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LG전자 19인치 LCD모니터 L1920P

 


제품 소개


19인치 제품군이 아직 가격은 높다고 하나, 이미 2년전 17인치 LCD모니터의 가격을 돌파한 상태고, LCD 패널의 수율도 매우 좋아 가격 하락폭도 높아질 것이고, 이제 곧 더 많은 사용자들이 19인치로 옮겨 갈 것이다.


오늘 살펴볼 제품은 전자의 20시리즈의 하나인 L1920P이다. 일단 외관 디자인은 L1720P/L2320T와 동일하다. 이미 LG전자는 20시리즈라 불릴만큼 관련 모델들이 성능/판매/소비자 평가등 모든면에서 상당히 우수한 실적을 거둔 상태다. 이제품 역시 상대적으로 가격도 저렴하고(80만원대), S-IPS 패널을 채용한 메리트 있는 제품이라 판단된다.



" LG 19인치 LCD 모니터 L1920P "


앞서 말한바와 같이 디자인적인 특성은 L1720P/L2320T와 동일하다. 이 디자인을 처음으로 선보인 제품은 L2320T였으며 이 제품이 작년초에 IF Design Award와 Reddot Design Award를 모두 수상했다. 필자의 생각엔 아마도 그때부터 대기업들이 디자인 경쟁을 하지 않았나 싶다. 기존의 모니터가 일반적인 틀속의 연구였다면, 이 제품 이후로 그 틀을 벗어나는 연구가 시작되어 상당히 파격적인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는 것이다.


S-IPS패널과 PVA패널의 비교관점에서 제품을 살펴보아도 좋을 것이다. 현재 여러가지 테스트 결과나 파워 유저들의 의견을 보면 S-IPS패널을 채용한 제품의 선호도가 높게 나와있다. 사람의 육안으로 바라보면 S-IPS패널이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것이 사실이다. 허나 투과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명암비도 따라갈 수 없는 GAP이 있어 앞으로도 경쟁은 계속될 것이라 판단된다.









LG Flatron 19인치 LCD모니터 L1920P 제품 간단 Spec


밝기 : 250nit
명암비 : 400:1
최적(최대) 해상도 : 1280 * 1024
픽셀피치 : 0.294mm ⅹ 0.294mm
표현가능색 : RGB당 8bit, 약16.8M의 색
패널제조사 : LG-Philips
시야각 : 좌/우 - 176도, 상/하 - 176도
응답속도 : 25ms
입력 단자 : 15pin D-Sub, DVI
제품 특징 : Power built-in, TCO' 99, USB 내장


알반적일 밝기에 우수한 명암비, S-IPS 패널을 채용한 광시야각 패널이 가장 큰 메리트이고, 아답터 내장과 USB포트가 내장되어 있어 깔끔한 책상위를 원하는 유저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며, 듀얼입력도 가능하여 책상위에서 사용하는데 모자람이 없어 보인다.

LG전자 Flatron L1920P의 외관 및 특징


" Box 외관 "


받침대가 원형이기 때문에 박스의 두께는 꽤 넓은 편이다. 제품의 특징과 사진으로 포장된 전면 컬러 박스이다.



" 케이블 및 주변기기 "


전원 케이블, 15pin D-sub 케이블, DVI-D케이블, USB케이블, 설치 안내서(운영체계 별), 제품 보증서, 사용설명서와 드라이버가 포함된 CD가 첨부되어 있다. 전체적인 악세사리는 L1720P와 동일하고 아답터 내장으로 별도의 아답터는 없다.


  
  


" 제품 전면 "


제품의 외관 역시 이전제품들과 동일하다. 작년초에 출시된 디자인이지만, 무반사 블랙베젤과 고급스런 Silver의 조화는 아직도 충분히 메리트가 있어 보인다. 아답터 내장으로 두께는 약간 두툼하게 보이지만, 두께 역시 L1720P와 거의 같아서 약간 슬림해진 느낌을 받을수 있다.



