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무선랜-SMC2804WBR AP와 SMC2835W Cardbus Adapter[1]

 

김재성(jsmail@netian.com)

초고속 통신망의 빠른 발전으로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대역폭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도 홈 네트워킹 및 케이블 모뎀이나 xDSL과 같은 초고속 인터넷 망을 2대 이상의 컴퓨터에서 동시에 이용하려는 이용자가 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홈네트워킹 및 인터넷 공유를 위한 방법으로는 인터넷 IP공유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유선공유기 제품과 유무선 겸용제품이 있다. 요즈음들어 어디서나 무선인터넷 환경을 즐길 수 있는 네스팟(nespot) ZONE이 급속히 들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에 발맞추어 인텔은 모바일 세계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새로운 노트북 기술인 인텔?? 센트리노™ 모바일 기술로 무선 기술을 통해 접속을 유지하면서 노트북을 들고 집 안을 자유롭게 돌아다니거나 카페, 공항 또는 작업장에서 언제든지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모바일 컴퓨팅환경을 앞당기고 있으며, 무선랜카드를 장착한 PDA 또한 인기를 끌고 있다. 따라서 유무선 공유기 제품의 인기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무선랜이 채택된 유무선 공유기는 무선에 있어 최대 11Mbps 까지 지원이 가능한 802.11b 지원 제품과 54Mbps를 지원하는 802.11g 제품이 있으며 초근 최대 108Mbps 속도를 지원하는 제품이 등장하고 있어 무선 대역폭에 있어서도 유선속도을 넘보고 있다.

필자도 두 대의 데스크탑과 한 대의 노트북을 사용하고 있으며, 유선 IP 공유기를 사용하여 PC간의 파일 공유 및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다. IP공유기를 사용해본 분들이라면 인터넷 동시접속 및 파일공유의 편리함 등에 대해 이견을 가진 분들은 없으라라 생각된다. 문제는 유선공유기에서는 피해갈 수 없는 것이 케이블링의 문제이다. 사무실에서는 지저분해지는 랜 케이블을 감추기 위하여 랜공사를 한다지만 일반 가정에서는 랜공사도 쉽지 않다. 벽면을 통하여 케이블링한다지만 방과 방사이에는 방문이 가로 막고 있고, 거실의 바닥면을 또는 천장모서리를 통하여 케이블링을 해야 하는데 랜선을 감추기도 어렵고, 깔끔한 배선처리를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유무선 겸용제품의 인터넷 공유기가 아닌가 생각한다. 특히 이동이 자유로운 노트북에 무선 랜카드를 장착하여 거실에서 편리하게 인터넷을 이용한다는 것은 상상만으로도 즐거운일이 될 것이다.

1. SMC2804WBR AP와 SMC2835W Cardbus Adapter 와의 첫 만남

 

유무선 공유기 박스를 열어보니 매뉴얼과 설치 시디가 눈에들어온다. 역시 박스 디자인과 같은 깔끔한 디자인의 설치 CD와 사용자 설명서를 볼 수 있다.

설치 CD와 사용자 설명서 아래로 중후한 느낌의 SMC2804WBR AP가 모습을 드러낸다.

2. SMC2804WBR 제품스팩 및 패키지 구성

SMC2804WBR 54M 유무선인터넷공유기

LAN Interface

4-Port Auto-MDI/MDIX 10/100Mbps Switch

WAN Interface

1-Port 10/100Mbps WAN Port

무선인터페이스

- 802.11g draft, 802.11b Compliant
- IEEE802.3,802.3

주파수대역

2400-2483.5MHz

운용채널

13 Channels (IEEE 802.11b/11g Compliant)

로밍

IEEE 802.11b 표준/802.11g draft 로밍 기능 지원

통신거리

- 개방 환경 350M (1,155 feet)
- 사무실환경90M (300 feet)

실질적인 최고
지원가능 인터넷 속도

1 / 2 / 5.5 / 6 / 9 / 11 / 12 / 18 / 36 / 48 / 54Mbps

보안성

- 64/128-bit WEP(Wired Equivalent Privacy) Encryption
- 802.1x
- WPA(Wi-Fi Protected Access)

지원프로토콜

- TCP/IP, PPTP, L2TP, IPSec Passthrough(VPN)
- DNS, SNTP, NAT, DHCP, HTTP, HTML
- PPP Internet Control Protocol, PPP Authentication Protocol, Point-to-Point Protocol

인증

FCC Part 15, ETS, VCCI/JATE, CSA/TUV, DGT, Telec

출력

16dBm

Size

8.625 x 5.25 x 1 in (without Antenna)

제품특징

▶Access Control IP 및 MAC 을 통한 Access 제어기능을 통하여 허가받지 않은 클라이언트의 접근을 엄격히 차단.

