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mp3폰 반대시위하면서 mp3폰 광고찍는건 어떻게 이해해야하나요?

 


일단 저는 mp3 무료 다운로드에 대해서 반대쪽에 가까운 입장입니다


몇년전만해도 100만장 넘기면 굉장한 앨범이라던것이


이제는 20만장정도만 넘겨도 베스트셀러 앨범이라 바뀐거같아요


사실 mp3나 벅스뮤직이나 나쁘다는건 아니지만


음반시장이 너무 위축되서


안그래도 가수들 tv쇼프로나 따른일 하면서 돈버는거 보기 안좋았는데


이제는 기본적으로 거의 모든 가수는 거의 모든 tv매체에 나옵니다..


어느정도 음반시장을 살리기 위해서


mp3금지까지는 지금 사용하고 있는 이가 너무 많기때문에


mp3유료화정도는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러나..........


이효리는 mp3폰 광고하면서 mp3폰 반대 시위한다고 하던데요


이거 어떻게 이해하면되나요?


거기다 그 시위에 동방신기도 참가한다던데..


동방신기는 옙인가 하는 mp3를 선전하는걸로 알고있는데


'엠피스리는 사주시고 mp3는 받지마세요' 라고 하는건가요??


mp3반대하려다가도 이런 가수들 보면 그런 마음이 막 무너집니다


도대체가 너무 이해가 안되서 혹시 이해되시는분 있나해서 글올려봅니다;



