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속도보다는 품질. 최고의 다이렉트X 그래픽카드는! 17종 성능비교

 


속도보다는 품질. 최고의 다이렉트X 그래픽카드는! 17종 성능비교







     2002.09.02







컴퓨터작업의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그래픽카드란 CPU와 더불어 가장 기술발전이 빠른 분야임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엔비디아가 6개월마다 새로운 그래픽칩셋을 선보인다고 하는 것도, 가장 강력한 라이벌인 ATi 역시 이에 뒤지지 않는 개발속도를 보이는 것도 따지고 보면 그래픽카드에 소비자들이 바라는 것이 얼마나 다양하고 많은 것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그래픽카드는 그 핵심을 이루는 칩셋으로 구분해도, 또 그 칩셋을 기반으로 완제품을 만드는 회사로 구분해도 정말로 많은 회사에서 다양한 모델들을 선보이고 있는 실정입니다.

문제는 일반 소비자들로서는 그저 칩셋 이름 정도로 그 성능을 가름할 뿐 정확한 성능에 대해서는 어림짐작만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피시가이더에서는 이런 궁금증을 풀기 위해 다이렉트X에 최적화된 그래픽카드의 3D성능과 3D화면의 차이에 대해 비교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모쪼록 그래픽카드를 바꾸었으면 하는 이들에게 조그마한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다이렉트X는 윈도우즈에서 3D를 구현하는데 표준처럼 쓰이는 규약입니다.

다이렉트X는 이미 잘 알려진 것처럼 윈도우즈라는 운영체제를 만드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직접 만드는 윈도우즈용 3D API입니다. 즉, 윈도우즈에서 2D와 3D를 표현하는데 있어 공통적으로 쓰이는 규약을 정해놓음으로써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개발사가 보다 쉽고 호환성 높은 하드웨어나 게임 등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여러 다른 요소들을 아우르기는 하지만 역시 다이렉트X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3D 그래픽에 관한 것으로 다이렉트X의 규약에 따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업체의 성패가 갈린다고 할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입김 때문에 윈도우즈를 기반으로 하는 각종 게임에서 표준처럼 쓰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다이렉트X의 장점 가운데 하나는 전용 3D하드웨어가 없어도 소프트웨어적으로 3D를 구현한다는 점입니다. 다이렉트X 7.0까지만 하드웨어적으로 지원하는 지포스2 MX 같은 그래픽카드에서도 다이렉트X 8.1을 기반으로 하는 게임이 작동하는 것도 이런 다이렉트X의 특징 덕분입니다.
물론 하드웨어적이 아닌 소프트웨어적으로 쓰는 까닭에 속도나 품질에서는 약간의 손해는 감수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픽카드 제조사에서 다이렉트X와의 호환성을 강조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3D의 속도만큼이나 품질을 중시하는 흐름


일반 소비자가, 특히 게임유저들에게 다이렉트X에 대해 물어본다면 대부분은 게임을 하기 위한 필수적인 패치 정도로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금 더 나아간다면 3D속도에 관계되는 프로그램 정도로 생각하곤 합니다.

하지만 다이렉트X 역시 이런 선입관과는 달리 최근 들어서는 3D속도에서 3D품질을 중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앞으로 선보일 다이렉트X 9.0은 물론 최근 선보인 다이렉트X 8.1에서도 이런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빠른 3D속도와 실사를 방불케 하는 3D품질을 중시하는 쉐이더 기능.

요즈음의 그래픽카드 시대를 대변하는 한마디는 쉐이더(Shader)입니다. 지포스3에서 처음으로 적용된 쉐이더는 지금까지의 3D가 단순히 속도만을 강조하고, 사실감이 떨어졌다는 지적을 단숨에 바꾸어놓은 장본인입니다.

기존의 그래픽엔진에서는 폴리곤의 꼭지점인 버텍스를 연결해서 하나의 대상물을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버텍스가 담고 있는 정보는 단순히 위치값은 물론 색상, 좌표, 반사값 등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이 값들을 이용해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데, 이를 처리하는 그래픽엔진이 바로 하드웨어 T&L엔진입니다. 하드웨어적으로는 엔비디아의 지포스 시리즈에서 처음으로 상용화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쉐이더 가운데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버텍스쉐이더는 이런 변환과정을 한 단계 발전시킨 것입니다. 즉 만들어진 폴리곤을 움직이고 변형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생동감의 효과를 극대화시킨 것을 말합니다.