▶시간별 억세스 제어기능을 통하여 무분별한 인터넷사용을 제한.

▶Parental control

▶키워드 또는 특정사이트 접속 차단 기능통하여 무분별한 인터넷사용을 제한.

▶64/128-bit WEP Encryption 보안 및 방화벽 기능

▶현재 가장 강력한 보안표준인 802.1x 인증 및 WPA(Wi-Fi Protected Access) 지원

제품문의

디지털넷 (//www.digital-net.co.kr/)

제품스팩을 살펴보면 SMC2804WBR는 802.11g 무선랜 표준을 지원하는 유무선 공유기로 1Port 의 10/100Mbps WAN 포트와 4Port의 10/100Mbps의 LAN 포트를 가지고 있으며, 802.11b 하위 호환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패키지 구성을 살펴보면 SMC2804WBR공유기 본체, 안테나2개와 고무링, DC 9VA 전원 어뎁터, 사용설명서, 설치 CD, LAN Cable로 구성되어 있다.

2. SMC2804WBR 제품외형 자세히 살펴보기

필자는 한국통신 VDSL을 이용하고 있는데 사용설명서 없이 쉽게 설치하고 별다른 세팅없이 바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었다. 인터넷 접속 양호하고, 메신저도 이상없이 사용가능 하였다. 자세한 제품설치 및 세팅방법은 다음에 다루기로 하고, 먼저 제품의 외형부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제품의 외형]

[네타미 제품과 크기비교]

SMC2804WBR 의 박스를 개봉하고 이 제품을 보니 예상했던대로 묵직한 중량감에 제품의 외관은 짙은 회색계열의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였고, 첫눈에 튼튼하고 단단한 느낌의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옆에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있다. 안테나는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제품의 전면이미지]

제품의 전면 이미지이다. 동작상태를 알려주는 LED가위치해 있다. 좌측으로부터 파워 LED가 초록색, WLAN은 라우터가 유효한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었을 때 초록색, WAN은 WAN 포트가 유효한 네트웍에 연결되어 있을 때 초록색, LAN1-LAN4는 LINK/ACT와 Speed로 구분되어 있는데, LINK는 해당 랜포트가 유효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면 초록색으로 켜지고, 송수신시에는 점멸한다. Speed는 100Mbps연결되면 켜지고 10Mbps에 연결되면 꺼진다,

제품의 뒷면은 먼저 양쪽에는 안테나를 장착할 수 있는 커넥터가 위치하고 있고, 9VA 전원 어댑터 단자, WAN 포트 4개의 LAN 포트로 구성되어 있다. WAN 포트 와 LAN 포트 사이에 reset 홀이 마련되어 있다. 뽀족한 연필이나 볼펜등으로 살짝 눌러주면 초기화 된다

[제품의 뒷면이미지]

무선연결은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연결이 가능하므로 무선랜카드만 있으면 무선 사용이 가능하다. 전원스위치는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전원차단시는 전원잭을 분리해야 한다. 전원 스위치를 자주 사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원스위치 부재는 아쉽다.

[제품의 측면이미지]

제품의 측면은 라우터의 방열을위한 환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약 10일간 계속 켜진상태에서는 미지근한 발열을 보여 발열성능은 양호한면을 보여주고 있다.

[제품의 바닥면 이미지]

제품 바닥면은 제품명, 지리얼넘버, 인증규격등이 스티커로 부착되어 있다.

3. SMC2804WBR 손쉬운 제품 설치

실제 제품을 설치하면서 환경설정을 알아보기로 하자.외장형 모뎀을 WAN 단자에 연결하고, PC에 연결되는 랜 케이블을 LAN 단자에 연결하고, 전원어뎁터를 연결한다

. 아래 그림과 같이 PWR, WAN, LAN LED에 불이 들어온다.

