으로 음악서비스를 한 것 처럼 몰고 가는건 틀린 것이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벅스는 잘못을 시인하고 또 음협은 현실에 맞게 대처해서 하루 빨리 모두가 살길을 찾는게 바람직 하다고 생각합니다. ↓댓글에댓글
  50. 50. GunDam '03.12.13 10:34 AM 신고
    :-)*물론 합법적이여야 겠지만 이미 많은 회원을 가지고 있는 거대 싸이트로서 음협도 어느정도는 눈감아 주고 가야 할점이 있다는것을 주장합니다. ↓댓글에댓글
  51. 51. 별샘달샘 '03.12.13 2:03 PM 신고
    :-)*음반협 도둑놈들!!!!!!! 애국가도 니네꺼냐? 음악은 다 지들껀줄아네....... ↓댓글에댓글
  52. 52. GunDam '03.12.13 10:29 AM 신고
    :-)*스트리밍 서비스를 유로화 한다면 필히 망하게 될겁니다. 길가에 파는 싸구려 테입보다 유리한면이 한개도 없는 스트리밍을 누가 돈주고 듣겠습니까? 이동이 용이하길 하겠습니까? 그러다고 음질이 좋습니까? 아니면 내 하드디스크에 남는것도 없는 ↓댓글에댓글
  53. 53. GunDam '03.12.13 10:31 AM 신고
    :-)*그런 서비스를 누가 돈을 꼬박꼬박 내고 들을 까요? 차라리 라디오을 듣는게 났지. 외국에선 이미 점점 지고있는 산업이라고 어제 양쪽 토론자들이 인정 했습니다. 그러니 제글에서 벅스 망하라는 소리냐는 글이 나오게 된것 입니다. ↓댓글에댓글
  54. 54. 마마푸 '03.12.14 10:32 AM 신고
    :-)*벅스가 분명 불법인 것은 맞지 않습니까?
    그리고 애국가의 저작권을 나라에서 산것이 아니라 유족에 있으니까 당연히 저작권이 유족에게 가야하는 거죠. 대리 업무를 하는 사람을 욕하면 안되죠. 당연한건데.
    벅스만 너무 옹호를 하지 말고 음협에게도 너 ↓댓글에댓글
  55. 55. 마마푸 '03.12.14 10:33 AM 신고
    :-)*무 시비걸지 맙시다. ↓댓글에댓글
  56. 56. 신세기 '03.12.16 1:18 AM 신고
    :-)*음협 너무하군요. 우리나라도 빠른 시일내에 씽글앨범이 나와야 한다고 생각되는군요. 그리고 이젠 앨범으로 돈버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이젠 콘서트죠. 싸이가 이렇게 말하더군요. 다운받아서 듣던말던 신경쓰지 않는다. 그냥 콘서트에 놀러와 같이 놀자고... 음협도 ↓댓글에댓글
  57. 57. 신세기 '03.12.16 1:21 AM 신고
    :-)*빨리 깨우치고 고쳐야 할것입니다.아니 가수들이 개우쳐야 할려나요..
    아무튼.. 이사태가 완벽히 해결되길 바랍니다. 좋은쪽으로요.
    그리고.. 벅스도 돈을 벌어야 서버를 운영하지 않겠습니까? 배너를 걸은건 서버관리비& 사무실 운영비& 직원 월급일건데.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