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이문열 - "한일합방은 합법적..."

 

한일합방이 합법이면 독립운동은 불법이냐? 수구꼴통들 사고는 다 이런가?

"한일합방은 합법적... 과거사 올인 옳지 않아"
소설가 이문열씨 <문화일보> 인터뷰에서 주장

유성호(shyoo) 기자



과거사 논쟁으로 정치권이 쑥대밭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난 20일자 <문화일보>에는 재미난 과거사 찬반 논쟁이 실렸다. <태백산맥>, <한강> 등 민족 소설을 주로 써온 작가 조정래씨와 <영웅시대>, <변경> 등으로 동시대를 달리 해석하는 작가 이문열씨가 정치권에서 격렬하게 전개되고 있는 과거사 논쟁에 찬반 논객으로 뛰어든 것이다.

- 문화일보 기사로 바로 가기

한국을 대표하는 두 밀리언셀러 작가의 과거사 진상 규명에 대한 찬반 논쟁은 과거사라는 주제보다 보혁을 대변하는 작가라는 측면에서 매우 흥미로운 기사다. 그러나 이번 찬반 논쟁은 주제 의식에 대한 밀도 있는 접근보다 기존의 자기 주장에서 한치도 물러섬이 없는 것이어서 다소 맥빠지는 것이었다.

때문에 독자들의 시선을 단박에 끌지는 못했지만 한편으론 정치권에서 무차별적으로 치고 받는 정쟁보다는 읽는 재미를 쏠쏠히 느끼게 했다. 특히 보수 논객의 대표주자로 자처해 온 이문열씨의 인터뷰는 독자들과 네티즌의 공분을 자아냈다.

"36년간 국제법상 합법적 합방"

이문열씨는 인터뷰에서 "우리는 36년간 국제법상으로 합법적으로 합방됐다. 합방 당시 태어난 아이는 36살이 되도록 식민지 지배를 받고 살았다. 프랑스와 똑같이 비교하는 건 우습다. 시기상으로도 현재 국회가 위원회를 만들어 올인하듯 이 문제에 전부 쏟아 붓는 게 옳으냐"며 친일 과거사 논쟁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나타냈다.

그는 또 "과거사 조사의 원론에는 동의하지만 방법과 내용 기준 시기 등에서 다 문제가 있다고 본다. 친일의 내용이 뭐냐. 기준이 없다. 프랑스와 비교하는데 말도 안된다. 프랑스는 4년8개월이고, 우리는 36년간이다. 단순히 시기상의 문제만이 아니다. 프랑스는 전시점령이다. 괴뢰정부가 있었지만 바깥에 자유 프랑스 정부가 존재했다. 결국 전시부역한 사람의 문제다. 전시부역은 용서하기 어렵다"며 과거사 규명에 대해 이중적인 잣대를 보이고 있다.

과거사 진상 규명이라는 원론에는 동조하고 있지만 우리 나라의 경우 '합법적 합병'이라는 이유로 '과거사' 자체가 없기 때문에 프랑스와는 달리 전시부역 등 청산할 과거가 없다는 것이 그의 논리인 것이다.

한일합방은 합법적인 것인가?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 1910년 한일합방까지 일본이 한반도에 저지른 행적을 보면 합방이라는 결과만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는 과정 상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청일·러일전쟁을 치르면서 일본은 한반도의 지정학적 중요성과 수탈의 목적성을 체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합방의 전 단계를 실현했으며 합병조약과 선언문에도 한반도를 '영구적'으로 일본 제국에 편입시킨다고 천명하는 등 국제법 절차와는 관계없이 일방적인 강제 합방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는 이완용 등 을사오적이 권력과 치부의 목적으로 깊숙이 개입함으로써 이문열씨가 주장하는 '합법적' 틀을 만들어 준 것이다.

이문열씨 주장대로라면 현재의 국사 교과서는 전면 수정되어야 하고 을사오적과 그들의 후손이 소유하고 있는 토지나 재산에 대해서는 아무런 하자가 없어야 한다. 이러한 한일합방의 망령은 박정희 정권 때 부활하지만 정부의 원조금을 받기 위한 저자세 외교로 유야무야 되고 만다.

