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일본에 한국 IT인프라 추월 초읽기로 IT강국 입지 흔들리는중.

 


日 IT인프라 한국 추월 초읽기
  
일본이 한국의 IT인프라 수준을 뛰어 넘고 있다. 한국이 눈 앞의 수익에만 급급, 차세대 투자를 등한시하는 동안 일본은 최근 광가입자망(FTTH) 기반 차세대네트워크(NGN)망 구축과 100Mbps급 초고속 디지털가입자회선(VDSL) 도입에 나서고 있다. 또 WCDMA 전국망을 마무리하고 관련 장비 및 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마치 지난 90년대의 상황이 역전된 모습이다. 한국은 일본이 주춤한 사이 차세대 인프라에 총력을 기울였고 이를 바탕으로 휴대폰, 장비, 서비스 등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올라서면서 IT산업 경쟁력을 견인해 왔다. 하지만 어느새 정반대의 상황이 되면서 3∼5년후 한국 IT산업 경쟁력의 심각한 저하를 우려하는 단계까지 왔다. 이대로 가다가는 IT강국의 위상은 고사하고 기술 종속 현상까지 걱정해야 할 수준이란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초고속서비스는 이미 추월=일본은 유선의 경우 100Mbps 시대로 진입한 반면 한국은 아직 50Mbps에 머물고 있다. 


소프트뱅크BB를 비롯해 NTT·KDDI·유센 등이 100Mbps급 장비 도입에 속속 나서고 있다. 실제로 소프트뱅크BB는 우리나라의 우전시스텍과 100Mbps급 VDSL 장비 도입계약을 체결했다. 일본은 이를 계기로 주요 사업자들의 100M 속도 경쟁이 불을 뿜을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10∼50Mbps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업그레이드 계획은 아직 요원하다. 일부 사업자가 연내 75Mbps 도입 계획을 세웠지만 이마저도 수익성을 이유로 철회한 상태다.


◇3세대 이통은 전국망 對 지역망=WCDMA 전국망 서비스에 나서고 있는 NTT도코모는 지난 3월말 현재 전국 서비스 커버리지율을 99%로 확대했다. 세계 처음이다. 가입자 수도 300만명을 돌파했다. 반면 한국은 수도권 지역 서비스에 나서고 있지만 생색내기 수준이다. 가입자 역시 5000명에도 미치지 못한다. 내수를 기반으로 해외시장에 도전하는 그간의 휴대폰 및 장비산업 성장전략은 설 곳이 없다. 벌써부터 3세대 휴대폰 시장에선 마이너였던 일본업체들과 힘겨운 싸움을 벌이고 있다.


◇NGN 구축도 뒤졌다=일본은 이미 세계 최고의 IT인프라 환경 조성을 위해 FTTH를 기반으로 하는 NGN망 구축 계획을 세우고 실행 단계에 돌입했다. 한국보다 앞서 차세대망에 전력투구한다는 것이다. 한국은 이제서야 전체적인 밑그림을 완성했다. 하지만 현재의 사업 환경상 대규모 투자가 동반되는 정부 계획이 언제쯤 실현될지 불투명하다.


이에 대해 업계 한 전문가는 “현재의 투자가 3∼5년후 IT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데 어렵게 차지한 IT강국의 프리미엄을 일본에 고스란히 내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우전시스텍의 이명곤 사장은 “한국은 세계 최고의 IT인프라 환경 조성에 성공, 각종 첨단 장비와 서비스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해왔다”며 “하지만 일본이 한국을 뛰어넘는 수준에 도달, 대응책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박승정기자 sjpark@etnews.co.kr>


--------------------------------------------------------------------------------


[사설]'IT인프라 강국' 입지 흔들리나 
  
우리나라가 IT인프라 강국이란 명성을 이제 일본에 넘겨줘야 할지 모른다는 우울한 소식이다. 우리가 차세대 투자를 등한시하는 동안 일본은 세계 최고의 디지털가입자회선(DSL)을 활발히 구축하는 등 우리보다 한발 앞선 IT인프라 환경을 갖춰가고 있다고 한다. 정보화에서도 어느새 경쟁국들이 우리를 앞서가고 있다는 경종을 울리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나 휴대폰 가입자수 등 IT인프라 분야에서 가장 앞서 있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각종 자료에서 우리의 초고속인터넷 보급률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했고 영국의 정부·대학·언론 등은 초고속인터넷 선진국이 되려면 한국을 벤치마킹할 것을 권고하기도 했던 게 엊그제였다. 이런 세계적 IT인프라를 갖췄기 때문에 그간 우리나라가 각종 IT관련 첨단장비와 서비스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해왔던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일본이 광가입자망(FTTH) 기반 차세대 네트워크 구축에 나서는 등 ‘안방까지 광통신을’이라는 야심찬 프로젝트를 이미 실행에 옮길 정도로 차세대 망 구축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는 이제야 밑그림을 완성했을 정도고 투자가 언제 시행될 지 모른다. 이렇게 보면 IT인프라 강국 명성이 일본에 넘어가는 것은 차치하고라고 인프라 격차가 넘보기 힘들 만큼 벌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이미 우리의 IT인프라 수준을 추월한 것도 있고 인터넷 보급률도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고 한다.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망의 경우 우리가 최고 50Mbps급을 서비스하고 있는 수준인 반면 일본은 100Mbps시대에 진입했다. 우리가 ADSL분야에서 일본을 앞섰지만 VDSL분야에서는 뒤지고 있는 것이다.


