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종량제가 시행된다면 전 전용선을 설치할까 합니다 ㅡ_ㅡ..

 


대체로 인터넷에서 자주 하는거라고는 파일 업다운로드, 직업상 회사 컴퓨터와 집 컴퓨터 사이에 수백메가바이트를 왔다갔다 하는 상황에서 종량제 회선을 사용하는건... 휴대폰으로 데이터 통신 연결해서 온라인 게임 하는 격일테죠..


예전 모뎀적 시절을 기억하나요? 그당시에 머드겜을 하던 분들은 자신들의 전화요금이 얼마였는지 기억할테죠. 저만해도 대충 15만원 정도 나왔었습니다. 그러다 kt에서 정액 요금제가 나와서 조금 저렴해 지긴 했었지만 그래도 6만원인가 8만원인가 그정도 됐던걸로 기억하네요.


그랬던 시절을 거치던 저희로선 지금의 회선비와 선 품질이면 감지덕지 할만도 하건만 저희는 너무 고급품에 맛을 들여 정작 현실을 보진 못하게 되었네요. 종량제가 되더라도 그다지 손해는 아닐거란 생각이 듭니다. 솔직히 인터넷에서 웹서핑이나 조금하고 이메일이나 보는 정도라면 모뎀으로 사용해도 월 2만원이 안나오니까요. 오히려 더욱 저렴해 질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저처럼 데이터의 이동이 잦은 사람들이나 게임에 매진하는 사람들의 경우엔 비용 부담이 크다는 것이죠. 그 경우 금액이 개인 전용선 회선비에 맞먹게 됩니다. 차라리 종량제 찬성해버리고 다들 회선 품질도 좋고 속도도 안전적인 전용선을 사용하는게 현실적으로 나을 수도 있겠죠. 전 그렇게 생각합니다.



