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팬 방식으로 더욱 열을 줄였다 - 세븐팀 ST-302HLP 전원공급장치
|
| ||||||||||
펜티엄4와 애슬론XP의 전력소비량은 대략 60w 정도. 물론 클럭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쉽게 말해 컴퓨터 안쪽에 60촉짜리 전구를 켜는 만큼의 전력을 소비하고, 또 그만큼의 열을 내뿜습니다. 이런 고성능 CPU가 몰고 온 변화는 여러 가지이겠지만, 그 가운데 전원공급장치를 빼 놓을 수는 없습니다. 예전에는 케이스와 함께 들어있는 부속품 정도로 취급되었지만, 컴퓨터의 전력소비량이 늘고, 발열량이 커지면서 펜티엄III시대와는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중요한 부품이 되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동안의 푸대접대신 정당한 대우를 받게 된 셈이죠. 어느덧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전원공급장치의 규격이 300w라는 것이 좋은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난 15년 동안 고급형 전원공급장치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던 세븐팀에서 새로운 300w급 전원공급장치, ST-302HLP를 선보였습니다. 넉넉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능력은 기본에, 세븐팀으로는 처음으로 2팬 방식으로 방열효과를 더욱 높인 것이 특징입니다. | ||||||||||||||||||||||||||
좋은 전원공급장치가 갖춰야할 조건을 골고루 만족시켜 좋은 전원공급장치가 단지 안정적인 전원공급에 그친다면 무엇인가 부족함을 느끼게 하는 것이 요즈음의 분위기입니다. 그만큼 대부분의 전원공급장치가 안정적인 전원공급에서는 어느 정도 최소 기준을 만족시키기 때문이죠. 따라서 요즈음 선보이는 고급형 전원공급장치라면 모름지기 조용하면서도 뛰어난 방열효과, 안정적이면서 높은 Combine 전압, 여기에 안정성을 높이는 최신 부가기능 정도를 갖춰야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가장 크게 달라진 모습은 팬이 두 개라는 것입니다. 보통 전원공급장치는 하나의 팬으로 컴퓨터케이스 안쪽의 열을 바깥으로 뿜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문제는 펜티엄4나 애슬론XP같이 발열량이 큰 CPU를 기본으로 쓰게되고, 고성능 하드디스크를 비롯한 각종 드라이버의 개수가 늘어나면서 기존의 팬 하나로는 조금 걱정될 정도로 온도가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특별한 방열장치가 없는 경우 전원공급장치의 팬은 거의 유일한 컴퓨터 시스템 전체의 냉각장치인 셈입니다. 이런 저런 이유로 요즈음에는 팬을 두 개 갖춘 전원공급장치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새롭게 더해진 팬은 안쪽의 열을 빨아들이고, 다른 하나는 열을 바깥으로 방출합니다. 당연히 냉각효과는 뛰어납니다. 문제는 이렇게 팬을 두 개 쓰게되면 그만큼 소음이 커지는 문제가 생긴다는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제조사인 세븐팀에서는 92mm의 흡입팬과 80mm 배기팬 모두 2볼 베어링 팬을 달았습니다. 소음과 방열효과 어느 하나도 놓치지 않은 셈입니다. 분당 회전수는 92mm팬이 2,300회, 80mm팬이 2,500회 정도로 무작정 회전수만 높인 일부 저가형 제품과는 차이를 보입니다. 팬 제조사는 각종 쿨러로 유명한 SUNON사 제품으로 상당히 고급스럽습니다. 실제 제품을 장착해 보았습니다만 2팬 방식이라는 것이 전혀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조용합니다. STNC? Active PFC? 소음은 더욱 줄이고 절전효과는 최대로 전원공급장치의 성능은 케이스를 열어보면 쉽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꼼꼼하고 잘 만들어진 전원공급장치와 그렇지 않은 제품은 겉모습은 비슷하지만, 안쪽의 각종 콘덴서, 필터, 센서, 회로 등은 숨길 수 없기 때문입니다. 세븐팀의 기술력 또한 안쪽에서 쉽게 느낄 수 있는데 그 처음은 세븐팀에서 특허 신청중이라고 하는 S.T.N.C.기술부터입니다. S.T.N.C.(Smart Thermal & Noise Control)란 한마디로 전원공급장치의 쿨러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는 회로 디자인 설계를 말합니다. 앞서 소음은 적고 방열효과가 뛰어난 SUNON팬을 달았다고 설명했습니다만, 팬 하나만 달라져서는 그 효과가 그렇게 클 수는 없습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최근에는 팬을 직접 제어하는 회로를 추가하고 있습니다. STNC 회로는 전원공급장치 안쪽의 온도와 시스템의 부하 용량, 이 두 가지를 고려해서 팬의 회전속도를 최적으로 조절합니다. 무조건 최고 회전수로 팬을 돌린다면 냉각효과는 뛰어나고 전원공급에도 100%의 능력을 보이겠지만, 소음이라는 측면에서는 단점이 적지 않습니다. 