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이제 보급형도 FX시대. 픽셀 뷰 지포스FX 5200

 


이제 보급형도 FX시대. 픽셀 뷰 지포스FX 5200
























     2003.03.27
별다른 특징이 없다. 지나칠 정도로 보급형의 분위기를 풍긴다.
최신 코어를 이용해서 빨리 완제품을 선보였다. 다양한 출력포트를 갖추고 있다.




1  2  3  4  5  6  7  8  9  Best







코드명 NV30, NV31, NV34의 지포스FX시리즈는 아직은 기대만큼의 제 실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많은 이들의 기대가 최고 클럭과 성능을 자랑하는 지포스FX 5800울트라에 모여있기는 하지만, 실제 제조사들이 관심을 갖는 품목은 지포스FX5600이나 지포스FX5200이 아닐까 싶습니다. 특히 지포스FX5200의 경우에는 지금의 지포스4 MX440을 대신할 보급형의 주력제품으로 여러 제조사에서 다양한 제품이 선보일 것으로 보입니다.

쉽게 말해 시장에서 많이 팔릴 수 있는 주력제품에 제조사는 더욱 많은 관심을 갖게 마련입니다. 그래픽카드 하나에 몇 십 만원씩의 예산을 쓰지 못하는 많은 평범한 유저들 역시 FX5200에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토종 제조사들 역시 샘플은 물론 벌써부터 지포스FX시리즈를 선보이고는 있습니다만, 아무래도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대만에 기반을 둔 회사들입니다. 그 가운데 픽셀 뷰는 이미 지포스FX5200을 완제품으로 선보여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 제품 사양 ]
코어 FX5200 (NV34)
제조공정 0.15미크론
트랜지스터 집적도 4,500만개
코어클럭 250MHz
메모리클럭 500MHz (DDR로서)
메모리 인터페이스 128비트 128MB
메모리 타입 DDR
AGP 배속 8 배속
다이렉트 X 9.0
Shader 파이프라인 수 4
버텍스 쉐이더 2.0
픽셀 쉐이더 2.0
Z축 압축 X
컬러 압축 X
미정
물어 볼 곳 프로링크 (www.prolink.com.tw)



새로운 보급형 칩셋 FX5200


코드명 NV34로 알려진 지포스FX5200 역시 클럭에 따라 FX5200울트라(325MHz)와 기본형이라 할 수 있는 클럭 250MHz제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픽셀 뷰 지포스FX5200은 이 가운데 기본형에 속하는 모델로 코어클럭 250MHz, DDR메모리로서 500MHz로 작동하는 제품입니다.








» 아직은 샘플 칩셋을 쓰는 까닭에 NV34라는 모델명이 선명합니다. 메모리 역시 40ns로 평범합니다.

실제 GPU를 살펴보면 지포스FX5200이라는 모델명 대신 NV34라는 코드명이 선명한데, 이는 이른바 정규 양산단계가 아닌 샘플칩셋상태의 제품이라는 뜻입니다. 물론 이미 완제품으로 판매하기에 성능차이를 말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

메모리 역시 흔히 볼 수 있는 TSOP타입의 40ns 삼성 메모리를 쓰고 있습니다. 매우 평범한 메모리라고 할 수 있는데, 하나 특이한 점은 보급형임에도 불구하고 128MB로 메모리가 상당히 넉넉하다는 점입니다. 최근 들어 메모리 값이 상당히 저렴해지기는 했습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격 경쟁이 치열한 보급형이라는 점에서 64MB정도로 메모리를 줄이고 값을 낮춘 제품도 기대해 봄직합니다.








» 세부 정보. 128MB메모리에 코어클럭 250MHz, 메모리 클럭 DDR로서 500MHz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NV34, 지포스FX5200의 가장 큰 장점은 보급형임에도 불구하고 다이렉트X 9.0을 쓸 수 있다는 점입니다. 물론 아직은 다이렉트X를 쓰는 프로그램이나 게임이 극히 적은 것이 사실입니다만, 앞으로 지금의 다이렉트X 8.0이나 8.1을 기반으로 하는 각종 게임들이나 프로그램들이 다이렉트X 9.0으로 바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다이렉트X 9.0을 쓸 수 있다는 것은 달리 말하면 쉐이더 기능의 대폭적인 보강입니다.








» 쉐이더 기능이 대폭 보강된 FX의 화면. 보급형임에도 불구하고 이런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지금까지와는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고급스러운 화면을 보급형 수준인 지포스FX5200에서도 볼 수 있다는 뜻인데, 물론 속도에서는 차이가 있겠지만 대신 품질은 확실히 비교되는 수준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FX5200은 기술적으로는 FX시리즈이기는 하지만, 보급형이라는 한계가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상위기종과의 클럭에 그치지 않습니다. 메모리 대역폭 관리할 때 Z축 압축과 컬러 압축기술을 쓰지 않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따라서 FX시리즈의 특징 가운데 하나인 고급 메모리 관리기술, Intellisample도 쓸 수 없습니다.


평범하지만 강력한 성능을 뽐내










» 보급형임에도 불구하고 화려한 쿨러가 인상적입니다.

