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디시백 연비향상 장치를 사용해보고.....

 




(펌금지입니다. 사전에 허가를 득한후에 링크가능)


 


안녕하세요. 글을 작성하고 실수로 잘못 눌러 다 날리고,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테스트하면서 들은바로는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바꿔줌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키는 장치라고 하였습니다. ECU에서 인젝터로 보내는 전기신호를 부하신호로 변환시킴으로써 모니터에 표시되게 하는것입니다. 악셀레이터를 밟으면 그래프가 올라가고 하는식이죠. 최대한 수평선을 맞추면서 달리는 것이 최대의 관건이었습니다. 테스트 주행거리 100킬로미터를 달리게 위해 자유로로 향하였습니다. 아래는 테스트 후 결과사진입니다.


 

1. DMS 장치 모습

2. DMS 작동 모습 (1)

3. DMS 작동 모습 (2)

4. 100km(실제는 93.5km)주행후 휘발유 가득 채우는 장면.. 아까운 휘발유 ㅠ_ㅜ 

5. 휘발유 정말 아깝군요;

6. 93.5km주행했습니다.

7. 93.5km 주행시 사용연료량

8. 임진각으로 가기전에 주유소에서 휘발유 가득 채운 영수증 (1)

9. 임진각으로 가기전에 주유소에서 휘발유 가득 채운 영수증 (2)

10. 100km(93.5km)주행후 휘발유 가득 채운 주유소

11. 100km(93.5km)주행후 휘발유 가득 채운 영수증

제 차 연비가 보통 7.5~8.5km/L 나왔습니다. 순수 고속도로만 주행시 11km/L까지 해봤고요. 일단 결론은 획기적이었습니다. 위 사진을 근거로 계산하여 보면 93.5km/5.082L=18.39km/L  음... 크레도스 1.8 오토가 나올 연비는 아닙니다. -_-;; 크레도스 스틱 연비가 아무리 잘 나와야 13~14km/L 나오거든요. 티코연비랑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음... 그리고 자유로는 고속도로와 비슷하게 정속주행이 가능함으로써 고속도로 연비로 계산하여 보면 67.1% 향상률이 있었습니다. 모니터를 보면서 주행한 결과가 이렇게 나올줄이야... 의문나시거나 테스트하고자 하시는분은 //www.dcback.co.kr 가셔서 함 보세요. 전화로 문의하셔도 되더군요. 짜증 안 내시고 잘 받아주셨습니다. 대한민국 휘발유값... 국민 무서운거 모르고 쑥쑥 잘도 올라갑니다. 이걸 극복해야 하는데. 무료이니까!(이게 가장 중요하죠.) 서울에 가까이 사시는 분은 함 갔다오는것도 좋습니다. 주행거리 93.5km 달리는데 1시간 30분 걸렸군요. 아무튼, 연비가 좋아진건 확실하므로 사용후기 올려보았습니다. 여러분도 함 해보세요 ^^/

