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하하 ..이런 ...벤치비 위의 게시물을 보니 "그동안 너무 싸게 쓰셨습니다 ~~ " 라는 게시물이
있군요 ...정말 재미있네요 ...우리나라 초고속 인터넷의 요금이 싸다 .? 이 논리는 대체 무엇을
근거로 한 논리인지 잘 모르겠군요.. 얼마전 발표된 KISDI 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의 인터넷 요금은 12M의 속도를 제공하는 상품이 우리나라 돈으로 따져 계산하였을시
2만4천7백원입니다. 반면? 우리나라에서 12M의 속도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얼마를 내야 합니까?
12M의 속도를 제공받으려면 최소한 VDSL 프로급은 써야 하고 그렇다면 납부해야 하는
요금이 5만원이상입니다. (그리고 그나마 우리나라 초고속 인터넷 인구의 80%이상은
12M의 서비스를 원천적으로 받을수도 없죠 ..일명 아파트가
아니면 VDSL급 인터넷 비설치의 압박 ..때문에 말입니다 )
여기서 의문 ...과연 일본 초고속 인터넷 기업들은 흙퍼가며 장사를 하는 것일까요?
어떻게 상급의 초고속 인터넷 요금이 이렇게 저렴할 수가 있는 것일까요?
이점을 보더라도 우리나라 초고속 인터넷의 요금은 현재도 충분히 높은 ...
업체들의 원가를 보상할 수 있을만한 수준입니다. 업체들이
정상적인 경영을 했더라면 말이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업체들은
우리나라 인터넷 요금이 너무 낮아 투자를 못해먹겠다는 이야기들을 합니다.
업체들은 이미 충분하다 못해 넘치는 요금을 받고 있음에도 대체 왜
이런 이야기들을 하는 것일까요?
한때 우리나라 굴지의 T사와 H사가 ...신규가입자들을 유치하기 위해 ...가입비 무료는
물론이고 5개월 이용료 무료까지 제시를 하였던 적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한아름의 가입유치 선물은 물론이고 말입니다.)
저는 그때 대체 초고속 인터넷을 팔아 얼마나 남는다고 저렇게 퍼주는 것일까? 저러다
망하는 것 아냐?
하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이런 퍼주기 경쟁의 결과 두루넷, 온세는
이미 쓰러졌으며 .. 하나로통신도 한동안 흔들흔들 했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초고속 인터넷 업체의 퍼주기는 멈춰지지 않고 있습니다.
뭐 다행히 5개월이상의 이용료를 무료로 하는 궤멸적인 가입자 유치정책은 사라졌으나
신규가입시 선물퍼주기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죠.. 이용료 무료가 사라진
대신 선물 퍼주기가 한층 업그레이드가 된 측면이 있습니다. T사에서는 신규가입시
옥션 7만원권 상품권을 퍼주고 있으며 H사도 신규가입시 그와 비슷한 금액의 CJ MALL 상품권을
퍼주고 있죠)
우리나라 초고속 인터넷 업체의 고비용 저수익 구조는 절대 초고속 인터넷 요금이
저렴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 아니라 생각합니다. 이는 방만하기가 이를데없는 조직,
중첩된 하청으로 인한 비효율(때문에 돈은 돈대로 들고 최종소비자는 최종소비자
대로 합리적인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죠), 이미 널리 횡횡
하고 있는 기업내 부정부패, 그리고 가입자를 유치하기 위한 출혈경쟁에 막대한 자금을
퍼부었기 때문이라고 봐도 그리 틀림이 없을 것입니다.
우리나라 초고속 인터넷 업계는 종량제 따위의 논의를 하기에 앞서서 ..
현재의 고비용 저수익 구조를 어떻게 해야 타파를 할 수 있는가? 하는 연구와 노력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이런 노력이 선행되지 않는한 ,..요금제도를 아무리
올린다 한들 이것은 밑빠진 독에 물붓기가 될 것입니다.
업체들이 이렇게 퍼주기 경쟁이나 일삼고 투자를 게을리 한 덕분에 ...초고속 인터넷 IT
강국이라는 이미지가 벌써부터 일본에 밀렸다고 합니다...
(하기사 밀릴 때도 됐죠.. 50M짜리 서비스가 제공된다는 이야기가 나온지 한참 되었는데
그 후속 이야기가 전혀 없었으니 말입니다.)
일본의 경우 벌써부터 100M
급의 초고속 인터넷이 상용화 단계에 들어섰는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100M은 커녕
75M의 상품도 개발 논의를 하다가 말았다는 군요 ...
(그나마 단독주택, 연립의 경우는 상황이 더 암담합니다. 3사 공히 VDSL급이나 닥시스 2.0
을 도입할 계획이 전혀 내지는 거의 없습니다. 하나로 및 두루넷의 경우는 닥시스 2.0을 도입할
생각이 1~2년 내에 전혀 없고 한국통신의 경우만 지극히 제한적인 지역에서 별로
바람직하지 않은 품질의 VDSL 시범서비스만 하고 있습니다.)
정말 대단합니다. 업체들의 구태의연한 모습에 찬사를 보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곳에 출몰하고 계신 하나로 및 한국통신 관계자들에게 하고 싶은말 한마디
"종량제 도입을 위해 맨날 트래픽 어쩌고 하는 구태의연하기 짝이 없는 논리만 제시하시지
마시고 좀 합리적인 ...때문에 누구나 고개를 끄덕일 수 있는 논리좀 제시하여 보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