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파나소닉 NV-DV411KR 디지털캠코더

 
파나소닉 NV-DV411KR 디지털캠코더
     2002.01.25

기왕이면 정지화상이 아닌 동영상을, 그것도 아날로그 방식이 아닌 디지털로 만들고 싶은 이들이 많아지면서 디지털 캠코더의 인기가 치솟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첨단 기능보다는 필수적인 기능만을 갖춘 이른바 보급형 디지털캠코더들 역시 하나 둘씩 선보이고 있어 적은 예산으로 디지털캠코더를 장만하려는 이들의 마음을 부풀게 한다. 파나소닉 NV-DV411KR은 이런 범주에 딱 들어맞는 디지털캠코더이다. 디지털캠코더가 갖춰야할 기본적인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값도 그리 비싸지 않아 보급형 디지털캠코더를 장만하려는 이들에게 권할만한 제품이다.

» 전형적인 파나소닉 디지털 캠코더의 인상을 보여주는 DV411KR.



첨단 기능보다는 기본 기능에 충실한 제품


파나소닉 DV411KR은 요즈음 선보이는 이른바 버티컬 타입처럼 매우 작고 가벼운 디자인은 아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밸런스가 잘 잡혀있어 제법 오랜 시간을 들고 촬영하더라도 그다지 무겁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디지털캠코더로 촬영하다보면 줌기능이나 레코딩 버튼 등 각종 스위치 위치가 어중간한 것을 볼 수 있다. 지나치게 첨단 디자인을 택한 탓이 크다. 이런 제품은 얼른 보기에는 멋있지만, 막상 쓰기에는 불편하다. 이른바 조작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파나소닉 DV411KR의 경우에는 이런 스위치를 한 손으로 조작하기 쉽도록 잘 설계되어 있어 이런 불편이 덜하다.
디지털캠코더나 디지털카메라의 성능을 한마디로 표현하는 잣대는 아무래도 CCD일 것이다. 빛을 감지해서 전기적 신호로 만들어 메모리나 테이프에 기록하도록 만들어주는 디지털 영상장치의 핵심부품이기 때문이다. 이런 CCD의 성능은 흔히 화소수로 표시한다. 이 제품을 포함해서 최근에 가장 흔히 만나볼 수 있는 CCD의 화소수는 68만 화소이다. 물론 소니를 비롯한 일부 제조사에서는 100만 화소 이상의 제품을 선보이고있기도 하지만 이 정도 화소라면 가정용 동영상용으로는 충분한 수준이다.






CCD화소수만큼이나 디지털캠코더에서 중요한 것이 바로 줌기능이다. 멀리 떨어진 물체를 찍을 때 줌기능은 매우 요긴하게 쓰인다. 이런 줌기능은 실제로 렌즈를 움직여 물체를 가까이에서 찍어내는 광학줌기능과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미지를 확대하는 디지털줌으로 나눌 수 있다.

당연히 광학줌 기능이 강해야 좋은 디지털캠코더라고 할 수 있으나, 높은 숫자로 표시되는 디지털캠코더의 마력에 현혹되는 경우가 많다. 초보자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실수이다. 이 제품의 경우 광학줌 20배와 디지털줌 300배로 보급형 제품임을 생각하면 상당한 수준이다. 실제로 줌기능을 적용해서 촬영한 이미지 역시 무난한 편이다.

멀티미디어카드와 리모컨은 기본


디지털캠코더는 대부분 동영상을 찍는데 쓰지만 일반 디지털카메라처럼 정지화상도 찍을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디지털캠코더는 동영상을 기록하는 테이프는 물론, 디지털카메라처럼 메모리슬롯도 갖추고 있다.
이 제품의 경우 흔히 쓰는 스마트미디어카드(SMC)대신 크기가 작은 멀티미디어카드(MMC)를 쓴다. 게다가 이런 정지화상을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전용의 USB포트까지 갖추고 있다. 다른 제품과는 확실히 구별되는 편의성으로 정지화상을 많이 찍는 경우라면 무척 쓸모 있을 듯 싶다.

» MMC카드를 이용해 디지털카메라로 이용한다. » PC연결을 위해 USB 포트를 따로 갖추었다.

물론 동영상을 컴퓨터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대역폭이 좁은 USB포트로는 충분치 않다. 당연히 IEEE1394포트를 갖추고 있어 PC와 쉽게 연결할 수 있다. 일부 제품에서 보이는 호환성의 문제 역시, 기본으로 윈도우즈 시스템에서 제대로 인식한다.





물론 동영상을 컴퓨터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대역폭이 좁은 USB포트로는 충분치 않다. 당연히 IEEE1394포트를 갖추고 있어 PC와 쉽게 연결할 수 있다. 일부 제품에서 보이는 호환성의 문제 역시, 기본으로 윈도우즈 시스템에서 제대로 인식한다.

 



2004-01-07 13:36:47
799 번 읽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