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P2P로 인한 네트워크 부하 웃기지도 않는다 -2-

 









할말은 많지만 글제목에 관련에서 한가지가 짚고 넘어가고자 합니다.


우선 , P2P 사용자에게 과금한다는 것 자체가 웃긴 자태입니다. 통신업체들이 자신들의 시설에 대한 투자보다는 P2P와 같은 기존의 있던 시설에 대한 부하에 대한 과금만을 생각하니 어찌 웃지 않을수 있겠습니까? 사실 우린 인터넷 서비스를 신청함으로 주어진 영역 보통 업 1M/ 다운 2M ( 갑자기 이 부분이 생각이 안나서 이와 비슷하죠 ) 이런식으로 우리에게 주어진 대역폭을 가지게 됩니다. 우린 이 대역폭을 사용함에 있어서 우리의 권리입니다. P2P를 사용한다 하여 다운 속도가 5M로 늘었난다거나 하진 않겠지요. 물론 잦은 접속으로 인한 부하를 있겠지만 이것또한 우리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당연한 권리라고 생각합니다. 시설에 대한 투자를 하지 않고 P2P에 대해서 걸고 넘어지는 행태는 정말로 웃기고 자빠졌다고 해야 할까요?


인터넷 서비스 초창기 시절... 얼마나 경쟁적으로 자사들의 서비스 광고에 대해 일장 연설을 했습니까??? 제가 기억하기론 P2P에 대한 언급도 있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제 인터넷 시장이 점점 가입신청 확대 보다는 유/보수 부분에 집중 될듯하자, 유/보수 부분의 자금을 가입자들에게 떠 넘기려는 수단은 정말 악랄하다 라고 밖에 생각되지 않는군요.

---------------------------------------------------------------


우선, 여기 여러글들을 읽어 보니 IP 부족 현상에 대해서 언급이 되어 있더군요. 근데 참으로 웃긴 얘기라 생각됩니다. 왜 각 회사의 사정에 대해서 우리가 책임을 져야 된다는 식의 논리로 반박하는지 말입니다. 우린 인터넷 정액에 대해 대한 약관으로 가입을 하게 되었고 그 가입된 대상으로 그 인터넷 회선으로 지지고 볶고 떡을 치던 아무 상관 할바가 아니란 말입니다. 위에 정액제를 씀으로 우린 제한 대역폭( 제한 대역폭이라 1편에서 적었던 글에 대해서 어느분이 글 달아 놓으셨던 부분)을 준수하며(준수보다는 제한이 걸려 있지요. ADSL 라이트로 1M이상 나오나요?)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한정된 대역을 가진 기계에 무분별하게 가입자를 연결 시킨 회사의 문제가 아닌가 쉽습니다. IP부족분에 대해서 왜 우리가 신경을 쓰고 배려를 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written by 맹꽁 (mangg)
2004-05-05 14:29:55
1775 번 읽음
  총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권제훈 '04.5.5 5:07 PM 신고
    :-)*P2P 사용자들 때문에 네트워크 부하라면 24시간 풀로 가동하는 개인서버 들이나 컴퓨터 들은 불량품인가? ↓댓글에댓글
  2. 2. 조창우 '04.5.5 8:21 PM 신고
    :-)*근데 왜 개인 사용자만 돈을 내야 한다는거죠? 공공기업이나 피시방은 안내는걸로 알고있씁니다.(제가 잘못안건가요?) ↓댓글에댓글
  3. 3. 이순재 '04.5.6 12:55 AM 신고
    :-)*P2P가 트래픽을 발생시켜봐야 적정 수준을 어긴 업체측의 잘못이고 일정 유저당 1회선으로 하다보니 트래픽이 문제시 되는 것이고 당초 광고했던 속도를 유지 하지 못하는 것도 소비자측에서 일방적인 계약해지의 요건이 될수있는 마당에 트래픽때문에 못견디겠다니ㅡㅡ ↓댓글에댓글
  4. 4. 이순재 '04.5.6 12:56 AM 신고
    :-)*광고했던 속도를 24시간 유지해준다는 조건하에 트래픽양이 문제시 된다면 몰라도 현재 시점에 트래픽양이 문제된다는 것은 부시가 대량살상무기가 있다며 대의명분을 내세우며 이라크를 침공한것과 같은 것이군요 ↓댓글에댓글
  5. 5. 이순재 '04.5.6 12:57 AM 신고
    :-)*허울좋은 변명일뿐 트래픽은 문제되지 않는다는 것이고 설령 문제가 된다 그래도 회사의 이득보다는 설비투자에 힘써 더 좋은 환경으로 나아갈수있도록 해야할판데 흑자가 얼마네 몇퍼센트 증가했네 이러고 있으니 ㅡㅡ; ↓댓글에댓글
  6. 6. 양욱진 '04.5.6 5:28 PM 신고
    :-)*광고할 돈으로 그런 일 좀 해결해라 좀.. ↓댓글에댓글
  7. 7. 김대옥 '04.5.6 7:32 PM 신고
    :-)*옳소~ ↓댓글에댓글
  8. 8. 김남영 '04.5.6 9:56 PM 신고
    :-)*옳소에 원츄!! ↓댓글에댓글
  9. 9. 이황정 '04.5.7 9:05 PM 신고
    :-)*바이러스 걸려서 엄청난 트래픽이 걸리면 사용자는 그 엄청난 요금을 어떻게 감당합니까.
    말이 종량제이지 그냥 요금인상이네요. ↓댓글에댓글
  10. 10. 박성훈 '04.5.8 9:45 PM 신고
    :-)*종량제가 좋은 일은 아니죠. 하지만 p2p로 인한 트레픽문제는 현실입니다. 전 게임을 주로 하는 사람입니다. 인터넷 하루 연결 5시간중 3시간을 게임에 투자하죠. 문제는 이때 p2p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다면 게임은 심각한 랙이 걸립니다. 그로 인해서 ↓댓글에댓글
  11. 11. 박성훈 '04.5.8 9:48 PM 신고
    :-)*게임상에서 손해본것이 많지요. 그래서 **짓을 좀 했었지요 ㅡ_ㅡ.. 암튼 지금의 현실은 트래픽 문제가 분명히 있다는 것입니다. 인터넷 대란등을 떠나서 하나의 구역마다 트래픽이 심각하죠. 스스로 살 길을 찾아야 할 시대입니다. ↓댓글에댓글
  12. 12. 박세호 '04.5.9 9:57 PM 신고
    :-)*트래픽이 생긴다구요. 그럼 그걸 사용자들이 책임지을 일인가요. 당연히 서비스 제공자측에서 보완해줘야지요.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