필자는 한국통신 VDSL회선(10Mbps)을 이용하고 있다. 제품을 설치하고 별다른 소프트웨어 설정없이 바로 인터넷이 사용 가능하였다. 설정방법은 자동설치 CD사용방법과 웹 브라우저를 사용한 수동 설정 방법으로 구분된다.

자동설치 CD를 이용하면 네트워크에 지식이 없는 초보 사용자도 쉽게 환경설정을 마칠 수 있다. 설치 CD를 삽입하면 아래와 같은 환경설정 화면이 나타난다.

Router Setup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가입망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케이블 모뎀이나 VDSL을 사용자는 Cable을 ADSL가입자는 DSL을 선택하면 된다.

만약 DSL을 선택한다면 아래와 같은 계정정보와 암호 입력을 요구한다. 이때는 컴퓨터에 자동접속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추가 삭제를 통하여 제거후 실행해야 한다.

NEXT를 클릭하면 설치프로그램이 환경에 맞게 라우터 환경설정에 들어간다.

잠시후 환경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준다. 쉽게 환경설정을 마칠 수 있도록 설치 프로그램을 제공하므로 네트워크 초보자도 라우터 설치에 어려움이 없다.

4. 수동 설정 및 펌웨어 살펴보기

그럼 실제 파워유저를 위한 수동 환경설정 및 펌웨어 구성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192.168.2.1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인증화면이 나타난다.

암호는 초기에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바로 LOGIN을 클릭하면 환경설정에 들어갈 수 있다.

환경설정화면이 웹 환경의 영문 메뉴로 되어 있어 처음에는 생소하게 느껴지나 쉽게 셋업을 마칠 수 있는 Setup Wizard 메뉴와 고급사용자를 위한 Advanced Setup 메뉴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 환경에 맞추어 환경설정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먼저 Setup Wizard에 의한 세팅메뉴이다. 1단계 Time Zone을 세팅한다. Seoul을 선택하였다.

[Time Zone 세팅]

NEXT를 클릭하면 2단계 서비스 받고 있는 망의 유형을 선택하도록 되어있다.

[Broadband Type 선택]

만약 ADSL사용자의 경우 PPPoE xDSL을 선택한다면 아래그림과 같은 계정을 물어보게 된다. 필자는 VDSL을 사용하므로 Cable Modem을 선택하였다.

[ADSL사용자의 경우 계정입력]

정상적인 경우 아래그림과 같은 Conected!라는 메시지를 만나게된다.

Advanced Setup를 클릭해보면 아래와 같은 연결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제 본격적으로 Advanced Setup 메뉴를 살펴보도록 하자.

System Settings

먼저 System메뉴는 Setup Wizard 에서 만났던 Time Zone세팅, 공유기에 접근할 암호를 설정하는 Password 세팅, 아래그림에서 처럼 원격지에서 공유기 조정이 가능하도록 관리하고자하는 원격지 IP를 입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SYSTEM 메뉴]

WAN Settings

WAN Setup메뉴는 외부 연결망에 대한 유형을 선택하는 메뉴로 구성되어 있는데 케이블 모뎀사용자나 VDSL망 사용자의 경우는 Dynamic IP Address를 ADSL사용자의 경우는 PPPoE를 선택하면 된다.

[WAN 메뉴]

Dynamic IP Address에서는 맥 어드레스 복제기능은 Clone MAC Address기능을 제공하는데 일부 케이블 모뎀 사용자의 경우 랜카드의 맥 어드레스를 검사하는 경우가 있는데 맥 어드레스 검사로 접속이 되지 않을 때 Clone MAC Address기능을 사용하면 원할한 접속이 가능하다.

[Dynamic IP Address 메뉴]

ADSL사용자의 경우는 PPPoE를 선택하고 계정정보를 입력하면 된다. 기타 고정 아이피 사용자를 위한 세팅 메뉴들이 준비되어 있다.

[PPPoE 메뉴]

LAN Settings

LAN 메뉴는 라우터 내부망의 랜 구성에서 IP 대역을 수정하거가 DHCP서버를 통한 IP 자동할당등에 대한 세부사항을 설정한다. 디폴트 세팅상태가 DHCP서버 Enable이므로 라우터에 연결된 PC들은 자동으로 IP Address를 부여 받게 된다.