이를 회로를 써서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는 똑똑한 전원공급장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AMD 애슬론XP 2000+가 장착된 시스템에 세븐팀 전원공급장치를 달아보았더니, 예전전원공급장치보다 확실히 구분될 정도로 뛰어난 방열효과를 보이면서도 소음은 줄어든 진일보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물론 팬 자체가 회전하는 소음까지는 어쩔 수 없지만, 2팬이면서 소음이 적은 비밀의 하나는 바로 S.N.T.C덕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소음을 S.N.T.C로 잡았다면 액티브 PFC 기능은 전력효율을 높이는 기술입니다. 전원공급장치에 쓰이는 PFC(Power Factor Connection)기능은 전원공급장치의 전력 효율 향상 기능으로 전력소비량은 줄여 절전효과는 극대화라고, 반대로 전자파 등은 줄이는 기술입니다. 전원장치에 전력효율을 높이기 위해 절전 회로를 따로 달아 놓은 것인데, 흔히 쓰는 방식으로는 액티브방식과 패시브의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액티브회로의 가장 큰 장점은 전력 효율이 95%에 이를 정도이므로 절전효과가 매우 뛰어나다는 점입니다. 반대로 전자파가 많이 발생하고, 고주파 노이즈가 심해 잘 만들지 않으면 쉽게 도전하기 힘든 방식입니다. 패시브방식은 전자파 발생이 거의 없고 구조가 간단하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상대적으로 값도 싼 편입니다. 대신 전력효율이 60~80%정도로 액티브 방식에 비해 떨어진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액티브방식과 패시브방식은 이렇듯 장단점이 있습니다만 전원공급장치 본래의 기능에는 액티브방식이 좀 더 어울린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동급 300w급 제품과는 달리 캐패시터는 220㎌ 400V의 정류 콘덴서를 하나만 쓰고 있습니다. 일단 400V로 승압시키는 방식으로 액티브PFC방식을 구현합니다. 액티브PFC방식을 쓰기 위한 가장 강력한 무기인 셈입니다. 어지간한 350w급 제품보다 높은 Combine전압을 낼 수 있는 것도 이런 설계덕분입니다. 고성능이라는 말이 어울리는 명품. 혹시나 과전류가 들어오더라도 만약을 대비하는 퓨즈는 기본. 그리 어렵지 않게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입력라인의 노이즈를 줄여주는 EMI 필터 또한 좋은 전원공급장치답습니다. CMOS상의 전압은 정확한 결과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만 비교적 안정적이라는 판단을 하기에는 부족함이 없습니다. 옥의 티라면 고급제품답지 않게 전원연결선에 대한 배려가 조금 부족하지 않나 싶습니다. 커넥터의 수도 넉넉하고 길이 역시 충분하지만, 좀 거칠어 튜브 등으로 깔끔하게 정리했으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을 남깁니다. 어찌 보면 아무것도 아니지만 고급 제품이라면 이런 사소한 점에도 좀 더 신경을 썼으면 더욱 좋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300w급 제품 가운데 상대적으로 비싼 것도 단점입니다. 세븐팀 ST-302HLP은 누구에게나 어울리는 제품이라기보다는 그 가치를 아는 이들에게 더욱 빛을 발하는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높은 클럭의 CPU를 쓰면서 평소 전원부족으로 고민했던 이들이라면 무턱대고 높은 출력의 전원공급장치를 넘보기보다는 잘 만들어진 이 제품에 눈길을 주어도 좋지 않을까요? |
비씨파크 주식회사, 대표이사 : 박병철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박병철
사업자등록번호 : 114-86-19888 |
본사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3길, 42, 1307호
전자우편 : master@bcpark.net |
(전화전 이용문의 게시판 필수)
전화: 02-534-982구(09:00~18:00) |
팩스: 02-535-155구 |
긴급: 010-9774-988삼
ㆍ저작권안내 : 비씨파크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에 보호를 받습니다. 단, 회원들이 작성한 게시물의 권리는 해당 저작권자에게 있습니다. 비씨파크에 게재된 게시물은 비씨파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타인의 저작물을 무단으로 게시, 판매, 대여 또는 상업적 이용시 손해배상의 책임과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ㆍ쇼핑몰안내 : 비씨파크는 통신판매중개자로서 상품 주문, 배송 및 환불의 의무와 책임은 각 판매 업체에 있습니다.
Copyright ⓒ 2000-2025 BCPARK Inc.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