" 입력 단자부 "



" USB "


후면의 덮개를 제거하면 전원 / DVI-D / 15pin D-sub 입력 단자부가 있다. 단자부 우측 아래에 USB포트가 위치해 있으며, 좌측에 Kenshington-Lock Hole이 있다. 중앙에 Wall-mount Hole이 위치해 있다. USB에는 모니터에 들어가는 전력이 많을경우 전력소모가 큰 제품을 연결하면 작동이 안될 경우가 있다.



" Back-label "


지난달에 생산된 제품이며, TCO'99 인증 마크가 보인다. 현재까지 나온 20시리즈는 모두 LG전자 구미공장에서 생산되었다.



" 받침대 바닥면 "


완벽한 원형의 받침이다. 후면의 공간을 좀 더 차지하는 단점이 있으나, 중앙에 무게중심이 있어 헤드를 튼튼하게 받쳐주며 전체적인 디자인을 마무리하는 장점이 있다.



" OSD 설정버튼 "


L1720P제품보다 약간 더 효율적으로 버튼을 변화시켰고, 초보 사용자들이 많이 쓸만한 메뉴들을 밖으로 꺼내 놓았다. 좌로부터 입력신호 선택/메뉴/Light view겸 OSD 조정/밝기 조정 겸 OSD 조정/화면 자동 보정 겸 선택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진엔 없지만 전원버틍이 우측에 위치해 있다. 메뉴와 밝기조정버튼을 동시에 3초간 누르고 있으면 OSD조정 잠금/해제 상태가 된다.



" Light-view "


Light-view가 채용된 제품이면 모두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메뉴얼 상에는 다음과 같이 활용하도록 나와 있다.


 주간 : 주변이 밝을때
 야간 : 주변이 어두울때
 문자 : 문서 작업시
 동영상 : 비디오, 영화등 동영상 감상시
 사진 : 사진, 그림 작업을 할때
 사용자 직접설정 : 사용자가 직접 조정(osd상에서)한 환경에서 사용







" OSD 설정창 "


대체적으로 설정방식은 매우 간단하다. 작동법도 초보 사용자에 맞게 설계되어 있으며, 화이트 밸런스 자동조정 기능도 채용하고 있다. 감마조정도 7단계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모니터의 본연의 업무인 육안으로 보는 변화쪽에 많은 신경을 썼음을 알 수 있다.

설치 및 테스트

L1920P를 PC에 연결하고 윈도우를 부팅하였다. CD에 첨부된 L1920P드라이버를 설치한 후 테스트를 시작하였다. 디지털 입력을 기준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최적 해상도인 1280*1024@60Hz로 설정하고, 모든 테스트를 공장출하모드(팩토리모드)에서 진행하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때의 밝기는 100%, 명암 70%, R/G/B는 50%, 색온도는 6500K로 설정이 되어있다. 최적화를 위한 별도의 밝기나 명암, 감마등은 조절하지 않았음을 알려둔다.



" White "



스펙상의 휘도는 250nit 이다. 그림에서 보여지듯이 전반적으로 휘도는 스펙값에 비하여 낮게 계측되었다. 실제 사용시엔 전혀 불편함이 없는 밝기이나, 스펙과 계측값의 차이가 큰편이었다. 약간의 좌/우 밝기차가 있지만 육안으로는 느낄 수 없는 수준이었다. 실제 사용시는 밝기와 명암, 감마 그리고 라이트뷰기능을 적절히 조정하여 사용하시길 권장한다.



" Black "



S-IPS패널도 Black휘도가 많이 좋아졌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최대 휘도가 스펙에 비해 낮은탓도 있겠지만 평균 0.33nit 정도의 우수한 값을 보여 주었다. 명암비를 계산하면 555.8 : 1 정도가 되어 Black 휘도가 많은 역할을 했음을 느낄 수 있다. 좌/상단에 약간의 백라이트가 새는 모습이다. 깔끔한 계조가 기대된다.