IP Address Pool은 자동 할당할 IP대역의 범위를 지정하여 라우터 프로세서의 부하를 줄여주어 전체적인 성능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LAN 메뉴]

Wireless Settings

Wireless메뉴는 무선설정에 관련된 메뉴로 Channel and SSID, Encryption, 802.x 의 하위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무선설정은 특별한 환경설정없이 그대로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무선랜은 케이블을 이용하는 것과 달리, 전파를 이용하므로, 안전한 데이터 보안을 위한 메뉴가 마련되어 있다. 대표적인 것이 ESSID, WEP기능들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Wireless메뉴:Channel and SSID]

1. Channel and SSID항목 : 기본 ESSID (Extended Service Set ID)가 SMC로 세팅되어 있다.

  • 이는 무선랜 사용범위에 동일한 제품 또는 동일한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LAN을 사용하고 있다면 Network이 혼선될 우려가 있다.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서 같은 Network에 소속되어있는 PC에 같은 ESSID를 설정, 다른 ESSID를 가진 Network와 구분시켜 다른 ESSID를 가진 네트웍에서 부정한 접속을 막을 수 있다.

2. Wireless Mode : 표준규격이 아래와 같이 정해져 있는데

  • IEEE 802.11 : 2.4GHz, 2Mbps, FHSS/DSSS
  • IEEE 802.11b : 2.4GHz, 11Mbps, DSSS
  • IEEE 802.11a : 5GHz, 54Mbps, OFDM
  • IEEE 802.11g : 2.4GHz, 54Mbps, OFDM

IEEE 802.11b 규격과 IEEE 802.11b 규격 Only 및 두가지 규격의 Mixed 모드를 지원한다. 전송속도는 Automatic 모드와 54Mbps에서 1Mbps까지 속도를 지정할 수 있으며 채널은 13개의 채널을 지원한다.

[Wireless메뉴:Channel and SSID]

2. Encryption항목 : 64-bit WEP과 128-bit WEP의 암호화를 지원한다.

[Encryption항목]

  • WEP (Wired Equivalent Privacy) 을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
    WEP은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기능으로 암호 Key word를 입력하면 그 Key를 암호코드로 변환시켜 전송한다. 수신 측은 동일한 Key word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한다. 따라서 호 Key word를 모르는 제3자가 전파를 도청하여도 Data를 해독할 수가 없게 된다.

NAT Settings

NAT 메뉴는 고급사용자가 아니면 이해하기 힘든 용어도 많이 있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는 디폴트 상태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Web 서버를 운영한다던지, 특정 인터넷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에서 문제 발생시 NAT기능을 설정해 주면 무리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Network address translation(네트웍 주소 변환)는 Address Mapping, Virtual Server, Special Applications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IIP주소가 부족하고 보안상에 몇가지 문제가 있어서, 점점 더 많은 네트웍에서 인터넷에서 사용할 수 없는 사설 IP를 사용하고 있다. 사설망에 있는 호스트에서 인터넷에 접속을 하거나 인터넷망에서 사설망의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서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기능이 필요하다.

Address Mapping 메뉴는 외부 공인 IP와 내부의 사설 IP매핑을 통하여 외부 네트웍에서 내부 네트웍의 특정 PC에 접근을 허락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웹서버나 FTP, 메일서버를 동시에 운영할 경우 외부 공인 IP를 서버에 할당한 사설 IP와 메핑을 하는기능이다.

[Address Mapping ]

Virtual Server메뉴는 가성서버를 세팅하여 내부에서 www, ftp, dns, mail등 각종 서버를 운영할 수 있는 메뉴이다,

  • 가상서버란 외부에서 특정 포트를 통한 연결이 들어올 경우 특정 IP로 연결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주는 방식이다.www의 경우 외부포트에서 80으로 요청할 경우 192.168.2.1으로 지정하면 192.168.0.1번이 web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ftp의 경우 21, SMTP의 경우 25, pop3의 경우 110번으로 설정할 수 있다.

[Virtual Server메뉴]

Special Applications 메뉴이다. 온라인 게임이나, 다이얼패트, 구루구루등 특정서비스 사용할 때 문제 발생시 특성서비스에서 원하는 포트를 열어주는 기능이다. 화면아래에 배틀넷, 다이얼패드, PC-to -Phone등을 선택하면 해당 포트를 열어줄 수 있으며 목록에 없는 포트는 추가적으로 입력해주면 된다.