Drift™
2004-05-02 00:08:13
2986 번 읽음
  총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이인향 '04.5.10 11:06 PM 신고
    :-)*기본적으로 연료를 적게사용하거나 하여 차의 파워를 떨어뜨리는 제품이 아니라면 오히려 겐찮은 제품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댓글에댓글
  2. 2. 김수곤 '04.5.9 8:05 PM 신고
    :-)*이 제품 출시되기전에 달러세이버라고 먼저 출시된 제품이 있었는데 그 제품도 비슷한 성능이라고는 하던데.... ↓댓글에댓글
  3. 3. 김종언 '04.5.4 7:18 PM 신고
    :-D*이메일 연락바랍니다. ^^;; new414@hitel.net 정말 갠적으로 궁금한 게 있어서요..^^;; 주실꺼죠? ↓댓글에댓글
  4. 4. 최성용 '04.5.6 1:13 AM 신고
    :-)*김종언님, 메일이 안 갑니다. 다른 이메일주소 알려주세요. ↓댓글에댓글
  5. 5. 최성용 '04.5.2 10:09 PM 신고
    :-)*저걸 처음엔 자꾸 보겠지만... 왠만한 운전실력 가진 분들이라면 그리 어렵지 않을거라 봅니다. 일단 체험해보시면 좋을것 같네요 ^^ ↓댓글에댓글
  6. 6. 심경용 '04.5.2 1:32 PM 신고
    :-)*계속 저거 보며 운전하면,
    좀 위험하지 않을까?
    잠깐도 아니고 지속적인 한눈팔기인데........ ↓댓글에댓글
  7. 7. 홍성의 '04.5.19 12:13 AM 신고
    :-)*
    DMS를 테스트하시고 이렇게 결과를 올려주신 최성용님께 감사드립니다. ↓댓글에댓글
  8. 8. 홍성의 '04.5.19 12:09 AM 신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지속적으로 DMS를 활용하면 엔진이 몰라보게 부드러워지고 조용해진다는 것입니다.
    윤활마찰이 크게 개선된 결과로서 전에는 엔진브레이크를 걸면 속도가 급격히 줄어들었으나 DMS적용 후에는 속도가 거의 줄지 않습니다. ↓댓글에댓글
  9. 9. 홍성의 '04.5.19 12:05 AM 신고
    :-)*이번에 최성용님의 테스트결과는 차가 길이 들지 않은 상태의 결과이며, DMS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엔진의 성능이 크게 향상되어 윤활마찰이 좋아지고 ECU의 제어패턴이 최적화되어 20KM/L이상의 주행이 가능하게 됩니다. ↓댓글에댓글
  10. 10. 홍성의 '04.5.19 12:03 AM 신고
    :-)*그러나, DMS가 없으면 엔진의 출력에 따른 정확한 가속과 속도유지가 어렵고 따라서 DMS가 없어도 흉내는 낼 수 있으나, 중형차가 20KM/L로 주행하는 고효율은 기대할 수 없습니다. ↓댓글에댓글
  11. 11. 홍성의 '04.5.18 11:59 PM 신고
    :-)*김수곤님, 님께서 추천하시는 주행방법은 상황에 따라서는 맞을 수도 있으나 틀릴 수도 있습니다. 특히, 출발시 님의 방법대로 천천히 출발하면 오히려 기름이 더 듭니다.
    연비주행법은 파워주행입니다. 가속은 시원하게, 속도유지는 확실하게.... ↓댓글에댓글
  12. 12. 홍성의 '04.5.18 11:53 PM 신고
    :-)*DMS를 오해하는 분들이 계신데 DMS는 속도계와 마찬가지로 필요할 때만 힐끗 처다보면 됩니다. 운전에는 전혀 방해가 되지 않습니다.
    달러세이버와는 질적으로 다른 한차원 진보된 제품입니다.
    제품을 직접 경험해 보시면 매우 놀라실 것입니다. ↓댓글에댓글
  13. 13. 홍성의 '04.5.18 11:48 PM 신고
    :-)*저는 이 제품을 판매하는 사람입니다.
    저의 홈피는 http://tydms.com이고, 카메라폰과 pda를 사은품으로 드리는 행사를 하고 있습니다. 고유가시대의 확실한 대책이오니 많이 오셔서 내용을 검토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에댓글
  14. 14. 김수곤 '04.5.10 11:57 PM 신고
    :-)*기름을 많이 먹는지 별로 안먹는지 아실겁니다...갑갑하더라도 붕소리 안나게 출발하고 최대한 정속주행..(엑셀을 밟은 상태가 아니고 어느정도 속도를 올려놓은뒤 발을 떼고 속도가 줄어들면 살짝 살짝)을 하게되면어느정도 효과를 보실수 있을겁니다. ↓댓글에댓글
  15. 15. 김수곤 '04.5.10 11:55 PM 신고
    :-)*마티즈 MD 스틱이구여..
    제 결론은 구지 이런제품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해도(물론 조금은 더 도움이 되겠죠) 운전 스타일을 어떻게 바꾸느냐에 따라서 연비향상이 이루어진다 입니다. 운전하시는 분들은 엔진소리만 들어봐도 엔진이 ↓댓글에댓글
  16. 16. 김수곤 '04.5.10 11:54 PM 신고
    :-)*에서만 판매하고 있더군요....회사쇼핑몰이 있었을때 함 시험해봐죠...제차가 마티즈인데 평균 잘나오면 18Km정도였는데..(고속도로연비만 말씀드림)달러세이버회사에서 소개했었던 타력운전이라는것으로 비스무래 운전했더니 22Km까지는 나오더라구요.... ↓댓글에댓글
  17. 17. 김수곤 '04.5.10 11:52 PM 신고
    :-)*아반떼의 린번엔진 효과와 거의 비슷하다고 보심됨니다.기계를 차량에 장착후 그 차량에 맞는 최적의 연소효율(맞나..???)을 찾아서 그에 맞게 운전을 유도한다고 달러세이버 기능소개에는 있었는데..지금은 회사 홈피가 없어지고 일부 쇼핑몰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