말도 어렵지만 실제로는 매우 복잡한 연산과정을 전문적으로 처리하고 보다 자연스러운 변화를 유도하는 각종 기술을 일컬어 버텍스쉐이더라고 합니다. 최근에는 이런 기능을 아예 하드웨어적으로 보다 빠르게 처리하는 기능을 갖춘 그래픽카드를 선보이고 있는데 이를 아예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이른바 다이렉트X 8.1지원 그래픽카드입니다. 최근 선보이는 그래픽카드들은 대부분 하드웨어적으로 다이렉트X 8.1기능을 갖추고 있다고 보아도 좋습니다.


3D속도에서 3D의 품질의 시대로


이미 쉐이더기능에서 설명했지만 쉐이더 기능 역시 단순히 3D속도를 높이기 위해 쓰이는 기능이 아닙니다. 그보다는 3D의 품질에 관계 깊은 기능이라고 보는 것이 옳습니다. 최근 들어 3D의 속도에서 3D의 품질로 바뀌는 변화는 무엇 때문일까요?








» 환상적인 3D품질을 자랑하는 픽셀쉐이더와 버텍쉐이더.

첫 번째는 CPU의 고성능화를 들 수 있습니다. 비록 그래픽카드가 일차적인 그래픽연산을 담당하기는 하지만 PC에서 그래픽이던, 사운드이건 처리되는 결과는 결국 CPU의 연산을 필요로 하게 마련입니다. 문제는 이런 CPU성능이 최근 들어 엄청난 속도로 빨라졌다는 것입니다. 시장에서 팔리는 가장 느린 CPU클럭이 어느덧 GHz의 단위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인텔 펜티엄4의 경우 2GHz 노스우드 제품이 가장 느린 제품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입니다.
이렇듯 빠른 CPU의 등장은 예전에는 욕심내지 못했던 사실 같은 3D품질에도 도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셈입니다.

여기에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초고속통신의 영향으로 컴퓨터로 영화나 동영상을 감상한다든지, DVD를 이용한 홈시어터 시스템을 컴퓨터를 기본으로 꾸미는 예전에는 생각하기 어려웠던 그래픽카드의 쓰임새가 늘어나게 되었다는 점도 감안해야 합니다.

그래픽카드라면 무조건 빠른 3D를 갖춰야한다는 것은 이제는 기본이 되었고, 빠른 3D속도만큼이나 품질 좋은 3D품질을 중시하는 시대가 된 것입니다.


아직은 내가 최고. 엔비디아 지포스 시리즈


그래픽카드 시장에서 엔비디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한 조사기관의 통계에 의하면 엔비디아가 그래픽카드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50%를 넘어서고 있을 정도입니다.
비록 최근 들어 고전하는 모습을 보이고는 있습니다만 그래픽카드하면 제일 첫머리에 올려놓아도 좋은 제조사가 바로 엔비디아이고, 이 회사의 대표모델이 지포스입니다.








» 생명력이 얼마 남지 않은 지포스2 MX 200과 400.

지포스2 MX 200과 MX400은 전형적인 보급형 그래픽칩셋입니다. 엔비디아로서는 M64이후 본격적으로 선보인 보급형 제품이라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보급형 그래픽시장에서 상당한 인기를 얻었는데 형님뻘인 지포스2 GTS도 갖추지 못한 하나의 그래픽카드로 두 개의 모니터를 쓸 수 있는 트윈뷰(Twin View) 기능이나, 보다 좋은 화질을 얻기 위한 DVC(Digital Vibrance Control) 등의 기술적인 특징은 물론, 적당한 값에 쓸만한 3D기능으로 아직도 완제품PC에는 상당수가 쓰이고 있는 제품입니다.








» 보급형 그래픽카드의 새로운 기수. 지포스4 MX 시리즈.

지포스4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고성능 Ti시리즈와 함께 보급형 MX시리즈를 선보였다는 것입니다. 약간의 시간간격을 갖고 보급형 제품을 선보이던 지난 관행을 깨트린 셈으로 엔비디아의 기술개발 속도가 빨라진 탓도 있지만, 보급형 시장이 그만큼 커졌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지포스4 MX의 가장 큰 특징은 많은 기능을 GPU(Graphic Processor Unit)칩 하나에 담았다는 것입니다. 멀티디스플레이를 위한 세컨더리 램댁 역시 기본으로 칩셋에 담았을 정도. 따라서 세컨더리 램댁으로 출력되는 부분의 화질 저하나 성능차이를 고민할 필요도 없습니다.

칩셋으로 함께 담긴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TV아웃기능과 DVI기능을 들 수 있습니다. 이런 기능을 갖추더라도 지포스4MX은 관련 엔코딩칩셋이 없습니다. 그동안 지포스 계열의 그래픽카드는 TV아웃기능을 담당하는 칩셋을 따로 달아야만 TV아웃을 할 수 있었으며 트윈뷰나 DVI 역시 따로 칩셋이 필요했었으나 지포스4 MX에서는 이런 기능을 칩셋이 직접 할 수 있도록 바뀐 것입니다.








