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이제는 DDR333. - 알바트론 PX845PEV

 


이제는 DDR333. - 알바트론 PX845PEV
























     2002.10.08
조금 애매한 전원 연결부 위치
호환성 좋은 3COM 네트워크칩을 달았다.




1  2  3  4  5  6  7  8  9  Best







우리에게는 아직 익숙하지 않지만, 대만의 새로운 메인보드 제조사인 알바트론(Albatron)은 새로 생긴 회사답지 않게 만만치 않은 기본기를 갖춘 것으로 평가받는 회사이다. 기가바이트의 기술개발인력들이 분사형태로 만들었다는 이 회사제품은 그래서인지 기가바이트의 새로운 모델이 아닌지 의심할 정도로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런 전력을 갖춘 알바트론이 인텔의 새로운 칩셋인 845PE를 이용한 PX845PEV라는 메인보드를 가지고 한국시장에 진출했다. 이번에 ST컴을 통해 알바트론에서 내놓은 PX845PEV는 무엇보다 그동안 인텔칩셋의 약점으로 지적되던 DDR333을 쓸 수 있어 보다 넓은 대역폭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여기에 네트워크 역시 호환성이 뛰어난 3Com칩을 달아, 메인보드용 네트워크기능으로는 확실히 다른 성능을 보이는 제품이다.








» 새로운 845PE칩을 이용한 알바트론 PX845PEV.












































[ 제품 사양 ]


칩셋



인텔 845PE



쓸 수 있는 CPU



478핀 펜티엄4, 셀러론



메모리



DDR333 / 266



AGP



4배속



슬롯



AGP, 5 PCI



포트



PS/2, RJ-45, USB 2.0, 패러럴포트, 시리얼포트×2,
게임포트, 사운드포트



IDE



Ultra DMA/33/66/100



오디오



리얼텍 ALC650





3COM 10/100Mbps





135,000원



물어 볼 곳



ST컴(www.stcom.co.kr)




DDR333과 하이퍼스레딩도 문제없다. 인텔 845PE


PC의 CPU 속도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빨리 진화해 왔으며, 기가헤르쯔(GHz)시대에 진입하면서부터는 더 이상의 속도향상의 의미가 없어 보이기까지 한다. 이런 현상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인텔과 AMD의 속도싸움 때문이다. 게다가 두 회사의 속도싸움은 끝이 보이지 않는다.

현재 인텔에서 내놓고 있는 펜티엄4는 FSB(Front Side Bus) 533MHz지만 함께 선보인 845E칩셋이 쓸 수 있는 메모리는 DDR266으로 메모리 대역폭 요구량을 받쳐 주지 못한다. 이른바 하이엔드 시장은 RDRAM이라는 고속메모리를 택했지만, 이미 시장의 대세는 DDR임에 분명하다.








» DDR333을 지원하는 Intel 845PE

현재 가장 빠른 DDR메모리의 클럭은 400MHz로 3.2GB/s로 비교적 넉넉한 편이지만 호환성 문제가 남아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아직까지는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클럭은 DDR333정도이다.

이런 저런 이유 때문에 DDR266에 머물렀던 인텔이 드디어 DDR333으로 작동하는 칩셋을 선보였는데 이것이 바로 845PE이다. 물론 DDR333의 경우에도 2.7GB/s의 대역폭으로 4.2GB/s의 메모리 대역폭 요구량이 필요한 533MHz 펜티엄4의 병목현상을 완벽히 해소시켜 주지는 못하지만 DDR400같은 호환성문제도 없으면서 비교적 안정적이고 빠른 속도로 움직이므로 당분간 DDR333의 인기는 계속될 전망이다.

845PE의 또 다른 장점은 앞으로 선보일 펜티엄4 3GHz이상의 고클럭CPU를 문제없이 쓸 수 있다는 점이다. 지금의 펜티엄4와는 달리 펜티엄4 3GHz이상에서는 하이퍼스레딩(Hyper Threading)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적용될 예정이다.