WCDMA부문의 경우는 격차가 더 심하다. 일본은 이미 전국망 서비스에 나서 가입자 수만도 300만명에 달한다고 한다. 이에 비해 우리는 서비스 지역이 수도권에 국한되어 있고 가입자도 5000명에 못 미치는 생색내기 수준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IT인프라 측면에서 우리 뒤에 있다고 생각했던 일본을 이제 우리가 추격해야 할 상황이 된 것이다. 이렇게 정반대의 상황이 빚어지게 된 까닭을 생각하면 물론 일본의 적극적인 투자와 기술확보 노력을 빼놓을 수 없다. 하지만 일본이 차세대 인프라에 총력을 기울이는 사이 우리가 미래를 대비한 투자나 기술력을 더 높이지 못한 측면 또한 크다는 점도 부인하기 어렵다.


중요한 것은 일본이 우리의 IT인프라 수준을 뛰어넘고 있다는 것을 우려하기보다 우리의 차세대망 구축이 늦춰짐으로 인해 3∼5년 후 우리나라 IT산업 경쟁력이 심각하게 저하될 수 있다는 점이다. 내수를 기반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해 오면서 발전한 우리 CDMA 단말기 및 장비산업을 보면 더욱 그렇다. 지금처럼 눈앞의 수익에만 급급하고 미래를 대비한 투자를 미루다가는 OECD 30개 회원국 가운데 1위인 우리나라의 IT 제조업 경쟁력이 언제 추락할 지 모른다.


지금 우리 경제를 그나마 버티고 있는 것도 IT산업이고 앞으로 살아갈 방법도 이 길 외엔 보이지 않는 게 우리 실상이다. 우리를 먹여 살릴 전략 산업에 대한 민관의 관심 제1 순위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 신문게재일자 : 2004/05/18
○ 입력시간 : 2004/05/17 15:28:29 
 
출처 : 전자신문



김삿갓
2004-05-19 00:09:00
1840 번 읽음
  총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이인향 '04.5.19 4:00 AM 신고
    :-)*드뎌 정통부 코미디의 끝은 보려나... ↓댓글에댓글
  2. 2. 김재홍 '04.5.19 7:34 AM 신고
    :-)*정말 뷁이네요 ..이런 상황에 종량제라 ..하나로와 KT가 자기네들만의 수익을 위해 IT시장을 오그라뜨릴려고 작정을 하였나 봅니다. ↓댓글에댓글
  3. 3. 박진철 '04.5.19 9:16 AM 신고
    :-)*2002년부터 나온얘기입니다. 우리는 ADSL을 아직도 고집하고있죠.. 아직 본전도 못뽑았아서 그런만면 일본은 ADSL을 포기하고 VDSL로 전환해서 빠른 통신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기업은 아직 본전을 못뽑아서 통신업그레이드를 않하고 있죠..젠장할 ↓댓글에댓글
  4. 4. 김중모 '04.5.19 10:22 AM 신고
    :-(*56K 모뎀을 준비 해야 할것 같소 근데 XP용 드라이버는 구하기 힘드넹.. ↓댓글에댓글
  5. 5. 양재일 '04.5.19 11:27 AM 신고
    :-)*우리는 오히려 IT를 지원해야할 정통부에서 종량제로 IT산업을 송두리채 무너뜨리려 하고 있죠 참웃긴 노릇이죠 우리나라 전자 산업이 제조나 생산이 50% 육박한다는데 종량제 하면 아마 우리나라 IMF 보다 심한 국가부도 날겁니다 ↓댓글에댓글
  6. 6. 조국희 '04.5.19 11:56 AM 신고
    :-)*아니면 몇년뒤 김모삼 대통령 처럼 '내가 머 알았나..' 할 불행한 대통령이 나올지도 모르겠군요......정통부 등지에서 문제 없으니 종량제 해야 한다고 할테니.... ↓댓글에댓글
  7. 7. 조국희 '04.5.19 11:52 AM 신고
    :-)*일반 사용자의 p2p 등의 과다한 트래픽 때문에 발전이 안 되었다고 (회사가 수입을 못올려 재투자 못했다는 둥...) 정통부와 한통의 발표가 곧 있을거 같군요 ↓댓글에댓글
  8. 8. 이창재 '04.5.19 4:50 PM 신고
    :-)*우리나라가 무슨 10~50메가 수준이야!!ㅡㅡ;;
    인터넷 가입자 절반은 ADSL쓸껀데....ADSL이 아무리 잘 나와봐야 8메간데..ㅡㅡㅋ ↓댓글에댓글
  9. 9. 정수열 '04.5.19 6:33 PM 신고
    :-)*대한민국이 도대체 잘하는게뭐야~~~ ↓댓글에댓글
  10. 10. 양욱진 '04.5.19 7:38 PM 신고
    :-)*공기업은 자기 밥그릇 챙기는 밥상이냐 이 매국놈들아!!!
    (정통부와 KT에게) ↓댓글에댓글
  11. 11. 정재헌 '04.5.19 11:17 PM 신고
    :-P* 한국정부, 특히 정통부는 업자들의 대변인이져. 특히 업자 출신인 진모씨가 장관이 되면서 그런 경향이 더 강해졌지여. ↓댓글에댓글
  12. 12. 홍영민 '04.5.23 8:09 AM 신고
    :-)*가난한 나라의 현실이란걸 모르시나요.. ↓댓글에댓글
  13. 13. 유창호 '04.5.27 12:59 PM 신고
    :-)*슬프다...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