» 엔비디아의 기함. 지포스4 Ti 시리즈.

지포스4 Ti 시리즈는 0.13미크론이라는 극미세 공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무엇보다 특징입니다. 얼마전 선보인 펜티엄4가 겨우 0.13미크론 공정으로 진입했다는 것을 생각하면 그래픽칩셋이 얼마나 진보적인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공정을 미세화하면 클럭을 쉽게 높일 수 있고, 발열이 심하지 않는 등 이득이 많습니다. 다만 제조 공정이 상당히 까다로워 기술력이 없으면 쉽게 도전하지 못합니다.

다만 MX시리즈와는 달리 Ti시리즈는 상위기종임에도 따로 DVI출력이나 TV아웃을 위한 엔코더 칩이 필요해 크기가 상당히 큰 편입니다. 픽셀쉐이더를 두 개 갖춘 것이 기술적으로는 큰 특징이기도 합니다.

하위모델인 Ti 4200의 일부 모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마이크로BGA방식 메모리를 쓰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BGA(Ball Grid Array)방식을 이용하면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은 물론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고 발열량 역시 상당부분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술적으로는 픽셀쉐이더를 두 개 담은 nFiniteFX II 엔진, 늘어난 메모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LMA II (Light Speed Memory Architecture) II, 더욱 실감나는 화면을 즐길 수 있는 Accuview 안티알리아싱과 nView을 골고루 갖추고 있습니다.


전통의 강호. ATi 레이디언 시리즈


오랫동안 OEM과 자체생산을 고집하던 ATi 역시 시대의 흐름을 거슬리기는 힘들었던 듯 싶습니다. 전통적으로 3D의 속도보다는 2D의 품질, 문자가독성, 멀티미디어 성능 등에 중점을 두던 ATi 역시, 이런 전통적인 장점은 그대로 살리고 3D 성능 또한 지포스 시리즈에 못지 않은 제품들을 여럿 선보이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ATi 레이디언 시리즈입니다.








» 레이디언의 보급형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레이디언 7000과 7500시리즈.

레이디언 7000은 사실 전혀 새로운 칩셋이 아닙니다. 이미 기존에 선보였던 레이디언 VE의 새로운 이름입니다. ATi는 기존의 모델명을 갱신하면서 새롭게 이름을 붙였는데 그 가운데서 VE와 레이디언256을 단종시키지 않고 보급형 제품으로 남겨두면서 새롭게 모델번호를 붙였습니다. 레이디언256의 경우 7200이라는 모델로 선보였지만 최근에는 제조비용의 문제 등으로 자취를 감추었습니다.

7000은 OEM과 보급형 시장을 겨냥한 모델로 실제로 OEM제조사에서 레이디언 그래픽카드를 달았다고 광고하는 모델들은 대부분 이 레이디언 7000을 달았다고 보아도 좋습니다. 본디 칩셋 자체는 히드라비전을 쓸 수 있지만, 7000으로 달라지면서 DVI단자를 없애고 값을 낮춘 모델이 대부분입니다.

레이디언 7500은 새롭게 선보인 두 번째 레이디언 시리즈 가운데 가장 먼저 시판된 제품이기도 합니다. 상위기종인 8500의 불필요한 일부 기능을 제거하고 클럭을 조금 낮춘 것입니다. TV아웃과 히드라비전을 위한 출력단자 역시 충실하며, DVI출력 역시 기본으로 갖추고 있어 LCD모니터와의 궁합도 좋은 셈입니다. 보급형 가운데 성능과 부대기능을 충실히 갖춘 쓸만한 제품이라고 보면 좋을 듯 싶습니다.








» 레이디언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하나의 칩셋으로 다양한 클럭모델을 선보인다는 것입니다.

같은 7500이라고 하더라도 클럭을 달리하며 여러 제품들이 선보이고 있는 것도 또 다른 특징입니다. LE, SE, Ultra LE 등이 그런 모델들입니다.

레이디언 8500은 처음 선보였던 레이디언의 뒤를 잇는 이른바 2세대 레이디언의 선두주자라고 해도 좋은 제품입니다. 제조사에 따라 250MHz제품도 있으나 275MHz이 기본클럭입니다. 레이디언 8500의 경우 코어클럭과 메모리클럭이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이른바 동기방식입니다. 다만 메모리는 실제 두 배의 효과를 볼 수 있는 DDR을 써서 두 배로 움직입니다.

레이디언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갖가지 기술을 빠짐없이 볼 수 있기도 합니다. 굳이 지포스에 비유한다면 지포스4 Ti 시리즈에 대응하는 모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 사양은 지포스3 Ti급에 더욱 가까운 편입니다.