따라서 이런 보급형 칩셋을 이용하는 픽셀 뷰 지포스FX5200은 전형적인 보급형 그래픽카드의 그것을 충실히 따르고 있습니다. 대신 128MB에 달하는 메모리가 빽빽하게 들어있는 편이고, 무엇보다 상당한 크기의 쿨러가 인상적입니다.








» 조금은 과장된 쿨러부와 단출한 전원부.

실제 지포스FX5200은 트랜지스터 집적도 4,500만개 수준으로 그리 발열이 심한 것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금은 과하다 싶은 쿨러를 쓰고 있는 것은 화려한 쿨러를 마케팅 포인트로 삼은 때문으로 생각됩니다. 언뜻 보기에는 마치 구리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전원부 역시 지나치게 부족하지 않나 싶을 정도로 매우 간략합니다. 이 역시 보급형 제품으로 무엇보다도 단가를 생각해야하는 제품 특징과 큰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DVI, TV아웃, D-Sub 등 다양한 출력포트를 기본으로 갖추고 있습니다.

앞선 지포스4 MX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지포스FX5200 역시 대부분의 기능을 칩셋 자체에 내장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보급형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따로 칩을 쓰지 않고도 TV아웃과 DVI출력을 할 수 있습니다. 최근 LCD모니터를 쓰는 경우가 점점 늘고 있어 DVI에 대한 수요가 많고, TV아웃 기능을 이용한 동영상 감상이 중요한 포인트로 떠오르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런 다양한 출력포트를 갖추고 있다는 것은 제품 경쟁력을 높여주는 의미 있는 장치입니다.

대신 보급형 제품답게, 출력은 물론 입력도 할 수 있는 VIVO(Video In Video Out)기능은 생략되어 있으며, 제품 성격을 생각하면 앞으로도 VIVO기능까지 생각하기는 무리가 있을 듯 싶습니다.


지포스4 MX를 대신할만한 성능을 갖춰


비록 최고급 제품은 아니지만 과연 어느 정도 성능을 보일까 하는 것은 누구나 관심을 갖는 문제입니다. 가장 강력한 경쟁상대는 바로 지포스4 MX440이라 할 것입니다. 비교대상은 엘자 지포스4 MX 440 AGP 8배속입니다.






















[ 실험 환경 ]
CPU 펜티엄4 3.06GHz (하이퍼스레딩 적용)
메모리 게일 DDR400 512MB
메인보드 인텔 오리지널 845PE
HDD 웬디 WD400 (버퍼 8MB)
운영체제 윈도우즈XP (서비스팩 1)
드라이버 디토네이터 43.00 베타


실험 1. 3D마크 2001SE

다이렉트X 8.1을 기반으로 하는 3D마크 2001SE버전을 가지고 그 성능을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보급형 그래픽카드라면 지포스4 MX440을 넘어서야 하기 때문입니다.






















































프로그램


항목


MX440-8X


FX5200


3D Mark 2001SE


1024*768


7250


6990


1280*1024


5570


4831


1600*1200


4217


3502


Detail(1024*768)



Single Texture Fill Rate (Mtexels/s)


553.6


499.4


Multi Texture Fill Rate (Mtexels/s)


1073.8


329.6


EMBM (FPS)


-


70.8


DOT3 (FPS)


75.4


77.4


Vertex Shader (FPS)


50.2


77.8


Pixel Shader (FPS)


-


51.8


Advanced Pixel Shader (FPS)


-


23.4


Point Sprites (Msprites/s)


10.3


13.8


일단 기본적인 점수는 모든 해상도에서 더 낮게 나옵니다. 훨씬 뛰어난 성능을 꿈꾸셨다면 상당히 실망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점수에 집착할 것이 아니라 해당 항목을 찬찬히 살펴보면, 왜 낮은 점수가 보이는지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점은 멀티 텍스쳐링 필레이트가 1/3수준이라는 것입니다. 필레이트는 다른 말로는 채움 비율이라고도 합니다. 채움 비율은 얼마나 빨리 텍스쳐를 그릴 수 있는지를 말합니다. 물론 이 항목 역시 Single Texturing과 Multi Texturing으로 나눠 진행됩니다.


Single Texturing은 말 그대로 한 개의 텍스쳐 레이어를 렌더링 합니다. 이러한 텍스쳐는 여러 개의 독립된 표면을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 하나를 얼마나 빨리 렌더링 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입니다. 반대로 Multi Texturing은 여러 개의 텍스쳐 레이어를 그리는 성능을 알아보는 것입니다. 상대적으로 다이렉트X 9.0을 기반으로 했다고는 하지만, 이 정도로 낮은 점수를 보인다는 것은 지포스FX5200이 무게 중심을 두고는 있다고 하지만 상당히 아쉬움이 남는 대목입니다.


대신 다이렉트X 9.0을 기반으로 한 덕분에, 고급스러운 표면처리기술인 EMBM이나 쉐이더 등을 쓸 수 있다는 것은 분명 드러나는 점수 이상의 장점입니다.