 해상도별 가독성




1280*1024/60Hz : 깨끗하고 뚜렷한 가독성을 보여준다.
1024*768/60Hz : 가로/세로 모두번지고, 스케일링 좋다.
800*600/60Hz : 번짐 거의없고 약간 뿌옇다.
640*480/60Hz : 스케일링 좋고 CRT급의 가독성을 보여준다.


 색/계조 표현력






전체적인 색 표현력은 양호했지만, 가장 밝은 부분의 단계구분이 쉽지 않았다. 휘도가 낮았음에도 어두운쪽의 표현은 매우 우수했으며, 감마보정을 통해 좀더 우수한 화질을 감상할 수 있을것이다. 사용자들에게 감마보정에 대한 문의가 자주 들어오는데 원래 감마보정은 어두운곳의 재생레벨을 보정할때 쓰이는 것이다.



" 색 좌 표 "


'1931 x,y chromaticity diagram'상에서 다른 몇개의 모델과 비교를 해본 L1920P의 색좌표이다. Blue의 표현이 좋고 삼성의 PVA 패널을 사용한 에이조 L795제품과도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면적을 구해보면 0.114정도가 계산되어 NTSC방송방식 색재현범위 대비 약 72.15%의 상당히 우수한 색 표현을 보여준다.









색 재현성


색 재현성은 RGB색좌표가 구성하는 삼각형의 면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색재현성이 좋다는 말은 CIE색 좌표계에서 더 많은 색을 표현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로 NTSC방송방식의 White, Red, Green, Blue의 색재현범위는 R(0.67, 0.33), G(0.21, 0.71), B(0.14, 0.08) →면적은 0.158이 된다.



" 색 온 도 "


OSD상의 Default값은 6500K 9300K 두가지가 있다. 측정값은 6500K일때 6603K가 나왔으며 △uv는 +0.02로 비교적 플랑크 궤적에 근접해 있다. 9300K일때는 계측값이 8256K가 나왔으며 색온도의 차이는 컸으나 △uv는 0.00으로 플랑크 궤적에 완전히 일치했다. Light-view에따른 색온도도 거의 플랑크 궤적에 근접해, 라이트뷰 항목에 나와있는 메뉴어 얽매이지 말고 자신에 눈에 맞는 색감으로 사용한다면 큰 무리가 없을것이다.









색 온도


흑체를 가열하면 붉은색에서 주황색, 노란색, 백색, 푸른색으로 변하게 된다. 최저온도인 절대온도 0도(-273℃)에서 열을 가하면 복사파가 나오는데 이때의 광원의 성질을 절대온도의 단위로 나타낸 것을 '색온도' 라고 한다. 단위는 켈빈(Kalvin)이기 때문에 'K'로 표시한다. 색도도 오른쪽 아래부분에서부터 갈라져 나온 선이 보이는데 그것이 바로 프랑크 궤적이다. 프랑크 궤적을 쉽게 생각하면 흑체가 온도변화에 따라 그려내는 궤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응답속도 및 잔상






" Smearing pattern" 


스펙상의 응답속도는 25ms이다. S-IPS/PVA 등 현재 출하되는 광시야각 패널은 모두 25ms로 나와있다. 응답속도 계측기는 없지만, 현재까지 나와있는 연구결과로는 S-IPS 패널이 응답속도 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우수한것으로 나와있다. 현재 제조사들이 취하는 White & Black만의 응답속도 측정 자체는 큰 의미가 없다. L1920P는 일반 작업시 불편하거나 눈에 거슬릴 수 있는 잔상은 없다고 말 할수 있겠다. 

테스트 후기 및 총평

 시야각






시야각 역시 현재까지 출하되던 패널들보다는 여러 각도면에서 육안으로 판단하기에 더 밝고 깔끔한 영상을 보여준다. 앞으로도 많은 기술의 발전이 있겠지만, 현재까지는 PVA/MVA방식의 패널에 비해 S-IPS가 사용자들의 육안으로 보는 관점에서는 장점이 더 많다.