고성능 그래픽카드로는 처음으로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을 쓸 수 있는 히드라비전II를 갖추고 있다는 것 또한 주목할 점입니다. 여기에 기본으로 DVI단자를 갖추고 있어 최근 쓰임새가 늘고 있는 LCD모니터 등에 연결성도 매우 뛰어나며, 기본으로 TV아웃 단자도 갖추고 있습니다. 곧 선보일 레이디언 9700에게 최고의 자리를 물려줄 참입니다.








» 9700에게 자리를 물려줄 ATi의 최고봉 8500. 보급형 9000.

레이디언9000은 기존 ATi 최고급 모델인 레이디언8500보다는 고성능 제품이고, 앞으로 선보일 레이디언9700보다는 낮은 성능을 갖춘 제품으로 생각하기 십상입니다. 하지만 기대와는 달리 이 제품은 레이디언 8500보다 오히려 성능이 떨어지는 모델입니다. 보다 정확히는 핀 배열 등을 살펴보면 기존 보급형 제품인 레이디언7500의 후속모델인 셈입니다.

보급형 그래픽카드로는 보기 드물게 레이디언9000은 여기에 다이렉트X 8.1을 완벽하게 지원합니다. 한마디로 시대를 앞서가는 보급형 그래픽카드인 셈입니다.


제3의 물결. 매트록스, SiS


엔비디아와 ATi에 비해 한발 물러선 모습을 보이긴 합니다만 매트록스는 빼놓아서는 안 되는 그래픽카드의 강자입니다. 이런 매트록스가 3년의 공백을 깨고 선보인 제품이 바로 매트록스 파헬리아입니다.

파헬리아의 가장 큰 특징은 앞으로 선보일 다이렉트X 9.0시대를 완벽하게 준비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아직 정식발표도 되지 않는 다이렉트X 9.0을 어떻게 하드웨어가 먼저 대응하는가 하는 것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기본적인 큰 흐름은 정해진 상태에서, 기존의 하드웨어 T&L에서 프로그래머블 아키텍처, 즉 버텍스의 시대로 완전히 바뀌는 흐름을 제대로 대변하는 제품입니다.

포트는 모두 DVI전용으로 되어있으나 변환 어댑터를 이용해서 D-Sub로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여기에 하나의 그래픽카드로 무려 3개의 모니터를 동시에 컨트롤 할 수 있는 기능도 갖추고 있습니다. 매트록스 특유의 듀얼해드를 더욱 발전시킨 것입니다. DVD맥스 같은 고급 멀티미디어 기능도 그대로 갖추고 있습니다.

기존 8비트 컬러에서 10비트 컬러로 컬러수가 향상되면서 색상 표현력에서 큰 향상이 이루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각각의 파이프라인도 128비트의 버텍스쉐이더 엔진과 4개의 픽셀쉐이더 엔진, 그리고 4개의 텍스처 유닛으로 픽셀의 표현력을 극대화시키고 있습니다.








» 매트록스의 파헬리아와 SiS의 Xabre.

반면 메인보드 호환칩셋으로 유명한 SiS에서 선보인 Xabre는 보급형 그래픽카드의 기준을 바꾸었다는 평가를 듣고 있는 제품입니다. Xabre는 SiS에서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통합칩셋에서 그래픽기능만을 따로 담았다고 보아도 좋을 것입니다. 고성능보다는 알찬 보급형 그래픽성능을 담고 있습니다.

하드웨어 T&L과 FSAA (Full Scene Anti Aliasing), 듀얼 모니터 기능, DVD 하드웨어 가속 기능 등 보급형 그래픽카드로는 믿기 어려운 다양한 기능을 담았던 전작, SiS315를 더욱 계승 발전시킨 제품입니다.

여기에 보급형 그래픽카드로는 보기 드물게 AGP 8배속을 쓸 수 있습니다. AGP 8배속은 지금의 AGP 4배속에 비해 두 배의 그래픽대역폭을 갖출 수 있어 이른바 병목현상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SiS는 이를 통해 이른바 균형 잡힌 컴퓨터 (Balanced PC)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다이렉트X 8.1을 무난히 쓸 수 있다는 점도 보급형 그래픽카드로는 큰 특징입니다. 그동안 보급형 그래픽카드와 고성능 그래픽카드를 나누는 잣대였던 다이렉트X 8.1을 하드웨어적으로 쓸 수 있는 최초의 보급형 카드가 바로 Xabre입니다. 다만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지명도와 아직은 부실한 드라이버가 약점입니다.


실험에 앞서


이번 실험은 워낙 참여한 그래픽카드의 종류가 많은 관계로 다이렉트X 8.1에 치중한 성능을 알아보는데 주력하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에 관심 많은 화질 테스트에도 상당한 비중을 두어 진행할 예정입니다.