[Special Applications 메뉴]

Security Settings (Firewall)

Firewall(방화벽 설정)은 Access Control, MAC filter,URL Blocking, Schedule Rule, Intrusion Detection, DMZ등 다양한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Access Control 기능은 내부 사용자가 특정한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기능이다. 특정서비스 접근을 막으려면 해당서비스에 Blocking을 체크하면 된다.

[Access Control 기능]

MAC Filter기능 또한 보안을 위한 기능으로 랜카드에는 각각의 MAC Address라는 고유번호가 있는데, 네트웍에 접속을 허가할 무선LAN 카드의 MAC Address을 등록하면 다른 MAC Address를 가진 무선LAN 카드로는 접속이 불가능하게 되어 보안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MAC Filter기능]

URL Blocking 기능은 청소년들의 무분별한 사이트 접속 및 특정사이트에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URL제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특정 키워드 또는 URL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사이트의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URL Blocking 기능]

URL Blocking 기능이 설정된 사이트에 접속을 시도하면 해당사이트에 접속이 불가능하게 된다.

Schedule Rule은 사용시간을 제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의 무분별한 사용을 막기위하여 사용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Schedule Rule]

Intrusion Detection 메뉴는 외부의 해킹을 감지하여 그 상황 및 조치 사항을 관리자의 메일로 발송하는 기능이다. 탐지하고자 하는 해킹의 종류를 선택하여 체크하고 메일주소를 입력하면 공격시도에 대한 로그를 E-Mail을 통하여 받아볼 수 있다.

[Intrusion Detection]

DMZ 설정은 Web 서버를 운영시 문제가 발생한다던지, 특정 인터넷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에서 문제 발생시 DMZ host 기능을 설정해 주면 무리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공유기를 거치지 않은 상태와 같은 기능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 세팅한다. DMZ 설정은 공유기 아래에 연결된 컴퓨터 중 한대만이 사용이 가능 하다.

[DMZ 설정]

DDNS (Dynamic DNS) Settings

DDNS 시스템은 유동 IP 를 전용선에 부여되는 고정 IP 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이다.

  • 참고 :DDNS란?
    DDNS 가 하는 일은 일반 DNS 가 하는 일과 같습니다. 그러나 Domain : IP 쌍을 파일에 저장하지 않고 주메모리에 저장합니다. 왜냐하면 유동 IP 를 대상으로 하는 본 시스템의 특성상 IP 를 영구 저장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수시로 그 내용을 갱신하면서 관리하는데는 주메모리가 가장 적당하기 때문입니다.
    DDNS 시스템을 구성하는 또 하나의 요소에는 Noti 가 있습니다. DDNS 는 각 회원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Noti 로부터 그 컴퓨터에 현재 할당되어 있는 IP 를 통보받아서 그 IP 를 Domain : IP 쌍으로 기억합니다. 그러면 자신만의 Domain : IP 쌍을 기억하고 있는 DNS 가 인터넷 상에 있는 것이 되므로 자신의 컴퓨터로 인터넷상에서 모든 네트워크 서비스 (Web, FTP, Mail, Chatting 등 전용선에서만 가능한 모든 서비스) 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신이 슈퍼 유저이므로 CGI, DB 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www.ddns.co.kr

[DDNS (Dynamic DNS) Settings]

UPnP(Universal Plug and Play) Setting

UPnP(Universal Plug and Play)는 특히, 가정 내에서 PC와 지능형 장치 또는 기기를 피어-투-피어 방식의 네트워크로 연결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될 아키텍처로 UPnP는 TCP/IP, HTTP 및 XML과 같은 인터넷 표준과 기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장치들이 서로 자동 연결되고 더욱 많은 사람들은 네트워킹(특히, 홈 네트워킹)을 통해 함께 사용할 수 있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 Setting]

Q.

UPnP란 무엇입니까?

A.

UPnP(Universal Plug and Play)는 특히, 가정 내에서 PC와 지능형 장치 또는 기기를 피어-투-피어 방식의 네트워크로 연결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될 아키텍처입니다. UPnP는 TCP/IP, HTTP 및 XML과 같은 인터넷 표준과 기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장치들이 서로 자동 연결되고 더욱 많은 사람들은 네트워킹(특히, 홈 네트워킹)을 통해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일반 사용자는 UPnP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습니까?

A.