2004-04-18 22:48:37
1319 번 읽음
  총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박성훈 '04.4.18 11:17 PM 신고
    :-)*자중하도록 하세요. 아무나 붙잡고 늘어지지 말구요 ^^ ↓댓글에댓글
  2. 2. 박성훈 '04.4.18 11:12 PM 신고
    :-)*ㅡ_ㅡ? 희안한 말 하시네요 ㅡ_ㅡ; 패킷제가 무엇인진 아실텐데요. 웹서핑을 일반적인 관점으로 볼까요? 저희같은 넷티즌 계열이 아닌 일반인을 말이죠. 어디 근처 피시방에가서 일반인들이 웹으로 무엇을 많이 하는지 한번 구경해보시죠 ↓댓글에댓글
  3. 3. 박성훈 '04.4.18 11:17 PM 신고
    :-)*거기에 비해서 일반 사용자들이 이메일 좀 보고 웹에서 자신의 업무를 보는거? 생각처럼 많이 나올거 같나요? 김기우님. 여긴 시비거는 곳이 아닌 토론의 장입니다. 전 제 생각을 말했을 뿐이고 누군가의 편을 들지도 않았지요. 님의 개인적인 감정 표출은 님 스스로 ↓댓글에댓글
  4. 4. 박성훈 '04.4.18 11:15 PM 신고
    :-)*문제는 글 하나 읽고 적고 검색하고 할때마다 몇메가가 왔다갔다 해버린다는거죠. 문제는 요즘 홈페이지들이 전부 노프레임을 지향한다는데 있습니다. 그리고 플레쉬 광고들과 고용량의 이미지들이 포함되어서 그 문제는 더하죠. ↓댓글에댓글
  5. 5. 박성훈 '04.4.18 11:14 PM 신고
    :-)*그칩니다 ㅡ_ㅡ; 그게 패킷으로 돈이 얼마나 나올거 같나요? 솔직히 패킷제가 되면 네티즌이 가장 큰 피해를 보긴 합니다. 왜일거 같나요? 요즘 대부분의 포털 사이트들이 한페이지 메가단위는 기본입니다. bcpark를 예로 들까요? 매인 페이지만 2.3메가 정도 나옵니다 ↓댓글에댓글
  6. 6. 박성훈 '04.4.18 11:13 PM 신고
    :-)*그들이 인터넷에 접속해서 일을 보는 시간은 대체로 1~3시간 정도입니다. 그 시간동안 수십 메가의 패킷이 오가거나 하진 않아요. 음악을 듣거나 영화를 본다면 모르겠지만 대체로 게시판에 글 몇개 올리고 이메일 확인하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수준에 ↓댓글에댓글
  7. 7. 김기우 '04.4.18 11:09 PM 신고
    :-)*참 웃기네요 인터넷을 웹서핑 메신져 확인만 합니까 ? 생활하는데 불편이 없다
    KT 직원 인가요 참 논리 웃기네요 ↓댓글에댓글
  8. 8. 김기우 '04.4.18 11:11 PM 신고
    :-)*만원치 웹서핑 참 잘하겠네요 ^^~ ↓댓글에댓글
  9. 9. 박성훈 '04.4.18 11:01 PM 신고
    :-)*4달 쓰다가 해지 할 수 있었습니다 ㅡ_ㅡ; 물론 그 4달동안 제 담당 기사는 오전 1시마다 저희 집으로 출근하는 노가다를 했지만요. 그래도 사용료는 내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지금 사용하는걸 설치하니 꽤 마음에 드는 중입니다. ↓댓글에댓글
  10. 10. 박성훈 '04.4.18 11:00 PM 신고
    :-)*전 얼마전에 kt를 해제하고 모 중소 업체의 홈랜을 사용중입니다. 일반 1메가 홈랜과는 다르게 10메가가 지원되더군요. kt의 경우엔 품질이 너무 좋지 않아서.. 프리미엄 서비스를 사용해도 100k bps가 나오더군요 ㅡ_ㅡ 오죽하면 위약금 한푼 사용료 한푼 내지도 않고 ↓댓글에댓글
  11. 11. 박성훈 '04.4.18 10:58 PM 신고
    :-)*그리고 개인적으로 전용선을 설치하게 될 경우 월 이용료 10만원 대니까..아 물론 이건 아파트에 utp공사가 되있는 곳에 한해서입니다. 대체로 저같은 사람들은 전용선으로 넘어가 버릴 가능성이 크죠. ↓댓글에댓글
  12. 12. 박성훈 '04.4.18 10:57 PM 신고
    :-)*^^ 기본료 15000~20000원이면 일반적인 웹서핑만 하시는 분들이라면 3만원이 넘진 않겠네요. 아마 그때가 된다면 지금처럼 한페이지에 메가단위를 이루는 포털 사이트들은 조금 고생을 하겠지만요. 실제 저희가 인터넷생활을 하는데 있어선 많은 불편함은 없을듯 합니다 ↓댓글에댓글
  13. 13. 한규병 '04.4.18 10:54 PM 신고