2004-05-04 12:09:14
5341 번 읽음
  총 5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김여진 '04.5.8 9:08 AM 신고
    :-)*여기 있는 사람들 좀 이상하네요... 사실 노래시디가 비싼 편도 아닙니다. 술 한번 않먹으면 살 수 있죠... 앨범을 사주고 않사주고는 그 노래의 작품성에 달렸다고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진짜 감동의 노래를 만들어야 겠지요(그래도 않사면 몰라) ↓댓글에댓글
  2. 2. 홍성호 '04.5.4 2:18 PM 신고
    :-)*자기 주머니에 돈 들어오는건 좋지만 자기 주머니에 돈 안들어오는건 나쁘다는 거죠. ↓댓글에댓글
  3. 3. 홍기현 '04.5.4 4:21 PM 신고
    :-)*그치들 머리에 든건없고 당장 돈되는건 쫓아 다니는게 하루 이틀 일도 아니고
    그냥 신경 끄시면 되오. ↓댓글에댓글
  4. 4. 박경진 '04.5.4 2:24 PM 신고
    :-)*당연 다르죠. 효리 가 반대하는건 LG의 시간 제한 없는 MP3폰이고,
    효리가 광고했던건 72시간 시간 제한 있는거니깐요. 효리는 오직 LG의 시간 제한없는 MP3폰만 반대했던겁니다. 똑바로 알고 비평합시다..^^ ↓댓글에댓글
  5. 5. 박경진 '04.5.4 2:24 PM 신고
    :-)*다른 회사의 폰에대해서는 반대 안했단 말입니다!!! ↓댓글에댓글
  6. 6. 박경진 '04.5.4 2:24 PM 신고
    :-)*고로 무조건 반대하지말고 똑바로좀 알자구요! ↓댓글에댓글
  7. 7. 박병철 '04.5.4 2:35 PM 신고
    :-)*효리가 삼성MP3폰 광고를 했으니 보너스로 LG MP3폰을 폄하한거죠.^^ ↓댓글에댓글
  8. 8. 염희영 '04.5.4 2:42 PM 신고
    :-)*박경진님 지금 효리폰 72시간 시간제한이 풀린지가 언젠데 그말을 하시나요? ↓댓글에댓글
  9. 9. 염희영 '04.5.4 2:43 PM 신고
    :-)*물론 편법 자용자들로 인해서 풀린거지만 결과는 둘다 시간제한이 없다 이말이지요 제대로 알고 말합시다!! 쪽팔립니다 ↓댓글에댓글
  10. 10. 권제훈 '04.5.4 3:17 PM 신고
    :-)*확실히 모순이죠.. ↓댓글에댓글
  11. 11. 최창호 '04.5.4 3:46 PM 신고
    :-)*삼성이나 기타 MP3폰 업체들도 시간제한 편법으로 풀리는 거 은근히 바란다죠.
    (어쩌면 각 회사에서 몰래 유출시킬지도...제 생각이 그렇다는거지 진짜 그러지는 않겠죠)
    그래야 시간제한 없는 LG보다 잘 팔릴테니... ↓댓글에댓글
  12. 12. 조중현 '04.5.4 4:33 PM 신고
    :-@*제 아이디 보시면 느끼는분도 있겠지만 한때 삼성 무지 좋아했습니다. 그런데 이곳저곳에서 배신을 때리더구만요. 저 mp3폰 이야기도 다른곳에서 들으니 제품 평가나 판매량에서 경쟁사 제품에 미치지 못하니 자기네 광고모델을 이용해서 수를 쓴거라고 하더라구요. ↓댓글에댓글
  13. 13. 조중현 '04.5.4 4:35 PM 신고
    :-)*yepp도 삼성제품인거 다 아시죠? 보이는곳에서 아주 상냥한척, 뒤로는 비웃음인 삼성전자 서비스도 얼마전까지는 잘 속아넘어갔는데 실상을 확인하고 속이 확 뒤집어지더구만요. 저 휴대폰 애니콜 쓰다가 스카이로 바꿨음다. 차도 곧 싼타페나 투싼으로 바꿀겁니다. ↓댓글에댓글
  14. 14. 조중현 '04.5.4 4:37 PM 신고
    :-)*LG가 LP3000을 잘 만들긴 했는데 좀 큰게 문제이고 011에서 사용 못하는게 아쉽더라구요. SM5, 이제 삼성차도 아니지만 반영구적 어쩌구 한 타이밍체인이 끊어지는 경우도 많고 바닥소음은 동급중 가장 많고. 대구에 살면서 삼성 좋다고 하다가 **삼성이 되어가네요. ↓댓글에댓글
  15. 15. 조중현 '04.5.4 4:39 PM 신고