실험 2. 3D마크 2003

말도 많고 탈도 많은 3D마크 2003입니다. 참고로 엔비디아에서는 3D마크 2003의 결과는 인정하지 못하겠다는 입장이기도 합니다만, 다이렉트X 9.0이라는 좋은 도구를 놓칠 수는 없는 일입니다.











































프로그램


항목


MX440-8X


FX5200


 3D Mark 2003


1024*768


292


926


1280*1024


251


645


1600*1200


211


468


Detail(1024*768)


Single Texture Fill Rate (Mtexels/s)


551


484.1


Multi Texture Fill Rate (Mtexels/s)


1062.4


324.0


Vertex Shader (FPS)


-


3.0


Pixel Shader (FPS)


-


3.8


Ragtroll(FPS)


-


3.8


3D마크 2003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 엔비디아지만, 이번만큼은 너털웃음을 지을 것이 확실해 보입니다. 앞선 3D마크 2001SE와는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확실히 앞선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물론 세부항목을 살펴보면 여전히 텍스쳐링 필레이트 항목에서는 지포스4 MX440에 뒤지는 모습을 보입니다만, MX440은 꿈도 꾸지 못하는 쉐이더항목에 높은 점수를 얻은 덕분에 압도하는 성능으로 느껴지는 것입니다.










» 기존 지포스4 MX440으로는 꿈도 꾸지 못했던 화면을 지포스FX5200에서는 볼 수 있습니다.



실험 3. GL Excess 1.2

오픈GL성능을 측정하는 여러 프로그램 가운데 GL Excess는 비교적 게임 등에 쓰이는 간단한 오픈GL을 측정하기에 알맞은 프로그램입니다.








































프로그램


항목


MX440-8X


FX5200


GL EXCESS 1.2


1024*768


5562


6855


1280*1024


4456


5426


1600*1200


3916


4621


Detail(1024*768)


FILL RATE


2559


3766


POLYGON COUNT


3730


5368


VRAM


1774


2125


CPU/FPU


6507


6962


앞선 항목들과 비슷한 결과들을 보입니다. 약간의 차이이기는 하지만 확실히 앞선 결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세부항목을 살펴보면 앞선 3D마크류와는 달리 필레이트에서 앞서고 있는데, 이는 지포스FX5200이 오픈GL 2.0을 쓸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해되는 부분입니다.


그밖에도 클럭이 빠르고, 최신 코어를 쓰는 제품답게 폴리곤 생성이나 각종 성능에서 앞선 결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실험 4. 게임 성능

지포스FX5200을 본격적인 게임용 그래픽카드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많은 경우 게임은 가장 중요한 척도임에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게임에서 어느 정도의 성능을 보이는 지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프로그램 항목 MX440-8X FX5200
언리얼 토너먼트2003 1024*768 42.09 27.99
1280*1024 29.41 18.05
1600*1200 21.63 13.25
시리어스샘 II 1024*768 98.7 95.9
1280*1024 64.4 60.8
1600*1200 45.5 42.0
코만치 4 1024*768 36.60 26.62
1280*1024 29.10 20.56
1600*1200 21.03 15.92


언리얼 토너먼트와 시리어스샘II는 오픈GL을, 코만치4는 다이렉트X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점이 다른 점입니다. 모든 게임에서, 모든 해상도에서 낮은 점수를 보이는 것은 무엇보다 클럭에 큰 관계가 있을 듯 싶습니다.


MX440 AGP 8배속의 경우 보통 코어클럭 275MHz에 메모리클럭이 500MHz급으로 비교적 클럭이 높은 편입니다. 어쨌거나 상대적으로 지포스4 MX440보다는 비싸다는 것을 생각하면 낮은 게임 성능은 단점으로 지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포스4 MX440을 대신 할 듯










» 적당한 값으로 정해진다면 상당히 인기 있는 품목이 될 듯 싶습니다.

전체적으로 픽셀 뷰 지포스FX5200은 지금의 MX440을 대신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성능과 사양을 갖추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보급형 그래픽카드임에도 불구하고 다이렉트X 9.0을 기본으로 쓸 수 있어 풍부한 쉐이더 기능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대신 가장 쓰임새가 많은 게임 등에서 예상보다 낮은 성능을 보인다는 것은 분명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다이렉트X 9.0이 아닌, 다이렉트X 7.0이나 8.1 또는 오픈GL을 기반으로 하는 각종 게임 등에서도 적어도 지포스4 MX440을 압도하는 성능을 기대하는 것은 솔직한 심정일 것입니다.

예상보다 비싼 값은 앞으로 칩셋의 양산이 이루어지고, 수많은 제조사에서 다양한 제품이 선보이면 당연히 해결될 문제입니다. 지금의 베타드라이버 역시 그때쯤에는 정식 드라이버로 바뀔 것입니다.
칩셋이 아닌 제품에 중심을 둔다면, 보급형에 어울리는 평범하지만 잘 만들어진 제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강력한 성능과 화려함보다는 잘 갖춰진 기본기와 비교적 싼값으로 보급형 그래픽카드 시장을 노리는 제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2004-01-07 13:49:06
279 번 읽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