실험에 보면 CPU 성능이 비교적 느린데, 이것은 최고의 그래픽카드를 알아보는 것보다는 이 글의 의도가 지금 가장 많이 팔리는 CPU에서 어느 정도의 성능을 보이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 테스트 사양 ]


CPU



P4 1.8A



MB



유니텍 845D



MEM



Kingmax DDR333 256MB X 2



HDD



Seagate 바라쿠다 ATA4 40GB



CD



삼성 16X DVD



OS



윈도우즈XP / 인텔 칩셋 패치 & 인텔 어플리케이션 액셀러레이터


참고로 각 그래픽카드가 하드웨어적으로 지원하는 다이렉트X 버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R9000
Pro
R9000 R8500 R8500LE R7500
(290)
R7500
(270)
R7000 Xabre
400
Parhellia
지원 DX 8.1 DX 8.1 DX 8.1 DX 8.1 DX 8.0 DX 8.0 DX 8.0 DX 8.1 DX 9.0
구분 Ti4600 Ti4400 Ti4200 MX460 MX440 MX420 MX400 MX200
지원 DX 8.1 DX 8.1 DX 8.1 DX 7.1 DX 7.1 DX 7.1 DX 7.0 DX 7.0



실험 1. 아쿠아마크


다이렉트X 8.0을 기반으로 하는 해저에서 벌어지는 게임인 아쿠아녹스를 기반으로 하는 벤치마크 프로그램. 높은 사양을 요구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기반이 되는 Krass엔진은 새로운 다이렉트X 기반 3D엔진으로 하드코어 게임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게임입니다.


























































































해상도 R9000
Pro
R9000 R8500 R8500LE R7500
(290)
R7500
(270)
R7000 Xabre
400
Parhellia
800*600 44.7 44.5 47.3 46.4 28.5 28.3 18.4 28.5 39.3
1024*768 38.6 36.2 44.8 43.3 27.2 26.8 11.7 27.5 34.6
1280*1024 27 24.8 37.5 33.4 21.9 21.4 7 21 27.8
해상도 Ti4600 Ti4400 Ti4200 MX460 MX440 MX420 MX400 MX200
800*600 65.0 63.2 62.7 27.9 26.7 22.8 20.5 12.5
1024*768 58.2 55.2 51.7 24.6 22.8 16.4 13.3 7.5
1280*1024 42.4 37.8 35.2 19.5 16.8 10.8 8.3 4.5

게임을 진행하는데 필수적인 프레임수가 초당 최하 30프레임이라고 본다면, 1024×768 해상도에서 30프레임이 넘지 않는 제품들은 보급형 제품이라고 보아도 좋을 것입니다. ATi 계열의 경우 8500이상은 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게 됩니다. 반대로 지포스 계열의 경우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는데 다이렉트X에 보다 최적화되었다는 평가를 받는 것도, 달리 말해 게임성능에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실험 2. 코만치4


다이렉트X 8.1을 기반으로 하는 헬기게임. 기존의 인기 있던 3D게임인 코만치의 최신 버전으로 높은 사양을 요구하는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해상도 R9000
Pro
R9000 R8500 R8500LE R7500
(290)
R7500
(270)
R7000 Xabre
400
Parhellia
800*600 31.68 31.02 31.7 31.64 28.78 28.69 13.81 34.09 24.86
1024*768 29.03 27.72 31.18 29.32 27.52 27.33 12.85 29.81 23.85
1280*1024 25.82 24.47 28.99 27.12 24.28 24.04 9.61 22.78 22.42
해상도 Ti4600 Ti4400 Ti4200 MX460 MX440 MX420 MX400 MX200
800*600 36.23 36.12 36.01 34.74 33.72 28.58 22.34 14.35
1024*768 36.27 36.13 36.04 33.09 31.3 22.83 16.97 9.98
1280*1024 35.75 36.48 35.12 29.09 25.66 16.46 11.88 6.49

전형적인 다이렉트X 8.1 게임인 만큼 다이렉트X 8.1을 하드웨어적으로 쓸 수 있는 제품과 그렇지 못한 제품의 차이점이 크게 달라집니다. 역시 1024×768해상도를 기준으로 삼는다면, 레이디언8500 정도만 그 기준을 만족시키고 있습니다. Xabre의 선전에 비해 파헬리아는 매우 뒤진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하드웨어 T&L엔진이 아예 생략된 구조와 상대적으로 좁은 파이프라인 때문입니다.