    :-)***삼성이 되어갑니다. 삼성상용차도 그렇고 삼성홈플러스도 대구에서 광고할때는 대구기업 어쩌고 하더니 본사는 서울에 있어서 대구돈을 서울로 다 가져가고, 놀이공원 무료입장 애니패스카드는 대구의 놀이공원에서는 쓸모도 없고 대구는 삼성의 봉이 아니란말이다. ↓댓글에댓글
  16. 16. 이성호 '04.5.4 4:51 PM 신고
    :-)*다른데서 어떤 사람은 효리가 찍은 광고 폰이 mp3않되는 모델이라고 도배를 해놓은 사람도 있던데.. 참 난감합니다.. 그 폰 보기라도 했는지.. 봤으면 그런 소리 않할텐데..그 폰 mp3빵빵하게 잘되는건데.. ↓댓글에댓글
  17. 17. 전욱진 '04.5.4 5:49 PM 신고
    :-)*음...정확히 구분짓자면 이효리씨가 CF 찍은 모델은 SCH-V420이구요 이 모델은 MP3기능이 없습니다...제가 지금 사용중이구요
    요즘 권상우씨가 찍은 CF는 SPH-V4200이라는 모델로 MP3기능이 구현되는 기종입니다... ↓댓글에댓글
  18. 18. 배민준 '04.5.4 5:49 PM 신고
    :-)*한마디 할께요 정확히 mp3폰 반대 한다는건 LG폰을 반대한다는 소리죠
    협정까지 다 매꾸 72시간 지난후에 핸드폰상에서 지워지는 정도 수준으로 합의를 본걸로 알고 있는데 LG에서만 72시간이 지나도 지워지지 않도록 하려고 하니까요 ↓댓글에댓글
  19. 19. 전욱진 '04.5.4 5:54 PM 신고
    :-)*그렇다구 저는 이효리씨 팬이거나 옹호라려구 하는건 아니구요...정리해보자면
    예전 이효리/이서진, 현재 이효리 CF - SCH-V420 셀루러 전용모델 MP3기능 없음
    현재 권상우 - CF SPH-V4200 PCS 전용모델 72시간 유요한 MP3기능
    입니다...참고하세요 ↓댓글에댓글
  20. 20. 이권수 '04.5.4 7:03 PM 신고
    :-)*앞으로 cd 팔아서 돈버는 시대는 지나갈껍니다.이건 시대흐름이니 아무리 머리가 깨어 있는(?) 사람이 많아도 결국엔 cd판매를 해서 돈벌진 못할껍니다.
    인터넷이 우리에게 준 실연이자 기회가 될껍니다. 음악쪽으론 새로운 사업이 진행 될껍니다.. ↓댓글에댓글
  21. 21. 이권수 '04.5.4 7:06 PM 신고
    :-)*당분간은 기존 음반시장 사람들의 반발은 대단 하겠지만 어쩔수 없죠. 공짜가 있는데 돈주고 살 사람이 얼마나 지속 될까요? 인터넷이란게 없어진다면 모를까 그럴일도 없을테고 완벽한 음원 관리란 불가능하고 결국 새로운 흐름이로 가야죠.세계가 변할테니.. ↓댓글에댓글
  22. 22. 이인향 '04.5.4 7:30 PM 신고
    :-)*연예인이 그정도로 생각하고 광고를 찍진 안차나요 ㅎㅎ ↓댓글에댓글
  23. 23. 정옥연 '04.5.4 8:16 PM 신고
    :-)*반대 하내 어쩌내 하면서 나오면 지들도 사서 쓸걸요 ↓댓글에댓글
  24. 24. 이경선 '04.5.4 10:11 PM 신고
    :-)*전욱진님.
    결론 4200도 일명 효리폰이라 불립니다-_-; ↓댓글에댓글
  25. 25. 김황호 '04.5.4 10:50 PM 신고
    :-)*아.. 그냥... 이해 하지 마세요... ↓댓글에댓글
  26. 26. 정재헌 '04.5.4 10:51 PM 신고
    :-P*mp3폰에서 듣는 mp3파일은 한 곡당 1천원 아닌가여? cd 한장에 12,3곡 정도 들어가는데 그 정도면 유통마진이나 제작원가가 없는 것 치곤 엄청 비싼 건데 그마저도 시간을 제한한하다면 그걸 왜 사는지. 게다가 효리폰은 성능도 안좋다며 사기당했다고 말들이 많던 ↓댓글에댓글
  27. 27. 이창재 '04.5.5 12:34 AM 신고
    :-)*이번에 새로 나온 Mp3 폰들은....자체 메모리스틱??같은게 있지 않나요?그걸로 컴퓨터랑 연결해서 파일 전송해서 사용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다운받아 사용하다니요.ㅋㅋ그건 한단계 낮은 폰들이겠죠... ↓댓글에댓글
  28. 28. 이창재 '04.5.5 12:35 AM 신고