하이퍼스레딩은 기존 CPU가 한번에 1개의 스레드밖에 실행할 수 없었던 것과 달리, 여러 개의 스레드를 하나의 CPU에서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따라서 운영체제나 프로그램 입장에서는 듀얼 CPU구성으로 인식되어 분산 처리한다.

물론 하이퍼스레딩을 쓰더라도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CPU이므로 진정한 듀얼 CPU성능까지 바라는 것은 무리이며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기존 CPU와 별다른 성능차이를 내지 않을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에서 이를 잘 활용하면 같은 클럭에서도 25~30%정도의 성능을 향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문제는 지금 쓰고 있는 펜티엄4칩셋으로는 펜티엄4 3GHz의 이런 하이퍼스레딩을 제대로 쓰지못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이번에 선보인 845PE와 845GE는 이런 문제가 없다.


기가바이트를 연상시키는 안정적인 디자인


PX845PEV는 비취색 PCB에 잘 정리된 레이아웃을 가지고 있다. 전원연결부가 메모리 앞에 있는 점을 제외하면 레이아웃에 있어 그다지 흠 잡을 것은 없어 보인다.








» 비취색 기판은 왠지 기가바이트의 그것을 연상시킨다.

적당한 위치에 있는 팬 전원단자가 3개 있고, 스위치연결부는 각 부분을 알아보기 쉽게 PCB에 깔끔하게 인쇄돼 있어 조립하기 편하다. 스위치전원부 옆으로 USB연결부와 FDD 연결부가 있다. FDD 연결부의 위치는 연결하기 불편한 곳에 있는 것을 누구나 알 수 있다. 여기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최근 들어 FDD의 활용도가 많이 떨어져 거의 쓰지 않거나 처음부터 설치하지 않는 사용자가 늘고 있다.

실제로 국내의 대표적인 완성품PC 업체인 삼성전자와 TG(삼보컴퓨터)에서는 PC에서 FDD 제외시켜, USB로 연결하는 외장형으로 따로 판매하고 있다. 그 만큼 활용도가 적은 FDD를 뒤로 빼고, 메인보드를 더욱 작게 만들 수 있는 것이다. 한마디로 쓰는 이가 줄어들고 있는 FDD에 대한 배려는 더 이상 없다는 요즈음의 흐름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다.








» HDD연결부










» FDD가 PCI슬롯 옆으로 밀려났다.




3COM 네트워크칩으로 보다 안정적인 네트워크 성능까지


요즘 메인보드는 사운드 기능은 기본이고, 네트워크 기능까지 포함한 제품도 어렵지 않게 만나 볼 수 있다. PX845PEV도 ICH4(82801DB)를 써서 USB 2.0, 사운드, 랜 기능을 제공한다.

사운드와 네트워크 기능은 마지막 신호를 처리해 줄 칩이 필요한데 PX845PEV의 쓰인 사운드칩은 리얼텍 ALC650, 네트워크칩은 3COM을 쓰고 있다. 흔히 메인보드용 네트워크칩으로 많이 쓰는 리얼텍 칩에 비해, 이 제품은 보다 고급스럽고 안정성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3COM을 써서 다른 제품보다 한결 고급스러워 보인다.

물론 네트워크 성능은 타사 제품과 같은 환경에서 맞대결을 시켜 보지 않으면 알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3COM이라는 브랜드가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고급제품 브랜드로, 소비자들에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는 점인 것은 확실하다.








» 3COM 랜칩과 연결부

X845PEV는 Intel 845PE의 초기 제품으로 아직 비교할 제품은 얼마 되지 않는다. 845PE과 비슷한 845E 칩셋의 메인보드들의 성능이 다들 비슷한 보습을 보이는 것을 보면 PX845PEV 역시 다른 845PE 제품과 크게 차이 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DDR333을 완벽하게 지원하는 제품의 사용을 원하는 사용자라면 인지도가 높은 3COM네트워크칩을 장착한 PX845PEV를 써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2004-01-07 13:42:44
883 번 읽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