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킹맥스 컴팩트플래시(CF) & 멀티미디어카드 (MMC)

 


킹맥스 컴팩트플래시(CF) & 멀티미디어카드 (MMC)







     2002.08.27







최근 들어 컴팩트플래시, 스마트미디어, 메모리스틱, 멀티미디어카드 등 이른바 디지털 저장매체에 대한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디지털카메라와 MP3플레이어는 물론 디지털캠코더, PDA 등 디지털 저장매체를 필요로 하는 이른바 디지털 가전기기의 가짓수와 쓰임새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용량 역시 최하 64MB정도이고 가장 많이 찾는 저장매체의 용량이 어느덧 128MB에 이를 정도입니다.

전문연구기관의 분석으로는 앞으로 적어도 5년 이상 매년 85%정도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을 정도입니다.








» DDR메모리로 유명한 킹맥스에서 선보인 컴팩스플래시와 멀티미디어카드.










» 박스형태로 일일이 개별 포장되어 판매됩니다.

DDR333과 DDR400 메모리를 가장 먼저 선보이면서 많은 관심을 모은 킹맥스에서 컴팩트플래시와 멀티미디어카드를 선보인 것은 PC를 중심으로 하는 메모리는 물론 이런 다양한 디지털 저장매체까지 영역을 넓혀나가는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보입니다.


메모리 전문 제조사 킹맥스


킹맥스는 TinyBGA특허기술로 열 특성, 잡음특성 및 컴팩트싸이즈에 두 배의 용량을 갖는 제품을 주로 생산하는 대만의 메모리 모듈 전문 제조사입니다. 이미 킹맥스 TinyBGA MicroDIMM은 도시바 Portege, 소니 VAIO 시리즈 등 유명 서브노트북에 적용되고 있을 정도입니다. 애플 Power Book뿐만 아니라 아이북(iBook), 아이맥(iMac)에도 512MB 킹맥스TinyBGA SODIMM메모리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 노트북용 메모리모듈의 시장점유율 70%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인정받고 있는 품질을 자랑하며 호환성도 자랑한다고 제조사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구분

킹맥스 컴팩트플래시 킹맥스 멀티미디어카드


종류

컴팩트플래시 멀티미디어카드


인터페이스

Memory, IO, ATA MMC / SPI Mode


용량

4~256MB 32~256MB


인증

CFA -


전압

5V /3.3V 듀얼 2.0V(Cominication Mode)
2.7~3.7V (작동시)


특징

저전력 사용 저전력 사용


크기

42.8×36.4×3.3mm 32×24×1.4mm


핀 수

50핀 7핀


제조원

킹맥스(www.kingmax.com.tw)


판매원

창남무역(www.changnam.co.kr)



킹맥스 컴팩트플래시(CF)










» 킹맥스 고유의 디자인이 잘 살아있는 컴팩트플래시. 사진은 128MB 제품.

창남무역이 취급하는 킹맥스 컴팩트플래시입니다. 현재 이 시장은 토종 삼성전자, 일본의 저장매체 전문 제조사인 하기와라, 원천 기술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는 미국 San Disk, 대만의 트랜센드 등이 치열한 시장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얼마전 삼성전자가 San Disk와 상호 특허를 공유하고 장기공급을 하는 계약을 체결할 정도로 발전하는 시장이기도 합니다. 이런 시장에 킹맥스는 DDR메모리로 인증 받은 기술력과 상대적으로 저렴한 값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도전장을 내밀고 있습니다.


킹맥스 멀티미디어카드 (MMC)










» 진한 녹색이 인상적인 킹맥스 멀티미디어카드.

멀티미디어카드는 기존에 쓰였던 스마트미디어를 빠른 속도로 대신하고 있습니다. 이미 최근 선보이는 상당수 디지털카메라나 MP3플레이어는 저장매체로 멀티미디어카드를 쓰고 있습니다. 디지털캠코더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킹맥스 멀티미디어카드는 작은 사이즈와 넉넉한 용량을 바탕으로 San Disk, 트랜센드, 하기와라 등 경쟁상대와 치열한 접전을 벌일 것으로 보입니다.

무엇보다 DDR333과 DDR400에서 인정받은 기술력과 경쟁제품에 비해 상당히 싼값을 바탕으로 나름대로 시장의 인기를 모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004-01-07 13:41:34
585 번 읽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