    :-)*그리고...사실 요즘 가수들....노래가 좋기나 합니가??솔직히...한 두곡씩은 좋습니다..하지만 앨범을 깊이 파고들면 들수록 질이 떨어지죠.ㅡㅡ^그 한 두곡을 듣기 위해서 만원이 넘는 돈을 내면서 들어야 합니까?? ↓댓글에댓글
  29. 29. 원경천 '04.5.5 8:54 AM 신고
    :-)*저작권은 지켜져야겠지만 MP3는 어쩔수 없는 시대의 대세 아닙니까? 지금 음반회사도 현재의 음반판매 방법이외에 다른 방법을 모색해야지, 그렇게 반대반대한다해도 그게 그렇게 됩니까? ↓댓글에댓글
  30. 30. 양현명 '04.5.5 10:56 AM 신고
    :-P*삼성과ktf폰은 72시간후에 노래가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허나 엘지는 삭제가 안되는걸로 알고있읍니다..
    그이유때문에 시위하는걸로 알고있읍니다 참고하세여~~ ↓댓글에댓글
  31. 31. 김백수 '04.5.5 2:53 PM 신고
    :-)*가수들은 "MP3폰", "MP3플레이어" 가지고 있는 사람 없을까? 가지고 있으면 노래는 모두 돈주고 산걸까?? ↓댓글에댓글
  32. 32. 한미애 '04.5.5 3:07 PM 신고
    :-)*그렇게 불만이 많으시면 고소 하세요 이렇게 뒤에서나 중얼 거리지 마시고요 ↓댓글에댓글
  33. 33. 김대수 '04.5.5 3:50 PM 신고
    :-)*이효리폰 즉 V420은 MP3폰이 아닙니다. MP3폰은 권상우가 선전하고있는 V4200입니다. 이점 유의바랍니다. 동일한 스윙폴더지만 내용물에는 차이가있죠 ↓댓글에댓글
  34. 34. 김현석 '04.5.5 9:29 PM 신고
    :-(*흠냥....엠파스에서 이효리폰 검색하니 MP3기능이 있는것같은데 ~.~ 시간제한되어있지만 네티즌에 의한 S/W조작으로 벨소리및 MP3가 무제한으로 이용되고 있다는....대략.... 이런 내용들이...흠흠 ↓댓글에댓글
  35. 35. 이상민 '04.5.5 10:33 PM 신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무시하거나 모르는사실이 있죠. mp3는 무료가 아닙니다.mp3는 정품시디를 사서 mp3인코딩을 한다음 mp3플레이어나 폰으로 옮겨서 들어야 합법적인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이 다운받고 있죠? 아예 mp3를 다운전용으로 아시는 분도 계시고. ↓댓글에댓글
  36. 36. 이상민 '04.5.5 10:35 PM 신고
    :-)*인코딩 자체를 모르는 분도 계시고. 그저 소리바다로 다운받아 듣는걸 당연하다고 여기는것이죠. 게다가 mp3폰반대또한 무료사용이 불가능하도록 하는것을 말하는겁니다. ↓댓글에댓글
  37. 37. 최규호 '04.5.6 9:03 AM 신고
    :-)*글쓰신분도 MP3쓰면서 이런글 쓰시는건 아니신지요... ↓댓글에댓글
  38. 38. 신성진 '04.5.6 9:16 AM 신고
    :-)*아무래도 아날로그시대가 너무 빨리 진행되는 디지털시대에 뒤떨어진 현상이라고 볼 수 없다. 맨날 음반만 내놓으면 잘 팔리겠지...라고만 생각하는 그런 안일주의에서 벗어나지 않는 이상 절대 해결되지 않는다. 고민을 많이 해야 될끼다.음악종사자들이... ↓댓글에댓글
  39. 39. 신성진 '04.5.6 9:19 AM 신고
    :-)*조금만 더 있으면 내 개인적인 생각에 mp3는 저절로 없어질꺼다. 왜냐하면 좀 더 압축기술이 뛰어나고 음질또한 좋은 코딩방식이 분명히 나오기 때문이다. 음악종사자들은 미리 그 새로운 방식이 나오기 전에 대책을 마련한다면 향후 10년이후에는 이런문제가 발생할까? ↓댓글에댓글
  40. 40. 신성진 '04.5.6 9:21 AM 신고
    :-)*음악종사자들도 그러나? 지금 먹고살기 힘들어서 현실에 급급하나? 경기부양도 단기적인 정책을 펼때는 보기엔 화려하지만 나중에 더 큰 문제가 된다. 지금처럼 신용카드나, 비정규직 문제처럼...장기적인 안목을 많이 가졌음 좋겠다. ↓댓글에댓글
  41. 41. 신성진 '04.5.6 9:24 AM 신고
