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원로시인 김춘수씨 타계

 


지난 8월 4일 기도폐색으로 쓰러져 분당 서울대병원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아온 한국시단의 원로 대여(大餘) 김춘수(金春洙) 시인이 29일 오전 9시께 타계했다. 향년 82세.

김 시인은 저녁식사 도중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 호흡곤란 증상과 함께 뇌가손상돼 인공호흡기에 의존해 넉 달째 투병생활을 했다.

경남 통영 출신인 김 시인은 일제시대에 일본으로 유학해 니혼(日本)대학 예술학과 3학년에 재학 중 중퇴했으며, 귀국 후 중ㆍ고교 교사를 거쳐 경북대 교수와 영남대 문리대 학장, 제11대 국회의원, 한국시인협회장을 역임했다.

1981년부터 예술원 회원으로 활동했으며 자유아세아문학상, 경남ㆍ경북문화상,예술원상, 대한민국문학상, 은관문화훈장, 인촌상, 대산문학상, 청마문학상 등을 받았다.

1946년 광복 1주년 기념시화집 `날개'에 `애가'를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고, 1948년 첫 시집 `구름과 장미'에 이어 `꽃의 소묘'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죽음' `처용단장' `쉰한 편의 비가' 등 시선집을 포함해 25권의 시집을 남겼다.

그의 문학세계를 총정리한 `김춘수 전집'(현대문학ㆍ전5권)이 지난 2월 출간됐으며, 이후 발표한 시를 묶은 신작시집 `달개비꽃'과 산문집 1권은 출간을 보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다.

부인 명숙경(明淑瓊) 씨와는 5년 전 사별했으며 유족은 영희(英姬ㆍ59) 영애(英愛ㆍ57) 용목(容睦ㆍ56ㆍ신명건설 이사) 용욱(容旭ㆍ54ㆍ지질연구소연구원) 용삼(容三ㆍ52ㆍ조각가) 등 3남2녀.

빈소는 삼성서울병원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12월 1일 오전 10시. 장례식은 김종길 정진규 조영서 김종해 심언주 류기봉 씨 등 생전에 가깝게 지낸 시인들이 주도해시인장으로 치르기로 했다. 장지는 부인이 묻혀 있는 경기도 광주 공원묘지. ☎ 02-3410-6905(29일), 30일부터는 02-3410-6915.

장량
2004-11-29 15:50:50
3651 번 읽음
  총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mrpardon '04.12.1 6:18 AM 신고
    :-)*음.. 김춘수 시인을 모르는 이들은 아마도 거의 없지 않을까 싶네요.
    저도 고인에 대한 장문의 보고서를 작성한 경험이 있어서 각별한 생각이 드네요. 한 분 두 분 우리 문단에 큰 발자취를 남기신 분들이 이렇게 우리 곁을 떠나시는군요.. 아무쪼록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아울러 시가 사라져가는 시대에서 다시 한 번 빛을 발하기를 바라기도 하구요.. ↓댓글에댓글
  2. 2. 이인향 '04.12.4 9:15 AM 신고
    :-)*명복을....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