원조금을 받아내기 위해 1965년 체결된 한일협정에서 일본측은 합법적 합방을 주장했고 우리 측은 강제 합방을 주장, 첨예한 대립각을 세웠다. 하지만 'are already null and void'(이미 무효)라는 한일기본조약의 제2조를 놓고 양국이 편의대로 해석하면서 이 문제를 덮는 데 급급했다.

제2조는 '1910년 8월 22일 및 그 이전에 대한제국과 일본제국간에 체결된 모든 조약 및 협정이 이미 무효임을 확인한다'고 돼 있지만 '이미 무효'의 구체적인 시점이 언제인가를 둘러싸고 한일간 명백한 합의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논란거리로 남아 있다. 그러나 우리 정부의 공식 입장은 합병조약의 체결 자체가 원천적으로 불법에 의해 강요된 것이므로 애초부터 이미 무효였다고 해석하고 있다.

"수구도 모자라 매국으로 가나?"

이문열씨의 한일합방의 합법성 주장은 일본의 주장과 한치의 오차도 없이 동일하다. 1995년 10월 참의원 본회의에서 당시 무라야마 수상은 "일한 병합조약은 당시의 국제관계 등의 역사적 사정 가운데에서 법적으로 유효하게 체결되었다"고 주장했다. 일국의 수상 입에서 나온 말이니 정부의 공식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같은 일본 정부의 입장은 조약 체결 후 40여년이 지난 오늘에도 변함이 없다. 그러나 무라야마 수상은 당시 한국과의 외교적 문제를 피하기 위해 "일한 병합조약은 형식적으로는 합의로서 성립하였지만 당시의 상황에 대해서는 우리로서 깊이 반성해야 할 것이 있으며 조약체결에 있어서는 쌍방의 입장이 평등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한발 물러섰다. 이런 역사적 상황에서 이문열씨의 이번 주장은 일본 정부의 주장을 넘어서는 망언과 다를 바 없고 이는 곧 '매국'이라는 것이 네티즌들의 반응이다.

이같은 이문열씨의 망언 내용을 담은 기사가 인터넷에 소개되면서 네티즌들 사이에 '안티 이문열'이 확산되고 있다. 네티즌들은 기사를 자신의 블로그에 옮겨 싣거나 댓글을 달아서 다른 네티즌들의 동참을 호소하고 있다.

네티즌들은 특히 이문열씨의 망언에 대해 진보 언론을 자처하는 매체들이 함구하고 있다며 싸잡아서 신랄하게 비판했다. 네티즌들은 "이번 망언은 보혁 구도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이문열 개인의 매국 행위로 한정해서 응징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이고 있다.

작가 이문열의 생존 방식

이미 알려진 대로 이문열씨는 부친의 월북으로 어려서부터 연좌제의 고통을 감내하고 살아야했다. 때문에 그에게는 좌경용공과 절대 타협할 수 없는 벽을 쌓아야만 했고 이는 자연스럽게 보수우익으로 편향된 시각을 갖게 했다.

과거사 문제에 대해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은 이같은 그의 부친 행적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한 그에게 과거사 규명에 대한 반대 논리를 정당화시키기 위해선 정치권에서 입에 오르내리는 논리로는 부족했을까 "36년은 국제법상 합법적 합방"이라는 그의 망언은 어쩌면 그의 생존 방식인지도 모르겠다.

2004/08/24 오후 1:36
ⓒ 2004 OhmyNews



김서방
2004-08-27 20:37:54
723 번 읽음
  총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노명석 '04.8.27 10:13 PM 신고
    :-)*도둑이 칼을 들고 와서, 자기 부인과 딸을 위협해서 겁탈을 했어도 도둑은 죄없다. 원해서 한일이다, 라고 말을 할 수 있을까요...
    작가란, 특히 국민정서에 영향을 미칠만한 문호인,이문열 씨 같은 분이 저런 의식이 있다는 것은 쉽게 이해가 안가네요.. 그만 펜을 놓아주셨으면 합니다.... ↓댓글에댓글
  2. 2. 포상 '04.8.28 11:40 AM 신고
    :-)*불쌍한 넘 ↓댓글에댓글
  3. 3. 채규식 '04.8.28 12:52 PM 신고
    :-)*어차피 우리나라엔 진정한 보수는없고 수구만이 존재하는가봅니다.