시야각

보통 우리가 말하는 시야각의 범위는 명암대비가 10 이상이고, 8계조로 구동했을 때의 계조반전(grey level invension)이 없는 영역을 나타내는데, 각 제조사마다 기준이 조금씩 다르고 설사 규칙대로라 할 지라도 바라보는 시야각 자체가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보여지는 색 자체가 색좌표상에서 전혀 다른 색을 나타내게 된다. 일반적으로 제조사의 스펙을 볼때는 상/하/좌/우 160도 이상이면 사용하는데는 별 지장이 없다고 판단된다.


 평가환경


시스템 : Pentium III 500Mhz , 192M SDRAM, 30G HDD


해상도 : 1280*1024@60Hz


그래픽카드 : ATI RADEON 9200, 7500LE


TEST Program : IBM TEST,32 grayscale패턴, FPDMSU_totalpattern, 노키아테스트, Crtat alignment tool , Check screen


계측기기 : MINOLTA Display Color Analyzer CA-210


※ 본 평가는 TEST용 샘플 한 대에 대한 결과이므로 제품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시스템과 계측기기에 따라서도 결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계측시 환경은 VESA 표준환경에 따릅니다.


 기  타


안정성 : 원형의 받침이 확실하게 무게중심을 지탱하고 있어, 큰 충격을 주더라도 넘어갈 염려는 없다. 헤드의 흔들림은 오래가는 편이다.


베젤견고성 : 베젤의 사이뜸이나, 화면 눌림현상은 거의 찾을 수 없다. 마무리 처리도 전체적으로 양호한 수준이다.


불량화소 : 없다.


 총  평


이제 19인치 LCD 모니터에도 사용자들의 선택 범위가 한단계 넓어졌다. LG전자가 18.1인치 패널을 단종시키면서 19인치를 주력 모델로 삼았기 때문이다. 그동안 대만패널과 삼성패널이 주력이던 시장에 S-IPS가 얼마나 반향을 일으킬지 궁금하다.


오늘 살펴본 L1920P는 풍부한 색 재현과, 한층 만족감이 더해진 광시야각에 우수한 디자인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그간 2%모자랐던 19인치 LCD모니터 시장을 채워주는 제품이다. 또한 7단계 감마보정으로 어두운 부분의 재생 레벨을 올려 이를 보정하여 어두운 부분의 계조를 자세히 표현하는 장점이 있다. 초기 휘도가 스펙에 비해 낮았던 점 외에 큰 단점은 발견되지 않았고, 작년 초에 나온 디자인을 그대로 채용했다는 정도가 단점아닌 단점이다.


현재 여러 제조사에서 준비중인 19인치 TN패널을 채용한 제품들도 상당히 저가형으로 출시될 예정이고 새로운 패널을 채용한 제품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는 여러모로 좋은 기회가 될것으로 보인다.



노랑머리
2004-07-01 13:58:32
4281 번 읽음
  총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박진철 '04.7.1 4:21 PM 신고
    :-)*모니터속의 여자를 아주예전부터 지금 까지 있구만... ↓댓글에댓글
  2. 2. 임성윤 '04.7.1 5:00 PM 신고
    :-)*17인치나 19인치 화면 해상도는 똑같내요 1280*1024로.. 19인치는 좀더 높았으면 좋겠는데... 아까비 ↓댓글에댓글
  3. 3. 배훈 '04.7.1 5:06 PM 신고
    :-)*저 여인은 VESA표준 테스트 패턴에 있어서 그렇습니다. 머리카락에서 세밀한 스케일 표현이 가능하고, 검은색 녹색 붉은색 노란색이 적절히 조화되어 테스트 패먼으로 사용되는 것이지요. ↓댓글에댓글
  4. 4. 배훈 '04.7.1 5:09 PM 신고
    :-)*픽셀 수 자체가 1280 X 1024니 그이상의 해상도는 불가능하죠. 보통 20인치 이상이 되어야 1600 X 1200을 지원합니다. ↓댓글에댓글
  5. 5. 홍승완 '04.8.20 1:44 AM 신고
    :-)*F-engine을 장착한 1720p plus나 1920p plus가 9월에 판매될 예정이라던데요... 오늘 comdex에서 보고 왔음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