지포스의 경우 Ti계열은 물론 MX460과 440역시 상당한 실력을 보여주어 대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실험 3. Code Creature Bench


3D 전문 개발회사인 CODECULT에서 선보인 초고성능 그래픽카드 검증을 위한 새로운 벤치마크 프로그램. 다이렉트X 8.1을 기반으로 하며 기본 메모리 요구량이 그래픽카드 128MB, 시스템 512MB에 이를 정도입니다. 다른 벤치마크와는 달리 DX 8.1을 하드웨어적으로 지원하지 않으면 실험이 진행되지 않습니다.








» 엄청난 그래픽만큼 고사양을 요구하는 프로그램.




































































































해상도 R9000
Pro
R9000 R8500 R8500LE R7500
(290)
R7500
(270)
R7000 Xabre
400
Parhellia
Overral 843 793 1276 850 Failed Failed Failed 645 1404
1024*768 10.9 10.3 16.3 11.1 Failed Failed Failed 9 18.3
1280*1024 8.6 8.1 12.9 8.8 Failed Failed Failed 7.1 13.9
해상도 Ti4600 Ti4400 Ti4200 MX460 MX440 MX420 MX400 MX200
Overral 2189 1807 1420 Failed Failed Failed Failed Failed
1024*768 27.1 22.3 17.5 Failed Failed Failed Failed Failed
1280*1024 22.0 16.2 12.8 Failed Failed Failed Failed Failed

워낙 높은 사양을 요구하는 프로그램이라 어디까지나 참고자료의 상대적인 의미만을 지닙니다. 역시 레이디언에서는 최고 사양인 8500의 분전이 눈에 들어옵니다. 파헬리아의 엄청난 선전은 앞선 실험과는 확실히 다른 모습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포스 Ti 시리즈에 뒤지는 것도 안타까운 모습입니다.


실험 4. 3D마크 2001 SE Build 330


최근 선보인 3D마크 2001 SE의 최신 버전으로 다이렉트X 8.1을 완벽하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해상도 R9000
Pro
R9000 R8500 R8500LE R7500
(290)
R7500
(270)
R7000 Xabre
400
Parhellia
800*600 7944 7481 9139 8748 6068 5984 3213 6883 7631
1024*768 6789 6412 7996 7505 5410 5283 2502 6053 6852
1280*1024 5390 4961 6639 6047 4305 4155 1583 4787 5534
해상도 Ti4600 Ti4400 Ti4200 MX460 MX440 MX420 MX400 MX200
800*600 9946 9574 9372 6366 6093 5060 3923 2449
1024*768 9184 8852 8464 5720 5318 3872 2815 1524
1280*1024 7980 7625 7141 4640 4095 2563 1756 832

역시 앞선 실험과 비슷한 결과를 보입니다. 6000점 정도를 기준으로 삼는다면 그 위를 통과하는 제품과 이하인 제품의 벽은 상당히 두껍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실험 5. 퀘이크III


오픈GL의 대명사인 퀘이크III는 사실 다이렉트X 모드도 갖추고 있습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이를 이용해 성능을 알아보도록 했습니다.














































































































































































해상도 R9000
Pro
R9000 R8500 R8500LE R7500
(290)
R7500
(270)
R7000 Xabre
400
Parhellia
normal 235.3 233.9 233.8 234.9 218.9 216.1 106.4 200.9 186.5
800*600*16 223.2 215.7 224.7 224.4 184.5 180.9 73.5 192.6 176.3
800*600*32 210.6 200.6 222.6 218.4 179.3 174.6 69.4 190.2 175.6
1024*768*16 172.5 165.4 212.9 203 133.9 129.3 46.8 182.5 147.8
1024*768*32 156.5 146.4 196.3 183.3 126.6 121.2 43.6 165.4 145.7
1280*1024*16 118.6 107.5 170.6 149 85.5 81.4 28.9 135.2 99
1280*1024*32 99.4 92.8 144.4 126.3 81.2 77.9 26 111.8 96.6
해상도 Ti4600 Ti4400 Ti4200 MX460 MX440 MX420 MX400 MX200
normal 228.5 228.5 228.4 223.7 220.5 188.8 153.1 91.9
800*600*16 221.4 221.1 220.6 209.4 204 172.2 139.8 88.9
800*600*32 221.7 221.0 220.2 202.2 195.1 139.7 99.9 57.9
1024*768*16 216.6 213.7 210.3 172.1 168.4 122.4 91.5 56.5
1024*768*32 212.9 208.6 202.8 163.6 152.5 91.6 63 34.9
1280*1024*16 193.1 184.3 175.8 122.5 117.7 78.2 57 34.1
1280*1024*32 181.7 170.0 158.2 113.9 102.2 56.1 37.6 19.2

워낙 오래된 게임이라 모든 게임이 기본적인 성능을 만족시킵니다. 상대적인 비교는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입니다.


