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캠밸 연합사 사령관 "한국군을 여기저기에 써먹을 것"[한국군의 총사령관인 켐밸 각하가 마음대로 하겠다는

 


우선 건의사항부터..
이 게시판, 이젠 "여중생 학살사건"에만 국한하지 말고, "미군문제" 토론장으로 했으면 좋겠대요. 보다 폭넓은 글이 오르기 위해서;;

::: ::: 한국군의 총사령관인 켐밸 각하가 마음대로 하겠다는데 누가 막겠소 ::: :::
 

캠벨 "한미연합군 동북아평화유지군 활동"(종합)
2004/05/25 15:28 송고


"작전범위 넓혀"
    (서울=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 찰스 캠벨 미8군 사령관은 25일 "한미 연합군은 인도주의 작전 뿐 아니라 동북아 평화유지군으로 활동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캠벨 사령관은 이날 오전 용산기지 내 미8군 사령부에서 국방부 기자단과  가진 간담회에서 이 같이 말하고 "21세기에는 (한미연합군의) 작전범위가 한반도에 한정되지 않고 동북아지역으로 확대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주한미군 재배치 계획에도 불구, 한미 군사동맹에 대한 미국의 공약은 전혀 변함이 없다"며 "한미 연합군을 숫자 중심으로 생각하지 말고 능력 위주로  봐달라"고 주문했다.

    캠벨 사령관은 "과거에 비해 한국군의 능력 자체도 크게 강화됐고,  주한미군의 능력, 동북아 지역의 미군의 능력, 전략적으로 신속한 지원이 가능한  미군  전체의 능력까지 종합적으로 판단해 전력을 평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캠벨 사령관은 "한미 연합군의 전투 능력이 북한군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막강한 수준"이라고 전제한 뒤 "최근 몇 년 동안 이 같은 한미 연합군과 북한군간  전력차가 대폭 커졌다"고 강조했다.

    그는 주한미군 전력증강과 관련, "아파치 헬기와 무인항공기, 패트리엇  미사일 등이 이미 배치됐거나 향후 수년간 배치될 예정"이라며 "이는 육군에 제한되지 않고 공군과 해병대도 포함된다"고 밝혔다.

    그는 미2사단 2여단의 임무종료 후 한국 복귀 여부에 대해, "차출된 2여단이 이라크 작전이 종료된 다음 어디에 배치될지 여부는 추후 한미간 협의를 통해  결정될 것"이라며 "협의는 2단계로 진행되는데 한미 국방장관회담과 정상회담을 통해  논의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캠벨 사령관은 또 "주한미군의 재배치 문제는 한.미 양국의 국방장관과 정상 간의 협의를 통해 논의돼야 할 사안"이라며 "미국의 일방적인 재배치는 없을  것"이라고 분명하게 말했다.

    그는 "주한미군 보병 전체가 빠져나가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그렇지  않다"고 답하면서 "주한미군의 501 정보여단과 제1 통신여단은 계속 한반도에 주둔할 방침 "이라고 덧붙였다.
    khmoon@yna.co.kr(끝)



치세
2004-05-26 18:51:26
520 번 읽음
  총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심경용 '04.5.26 9:28 PM 신고
    :-)*하기사 미국이 '한국'을 그렇게 쉽게 포기할 리는 없겠지요.
    한국의 경제적 가치는 이미 포기가 가능한 수준이란 얘기도 돌지만,
    군사적 가치는 '대만'못지 않게 중요하죠. ↓댓글에댓글
  2. 2. 심경용 '04.5.26 9:30 PM 신고
    :-)*도올이 말하길, 대만은 미국에 있어 중국에 대한 '움직이지 않는 항공모함'이라고
    말하더군요. 지금 북한엔 핵이 있고, 그 핵은 미국본토폭격이 가능하고,
    그 말은 중국의 만주지역이나 러시아의 연해주에서도, ↓댓글에댓글
  3. 3. 심경용 '04.5.26 9:32 PM 신고
    :-)*미국본토폭격이 가능하단 얘기이니,
    그들이 한국을 포기하긴 쉽지 않겠지요.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