    보수란 원래 민족주체성을 중요시하는데 어째 우리나라는 진보쪽에서 더 민족을 중요시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우리나라 보수라는 사람들의 대부부분이 진정한 보수일수없는것은 언제나 힘있는 놈을 쫒아 부귀영화를 누리려 하기때문이지요.

    일제시대에는 친일 , 일본놈 가고 미국놈오니 친미. 독재시대엔 독재찬양.

    자기자신만의 안위를 위해 민족을 버리고 ,민중을 버리는 수구들이 가고
    진정한 보수가 자리잡기를 바랍니다. ↓댓글에댓글
  4. 4. 멍멍 '04.8.29 1:11 AM 신고
    :-)*채규식//첫째, 정치 이념으로서의 보수주의하고 민족주체성은 상관없는 겁니다. 대표적 보수정당 중의 하나인 미국 보수당을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미국 민족'이란게 과연 존재하기나 합니까? 둘째, 진보는 항상 상대적 개념입니다. 따라서 민족주의쪽이 진보가 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하겠습니다. ↓댓글에댓글
  5. 5. 채규식 '04.8.29 9:29 AM 신고
    :-)*멍멍님. 제가 말한 민족이란 의미는 국가란 의미입니다.
    우리나라는 단일민족이므로 민족=국각라는 등식이 성립하지만 쌀나라같은 다민족국가는 성립이 안되지요.
    보수주의는 어차피 개인보다는 집단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안습니까.
    진보에서는 원래 세계의 민중은 국가에 상관없이 평등하게 보는 시각이 강합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민족주의적 진보를 비판하는 사랍들도 있답니다. ↓댓글에댓글
  6. 6. 로또1등당첨 '04.8.29 12:46 PM 신고
    :-)*ㅁ ㅣ쳤군....하루빨리 미국놈 이용하여 중국놈에게 강탈 당한 간도 땅을 찾아와야 하는데 한일합방이 합법적이라 하면 일본놈이 중국놈에게 넘겨 강탈당한 조선의 간도 땅도 합법적이 되는 것인데....ㅁ ㅣ 쳤어. ↓댓글에댓글
  7. 7. 멍멍 '04.8.29 12:50 PM 신고
    :-)*채규식//우선, 채규식님의 진보를 곧 사회주의 계열의 이념을 뜻하는 것으로 받아들일 경우 민족주의와 진보에 대한 님의 논지는 타당하다고 보입니다. 둘째, 첫 글의 민족을 국가로 바꾸어서 읽으면 보수주의를 설명하는 수단으로서 어느 정도 공감합니다. 하지만 보수주의의 근본 원리가 개인이냐, 집단이냐에 대한 선택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치이념이 아니라는 것을 아실텐데요. 그렇다면 이렇게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지 않습니까? 예컨데 영국의 보수주의와 미국의 보수주의를 보면 각각 국가를 개인에 우선하는 정도가 심하게 차이 납니다. 왜냐하면 그네들의 정치적 전통이 다르고 따라서 각각의 보수주의자들이 지향하는 정치적 기준점이 다르다는 차이가 있기 때문이 아닐까요? 이 시점에서 한국의 보수주의자들(이런게 과연 있기나 있나 모르지만)이 지향하는 정치적 기준점은 국가주의일까요, 민족주의일까요(단일민족설을 받아들일 경우), 아니면 또 다른 것일까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댓글에댓글
  8. 8. 남성부 '04.8.29 10:44 PM 신고
    :-)*아무튼 이문열이 딴나라당 삐리리선 동아 등등..
    다 친일 XX 삐리리들이다.. ↓댓글에댓글
  9. 9. 알 카에다NO.2 '04.8.30 12:03 PM 신고
    :-)*이문열..이 사람은 구제불능...ㅡㅡ;
    줸장... 이봐 당신! 이라크 갈때 같이 델구 가쇼~!
    (근데 언제 출발할꺼냐?!)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