실험 6. 3D 화질 실험


이제 실제 게임 화면을 보면서 그래픽카드의 성능차이를 맛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실험은 일반상태와 FSAA+비등방성을 적용한 상태를 나누어 화질을 체크했습니다.

엔비디아의 경우
MX200 / 400과 MX420 / 440 / 460, 그리고 Ti4200 / 4400 / 4600 은 모두 같은 칩셋구조이고 클럭만 다르므로 화질은 3개만 체크했습니다.

마찬가지로 ATi 레이디언의 경우
Radeon 7000 / 7500 / 8500 / 9000의 화질을 체크했습니다. 클럭에 따른 화질의 차이는 무시했습니다.

전체적으로
MX 400 / MX 460 / Ti 4600의 화질을 체크
Radeon 7000 / 7500 / 8500 / 9000의 화질을 체크
SiS Xabre / Matrox Parhellia 화질을 체크했습니다.
단, SiS Xabre는 비등방성의 화질을 바꿀 수 있는 유틸리티가 없으므로 기본 상태의 화질만 체크했습니다.

여기서 화질체크에 이용한 비등방성 필터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동안 흔히 3D의 화질을 높이는 방법으로 쓰이는 것이 주로 Anti Aliasing.(이하 AA) 이러한 AA와 더불어 그래픽품질을 높이는 방법으로 제안된 것이 바로 비등방성 필터링이다.








» 3D그래픽을 높이는데 쓰이는 두 축인 Anti Aliasing과 비등방성(Anisotropy).









AA가 주로 계단현상을 제거해 그래픽품질을 고급스럽게 만드는데 주력하지만 상대적으로 화질은 뭉개지는 현상이 심하다. 게다가 해상도를 높이게 되면 화면 뭉개짐은 크게 줄어들게 되므로 AA는 주로 저해상도에 빛을 발하는 기술입니다.

반면 비등방성 필터링은 텍스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화질을 높이기 위해 고안된 것입니다. 결코 AA와 상대적인 개념이나 종속적인 개념이 아니며 따로 따로 저장하고 작동합니다.

비등방성(非等方性) 필터링은 지금까지 쓰던 필터링이 anisotropy를 보정하지 않는데 비해 이를 보정하는 것이 다릅니다. 한마디로 화면이 흐릿해 지지고 AA에 의해 뭉개지는 현상을 막아주는 필터링 기술입니다. 물론 그래픽카드의 성능에 따라 비등방성을 적용하는 범위, 즉 필터의 강도가 달라지게 마련입니다.








» MX460에 비해 비등방성 필터링의 정도가 훨씬 다양하다.









비등방성 필터링의 효과는 3D의 속도시대가 가고 화질시대에 도래했음을 알려주는 좋은 본보기입니다. 따라서 비등방성은 앞으로의 그래픽카드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듯 싶습니다.
실험에서 ATi 계열과 파헬리아는 기본 드라이버를, 엔비디아는 부득이 유틸리티를 이용해서 조절했습니다.


화질비교 (기본 / 비등방성)


■ 지포스2 MX 계열








» 지포스2 MX400 (기본화면)










» 지포스2 MX400 (비등방성+FSAA)


■ 지포스4 MX 계열








» 지포스4 MX460 (기본화면)










» MX460(비등방성+FSAA)


■ 지포스4 Ti 계열








» Ti4600 (기본화면)










» Ti4600 (비등방성+FSAA)


■ ATi 7000








» R7000 (기본화면)










» R7000 (비등방성+FSAA)


■ ATi 7500








» R7500 (기본화면)










» R7500 (비등방성+FSAA)


■ ATi 8500








» R8500 (기본화면)










» R8500 (비등방성+FSAA)


■ ATi 9000








» R9000 (기본화면)










» R9000(비등방성+FSAA)


■ Xabre








» Xabre (기본화면)


■ 파헬리아








» 파헬리아 (기본화면)










» 파헬리아 (비등방성+FSAA)

흔히 볼 수 있는 다이렉트X 8.1의 화질 차이를 볼 수 있습니다. 지포스계열의 경우 지포스2에 비해 지포스4에 상당한 화질의 변화가 있었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는 차이를 보여줍니다. 전체적으로 밝고 선명해졌다는 평가를 내릴 만 합니다.

비등방성필터와 안티알리아싱모드를 설정했을 때 확실한 화질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기본 화질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을 수도 있을 듯 싶습니다.

반대로 ATi의 경우 제품에 따른 화질 차이가 그리 크지 않습니다. 가장 관심이 가는 레이디언8500과 9000의 경우 큰 차이를 느끼기는 힘들 정도입니다. 기본적으로 드라이버 안에 화질변화를 줄 수 있는 옵션이 풍부하다는 것은 상대적인 장점입니다. 비등방성필터와 안티알리아싱모드의 변화가 지포스 시리즈만은 못합니다.

