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DownStream의 변경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저는 온세통신 샤크를 사용중이며, 모뎀은 넷앤시스 MNG-2005, 랜카드는 리얼텍 8139C(버젼 606)를 사용 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경우 윈도우즈 XP Pro와 윈도우즈 서버 2003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으로 테스트 해 보았습니다.


인터넷에서 //192.168.100.1/에 들어가면 모뎀에 대한 상태를 보여주고 설정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메뉴Status에 들어가서 Downstream Status로 가면


Downstream Lock : Locked


Downstream Frequency : 489000000 Hz


Downstream Modulation : 64 QAM


Downstream Interleave Depth : 32


Downstream Receive Power Level : -0.06 dBmv


Downstream SNR : 36.58 dB 이 나옵니다.


여기서 Downstream Frequency의 설정 값을 바꾸면 인터넷 속도가 바뀝니다.


그렇기에 저에게 맞는 수치를 아신다면 리플 달아주세요.


우선 서버 2003으로 Downstream Frequency 489MHz는 6Mbps. 495MHZ는 0.8Mbps


XP Pro의 경우는 Downstream Frequency 489Mhz일 경우 9.5Mbps이며, 495Mhz일 경우 2Mbps가 나옵니다.


저는 현재 부산 연제구에 살고 있습니다. 489Mhz와 495Mhz가 아닌 다른 좋은 주파수를 알고 계신가면 알려주세요.



2003-12-30 20:00:44
1137 번 읽음
  총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River '03.12.30 8:18 PM 신고
    :-|*근데 둘다 써보신것 중에 어떤게 낳나염? ↓댓글에댓글
  2. 2. 우아우누아 '03.12.30 9:33 PM 신고
    :-)*잘 나온 순서는 XP Pro 489MHz, 서버 2003 489MHz, XP Pro 495MHz, 서버 2003 495MHZ입니다. ↓댓글에댓글
  3. 3. 매연단속 '03.12.31 10:24 AM 신고
    :-)*어떻게 바꿔여? 안바꿔지던데 ↓댓글에댓글
  4. 4. 매연단속 '03.12.31 10:25 AM 신고
    :-)*저희집은 429Mhz나오는데--; ↓댓글에댓글
  5. 5. 콩탄 '03.12.31 10:41 AM 신고
    :-)*무슨 말도 안돼는 얘기를, 케이블모뎀의 하향 신호는 1개 입니다. 다른 주파수는 타 ISP업체의 주파수죠. 즉 파워콤 망을 예로 든다면 두루넷,온세,데이콤,하나로가 존재할수 있겠죠. 하향 채널 간격은 6Mhz 입니다. 즉 489,495,501,507이런식의 주파수가 할당되겠죠. ↓댓글에댓글
  6. 6. 콩탄 '03.12.31 10:44 AM 신고
    :-)*모뎀 mac이 타 ISP업체에 모두에 등록되어있다면 모를까? 근데 그럴경우는 거의 없거든요. 각 ISP업체의 자산이기땜시. 그러니, 서버에서 489 495 이런식의 변경은 이루어질수 없습니다. 모뎀은 mac 이 등록되어 있는 ISP업체의 할당된 하향주파수에만 붙게 되어 있어요 ↓댓글에댓글
  7. 7. 콩탄 '03.12.31 11:05 AM 신고
    :-)*자 그럼, MNG-2005에 있는 하향주파수 입력에 관한 사실을 알아볼까요? 그 하향 주파수는 모뎀이 한번이라도 붙었던 흔적이 있는 주파수을 남깁니다.왜냐? 그래야, 모뎀 전원을 off/on하게되면 88~860Mhz 모뎀의하향주파수인데 앞에서부터 6Mhz간격으로 찾으면 늦게 ↓댓글에댓글
  8. 8. 콩탄 '03.12.31 11:07 AM 신고
    :-)*붙으니깐, 그 시간을 줄이기 위해 먼저 메모리에 있는 하향 주파수 부터 접속하게되는거죠. 그래서 모뎀이 빨리 online되는거랍니다. 그 메모리에 있는 주파수를 모두 지우고, 확인 버튼을 누른후 전원을 off/on 해보세요. 그럼 모뎀이 늦게 붙을거에요. ↓댓글에댓글
  9. 9. 콩탄 '03.12.31 11:08 AM 신고
    :-)*그럼, 비씨인들 새해 복많이 받으시구요. 모두들 건강하세요~ ↓댓글에댓글
  10. 10. 매연단속 '03.12.31 12:18 PM 신고
    이거 괜히 건드렸다가 피봤네..ㅡ.ㅡ; 핑값이 8~9ms 나오던게 이거 잘못건드리니깐 80ms가 넘어가네--;; ↓댓글에댓글
  11. 11. 조경은 '03.12.31 4:54 PM 신고
    :-)*ㅡㅡㅋ ↓댓글에댓글
  12. 12. 칠흑의천사 '03.12.31 5:46 PM 신고
    :-)*저는 678Mhz -ㅁ-;;; 지역케이블 임 ↓댓글에댓글
  13. 13. 딩가 '04.1.4 12:30 AM 신고
    :-)*케이블모뎀이 사용할수 있는 하향주파수는 해당지역의 셀이 CMTS의 하향포트를 몇개 점유하고있냐에 따라 틀려지죠. 489MHz 6Mbps. 495MHZ 0.8Mbps 님이 계신곳은 하향포트를 두개 쓰고있는 지역이고 한쪽포트는 사용률이 높아 속도저하, 한쪽은 사용률이 낮아 속도업.. ↓댓글에댓글
  14. 14. 딩가 '04.1.4 12:37 AM 신고
    :-)*글구.. MISP지역에서 ISP업체별로 하향채널을 할당하는건 아닙니다. 파워콤 CMTS를 가지고 ISP업체에서 사용한다면 같은 상하향 주파수 및 광.동축망, 장비는 다 같고 서비스 업체만 틀리게 사용하는거죠. CMTS의 소유가 ISP것이라면 상하향 주파수를 할당하는게 맞구. ↓댓글에댓글
  15. 15. 딩가 '04.1.4 12:41 AM 신고
    :-)*우아우누아님이 질문하신내용의 답은 하향주파수 두개중 잘나오는곳 하나를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딴 주파수는 없어여.. 셀분할 및 포트분할등에 의해 하향주파수가 추가 또는 변경된다면 모를까~~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