    :-)*휴 ~ 6월 부터 정통부에서 기간 망을 관리 한다는게 맘에 걸리네요 또 무슨 주작을 부릴지 ↓댓글에댓글
  14. 14. 한규병 '04.4.18 10:53 PM 신고
    :-)*슬픈 일이지만 정통부KT 가 주장하는 요금이 기본료+ 패킷제 입니다 아마
    기본료도 15000~20000 일겁니다 얼마나 싸질까요 ↓댓글에댓글
  15. 15. 김정일 '04.4.18 11:42 PM 신고
    :-)*그러면..주택 사는 사람은 전용선도 못달고..님 처럼 직업상으로..대용량을 수시로 엎.다운 하는 사람들은 어덯합니까? 고스란히 소낙비 맞어야 되나여...? ↓댓글에댓글
  16. 16. 김정일 '04.4.18 11:45 PM 신고
    :-)*그리고 제 취미가 영화감상인데..그렇지 안아도..씨네웰컴에 한 달에 회비 내면서 스트리밍으로 보는데 패킷제가면..어디 불안해서 영화 보겠읍니까? 그렇다면 씨네웰컴도 사업에 지장이 생기고..결국은 이게 IT산업에 악영향을 주는거죠.. ↓댓글에댓글
  17. 17. 박성훈 '04.4.18 11:48 PM 신고
    :-)*김정일님 그 부분에 대해선 이글 본문에 적어 놓았듯이 님의 주장대로 월 500이라는 되도안한 요금이 부과되는 종량제라면 전 주저없이 전용선을 사용 할 것입니다 ^^ 개인적으로 1라인 전용선 사용요금이 10만원대인 점을 감안하면 월 500짜리 전용선은 ↓댓글에댓글
  18. 18. 박성훈 '04.4.18 11:49 PM 신고
    :-)*나올리도 없겠지만 만약 나오게 된다면 그들은 전용선을 많이 팔아먹고 개인 인터넷 사용자는 줄어드는 황당한 일을 겪게 되겠지요 ^^ ↓댓글에댓글
  19. 19. 박성훈 '04.4.18 11:52 PM 신고
    :-)*아 그리고 문제는 또 있습니다. 인터넷 종량제가 왜 하필이면 패킷제 이냐 라는거죠. 요즘 대부분의 포털 사이트들의 메가단위의 페이지를 상시 로딩시킵니다. 즉 패킷제가 시행되면 기본적으로 한사람의 네티즌이 일일 못해도 1기가에 달하는 ↓댓글에댓글
  20. 20. 박성훈 '04.4.18 11:53 PM 신고
    :-)*트래픽을 유발하게 됩니다. 님이나 저처럼 글쓰고 글읽고 다니는데만 그 정도가 유발되지요 ^^ 아 물론 이것은 한사람이 10시간 정도 사용한다라는 계산하에 이루어지는 식입니다. 여기 리플중에 밝힌대로 일반인들은 저런 트레픽 내기도 힘들죠. ↓댓글에댓글
  21. 21. 김정일 '04.4.19 12:01 AM 신고
    :-)*전 한통이 500만원대 요금부과 라는이야기는 말한적은 없구여 제 글을 좀 찿아 내려가면 오히려 그렇게 생각 하시는 분들한데 터무니 없는 소문이라 말했읍니다..문제는 적게 쓰는 분 을 빙자해서 지금 불편없이 사용하던 요금 체계에 변화를 꾀하는 의도가 문제죠 ↓댓글에댓글
  22. 22. 박성훈 '04.4.19 12:06 AM 신고
    :-)*음.. 머 밥줄을 늘리려는 수작이란건 알겠지만.. 적어도 대한민국에 10명중 1명이 네티즌이란 것두 알고 있죠 ^^; 즉 이렇게 논쟁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보면 와 많은 사람들이 반대를 하는구나 싶지만 실제로 거의 대부분의 인터넷 이용자들은 ↓댓글에댓글
  23. 23. 박성훈 '04.4.19 12:09 AM 신고
    :-)*인터넷 종량제가 먼지도 모르는 사람이 다수입니다 ^^;그들의 말이 전부 틀린건 아니라는거죠. ↓댓글에댓글
  24. 24. '04.4.19 1:43 PM 신고
    :-)*종량제 반대 합니다.
    인터넷이 생활필수품인 이시대에 무슨종량제 입니까?
    책상에 앉아 충성하여 승진 하려고 별 궁리를 다 하고 앉았네!
    KT에서 전화요금 돌려주고 기본료 올리더니 또 머리 굴리네!
    종량제 반대 촛불시위 하러 갑시다. ↓댓글에댓글
  25. 25. 조대승 '04.4.20 9:26 AM 신고
    :-)*사용량적인 면에서 사람들이 줄어들겁니다. 필요한 메일만 보고 필요한 업무만 딱~ 보고... 그러나 그로 인해 망해 사라질 메신저, 웹하드, 쇼핑몰, 채팅사이트, 커뮤니티 등등의 포탈사이트에서 쏟아져 나오는 수많은 실업자는 생각이나 하는건지...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