파헬리아는 기대만큼의 화질을 보여주지는 못하는 듯 싶습니다. 다양한 필터와 모드를 갖추고 있지만 그 차이는 매우 작다고 할 수 있습니다.
Xabre의 경우 전체적으로 빛 바랜 듯한 화질은 좋은 평가를 주기는 어려울 듯 싶습니다.


Shader 화질


■ 지포스4 Ti








» Ti4600 (기본화면)










» Ti4600(비등방성+FSAA)


■ ATi 8500








» R8500 (기본화면)










» R8500(비등방성+FSAA)


■ ATi 9000








» R9000 (기본화면)










» R9000(비등방성+FSAA)


■ 파헬리아








» 파헬리아 (기본화면)










» 파헬리아 (비등방성+FSAA)


■ Xabre








» xabre (기본화면)

쉐이더 기능을 적용한 화질입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쉐이더기능을 갖추지 못한 지포스2 MX, 4 MX 등은 생략되어 있습니다. 같은 이유로 ATi 역시 레이디언 8500이하 버전은 실험이 진행되지 못했습니다.

비등방성필터와 안티알리아싱을 적용한 각종 화면의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각 그래픽카드의 성격 또한 잘 드러나 있습니다.
지포스계열의 밝고 강렬함, ATi의 화사함, 매트록스의 풍부함 정도로 요약할 수 있을 듯 싶습니다.


속도와 화질. 두 마리 토끼를 잡자!


어떤 그래픽카드가 좋은 그래픽카드인가를 한마디로 말하는 것은 조금은 어리석어 보입니다. 그만큼 자신만의 장단점이 뚜렷하기 때문이겠지요.

먼저 지포스2 MX계열의 경우 MX200, MX400 모두 이제는 시장에서 물러날 때가 되어 보입니다. 전체적으로 다이렉트X 8.1시대, 9.0을 바라보든 시대에는 지나치게 성능이 뒤지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제성만을 생각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제는 지포스2에 기반을 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은 조금 어리석어 보입니다.

지포스4 MX는 여러 가지를 생각한다면 매우 현명한 선택으로 보입니다. 비록 데뷔할 당시 호환성 문제로 큰 홍역을 겪기는 했지만, 지금 시점에서는 경제성과 성능을 모두 갖춘 제품으로 평가할 만 합니다. 게임에 좀 더 치중하는 유저라면 매우 좋은 선택이겠지요.

지포스4 Ti 시리즈는 4200에서 4600의 제품 성격이 워낙 크게 차이나고 값도 그렇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최근 유행하는 워크래프트3 등의 하드코어 게임을 즐기는 경우라면 Ti 4200정도가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전체적으로 다이렉트X에 최적화된 그래픽카드라면 당연히 지포스계열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ATi 레이디언 계열의 경우 그 선택의 폭은 8500인가 아님 9000인가로 좁혀진 느낌입니다. 7000이나 7500은 다이렉트X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에 어울리는 선택일 뿐 더 이상 생명력을 갖는 제품이라고 하기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지금 당장에는 8500이 가격대비 성능에서 매우 뛰어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만 문제는 앞으로 선보일 9700이 있다는 것이죠. 9700의 경우 일부 테스트에서 상당한 위력을 보여주고 있어, 하이엔드급을 찾는 이들이라면 이제는 8500을 선뜻 권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최근 값이 많이 내려 지포스4 Ti 4200급 정도의 성능을 원하며 보다 화사한 색감 등에 민감한 경우라면 좋은 선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9000의 경우 보급형을 뛰어넘는 성격으로 적은 예산으로 제품을 장만하려는 이들에게 나름대로 인지도를 갖출 것으로 보입니다. 어쨌거나 레이디언은 앞으로 선보일 9700이 큰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SiS Xabre는 나름대로 많은 장점을 갖춘 제품입니다. 비록 인지도가 떨어지고 아직은 다양한 유틸리티가 부족하다던 지, 드라이버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지적할 수 있겠지만, 이를 충분히 커버하는 성능과 가격적인 매력이 충분합니다.

파헬리아는 너무 일찍 나왔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다이렉트X 8.1시대에 지나치게 다이렉트X 9.0에 최적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런 저런 이유로 기대만큼의 3D성능을 보이지 못하는 것도 아쉽습니다.
어쨌거나 3D의 속도에서 3D의 품질로 바뀌는 시대의 흐름을 이번 실험에 참가한 그래픽카드는 잘 보여주고 있는 셈입니다.



2004-01-07 13:41:45
895 번 읽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