일반 사용자는 간편해지고 더욱 혁신적인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UPnP 기술을 사용하는 네트워킹 제품은 네트워크에 물리적으로 연결만 하면 "바로 작동"됩니다. UPnP는 유무선에 관계 없이 거의 모든 네트워킹 미디어 기술과 호환됩니다. 여기에는 Category 5 이더넷 케이블, Wi-Fi 또는 802.11B 무선 네트워크, IEEE 1394("Firewire"), 전화선 또는 전력선 네트워킹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장치와 PC가 서로 연결되면 사용자는 혁신적인 새로운 서비스와 응용 프로그램을 더욱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Q.

UPnP Forum이란 무엇입니까?

A.

UPnP Forum은 가정과 궁극적으로는 기업 내에서 지능형 장치의 네트워킹을 단순화하는 UPnP 표준을 규정하기 위해 1999년 6월에 출범한 개방된 통신업계 컨소시엄입니다. UPnP Forum은 UPnP 장치 제어 프로토콜 및 서비스 제어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발표함으로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2001년 6월 현재 350개 이상의 기업이 UPnP Forum의 회원사로 가입하였으며, 22개 회원사로 이루어진 UPnP Steering Committee가 UPnP Forum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 컨소시엄의 노력을 구체화하기 위해 특정 장치 분야를 전담하고 있는 Technical Committee, Marketing Committee 및 기타 다양한 위원회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UPnP Forum 가입 정보 및 전체 회원사 목록은 UPnP Forum 웹 사이트 에서 볼 수 있습니다.

참고: //www.microsoft.com/korea/windowsxp/pro/techinfo/planning/networking/natfaq.asp

Tools Settings

Tools Settings메뉴는 세팅상태를 저장하거나 다시 불러올 수 있는 Configuration Tools메뉴 Firmware Upgrade메뉴 세팅상태를 공장초기화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Reset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Firmware Upgrade]

Status

마지막 Status메뉴는 시스템의 연결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현재 연결상태를 표시해준다.

펌웨어 구성은 영문으로 인해 생소한 느낌이 들지만 메뉴체계가 일목요연하고 초보자에서 파워유저까지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섬세한 세팅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다. 펨웨어가 한글화 되어 있으면 환경설정이 보다 용이해 보인다.

5. 유선환경에서의 간단한 속도 테스트

먼저 제품의 유선 환경에서의 인터넷 직접연결과 공유기 통과후의 속도 저하를 체크하기 위해 속도를 비교해 보기로 하자. 무선환경은 제품 설치에서부터 속도 테스트 까지 다음에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테스트 회선은 한국통신 VDSL(10Mbps) 환경이다.

테스트 시스템 1

운영체제

Windows XP PRO

CPU

펜티엄4 2.4C

VGA

빅빔 라데온 9000PRO VIVO

HDD/ODD

시게이트 바리쿠타 80GB/ 라이트온 401S(DVD RW)

RAM

256MB(DDR PC3200) x 2

MainBoard

기가바이트 2004 GA-8IPE1000 PRO2 GT Edition

LAN

인텔 82547E 칩 (10/100/1000Mbps 랜 지원)

테스트 회선

KT 메가패스 VDSL( 10Mbps)

이미지촬영

삼성 캐녹스 V4

▶ 다이렉트 연결과 공유기연결후 스피드 테스트

인터넷 공유기를 사용시 속도 저하를 호소하는 사용자가 많아 먼저 다이렉트 연결과 속도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한국통신 인터넷속도 측정 사이트(speed.kornet.net)의 속도테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공유기를 다이렉트로 연결한 상태에서 5회 속도 테스트를 실시후, 공유기에 테스트 시스템을 모두 연결한 상태에서 5회 테스트하여 평균수치의 측정값값을 기재하였다. 속도 테스트는 같은 시간대에 측정하였다.

[다이렉트 연결]

[공유기 통과후 스피드]

공유기 통과 후 아주 지연율이 약간 증가하며, 속도저하가 전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부적인 속도테스트 및 어플리케이션지원성능, 무선사용시 안정적인 속도가 보장되는가? 전파 노이즈는 없는가? 얼마정도 떨어진 거리에서 안정적인 사용가능한가?... 등의 테스트는 다음회 무선랜 카드 테스트를 마치고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하겠다.



2003-12-26 18:11:43
2085 번 읽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