    :-)*네티즌들도 그냥 무조건 반대하거나 찬성하거나 하는 논리에서 벗어나 서로간의 WIN WIN 전략 바탕으로 조금씩 조금씩 의견들을 줄여나갔음 좋겠다. ↓댓글에댓글
  42. 42. 유민석 '04.5.6 2:09 PM 신고
    :-)*앨범이 안팔리는건 전세계적인 인터넷망 보급도 있지만 경기의 불황과 기타등등이 있습니다. 외국에서도 인터넷망의 보급과 MP3로 인해서 음반판매가 준게아니라는 글을 본적있습니다. mp3라는게 코덱을 얘기하는게 아니라 무료음악의 대명사격이기 때문에 mp3가 사라진 ↓댓글에댓글
  43. 43. 유민석 '04.5.6 2:09 PM 신고
    :-)*다해도 무료음악은 절대 안없어질껍니다. ↓댓글에댓글
  44. 44. 박찬서 '04.5.6 9:37 PM 신고
    :-)*요즘같은 고압축 디지털 시대에 겨우 74분 재생하는 CD 음반 사는 사람 빙신 아닌가? 언제까지 74분짜리 가지고 장사 되네 안되네 하려고 하는지 참 답답하다. 10시간짜리 음반 만들면 존나 팔린다. 빙신들... CDDA는 이제 한물 간 규격이다. ↓댓글에댓글
  45. 45. 김성배 '04.5.6 8:39 PM 신고
    :-)*제가 위에 V4200을 사용하는데요... 일단 눈에 보이기는 하지만... 어쨌든 파일 형식이 MP3는 아닙니다. MP3를 변환해서 사용하죠... 그러니까... 결과적으로는 논쟁의 여지를 살짝 피해갔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댓글에댓글
  46. 46. 김성배 '04.5.6 8:41 PM 신고
    :-)*그리고 솔직히 음반 시장의 위축이 MP3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다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예전 음반 중 상당수는 지금처럼 일반인들의 높은 음악성으론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형편없습니다. 앨범에 들을만한 곡 2~3곡에 나머지는 떨이나 마찮가지였죠 ↓댓글에댓글
  47. 47. 정순철 '04.5.7 2:11 AM 신고
    :-)*백만장 팔릴정도의 앨범이 일년중에 몇장이나 있는지부터 따져보고싶네요... ↓댓글에댓글
  48. 48. 김성배 '04.5.6 8:45 PM 신고
    :-)*그 결과를 음원협은 모두 MP3의 탓으로 돌리고 있는데... 지금같은 상황이 계속된다면 결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IT산업을 죽이는 꼴로 가고 있습니다. 상당 수 신인들은 과거에 홍보용으로 벅스뮤직같은 사이트들을 적극적으로 사용했었습니다. ↓댓글에댓글
  49. 49. 김성배 '04.5.6 8:47 PM 신고
    :-)*개구리 올챙이적 생각 못한다는 말이 생각나네요...
    IT의 힘을 등에엎고 입문했던 가수들이 지금은 아우성입니다.
    MP3의 제한이 일단은 음반업계에 힘을 주기는 하겠지만...
    장기간으로도 그런 결과를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생각합니다. ↓댓글에댓글
  50. 50. 남지혜 '04.5.6 10:21 PM 신고
    :-)*이효리폰은 캠코더폰인데요? -_-? 권상우가선전하는데 엠피쓰리폰이고 욕하려면 동방신기를 욕해야죠 -_- 엠피쓰리광고모델 주제 엠피쓰리쓰지말라고 이게 뭡니까? ↓댓글에댓글
  51. 51. 곽준경 '04.5.8 10:01 PM 신고
    :-)*-_-이효리 골빈누나 지 뭐잘났다고 -_- 남자의 본능을 유혹하는 맘에 안드는 누나 ↓댓글에댓글
  52. 52. 김정훈 '04.6.6 9:44 AM 신고
    :-)*저거 MP3폰 아닙니다.
    V410, V4300, V4200과 더불어서 MOD방식의 뮤직재생방식입니다.
    스카이에서 최초로 도입햇던건데 음질두 조쿠 단지 가격이 곡당 3처넌정두해여!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