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온세통신] 허브에 물려쓰고, 웜걸려서 트래픽유발했다고 요금추징 한다함.

 


집사람이 근무하는 연구소에서 온세통신을 씁니다.

연구소에서는 약 10대정도의 PC가 유동적으로 사용됩니다. 각 연구원들이 오면 자신들의 노트북을 회의할때라던지 그럴때 사용하고, 실제적으로 업무용은 2~3대가 운영됩니다. 뭐 파일공유나 그런건 하질 않죠. 다들 업무용이니 퇴근후엔 쓰지도 않고.

그런데, IP공유기를 사용했다면 별 문제가 되지 않을것을 일반 허브를 사용해서 10개정도의 라인을 깔아둔겁니다. 당연히 각 연구원들은 그 라인에 연결해서 인터넷을 사용했구요. 공유기를 안쓰다 보니 웜바이러스에 타켓이 되었을테고, 그러다보니 과도한 트래픽이 발생해서 직권해지 조항에 속하여 인터넷을 사용중지한다고 합니다.
게다가 올 3월부터 5월까지 추가 사용한 IP에 해당하는 금액을 청구하겠다고 합니다.

집사람에게 위와같은 얘기를 듣고 발끈 하여 담당자에게 전화했죠.
무지 딱딱하대요.. 무슨 범법자 취급을 하고 말이죠. 기가차서...
말인즉슨. 1개의 회선에 10대의 PC를 쓰고있고, 그 PC들이 웜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일대가 4일간 인터넷이 제대로 되지 않았으니 그에 상응하는 댓가를 청구한다고.

우습습니다. 2개월넘게 다이렉트로 사용했건만 온세측에선 그걸 모릅니다.
그걸 왜 모르냐고 하니 다른 통신사도 마찬가지랍니다.. -_- 말이 되나...
그리고, 웜바이러스때문에 4일간 일대가 마비상태라니... 4일동안 그것도 해결을 못한다는 말로 들리네요.

아무튼 이 일로 연구소가 시끄럽다합니다.
연구소가 아동교육과 관계된 일을 해서 컴퓨터 지식은 많지 않답니다. 그래서 더 봉으로 본건 아닌지...

written by (mman)
2005-05-06 15:24:48
1884 번 읽음
  총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어린왕자 '05.5.6 3:39 PM 신고
    허브 사용이 -_- 나쁜선택이었던거 같습니다.
    그리고 온세통신 a/s 서비스 접수 거기 졸라 싹x머리없더군요
    인터넷안된다고 뭐 물어보는데(거의다아는내용) 서비스직원이
    그것도 모르냐는듯 깔보는듯한 말투로 대꾸하더군요 ↓댓글에댓글
  2. 2. 신의손 '05.5.6 7:55 PM 신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본인도 몇년전에 온세통신을 쓰다가 주거지역 일대가 인터넷이 불통되어 A/S를 접수하였으나 불성실하게 나와 결국 정통부로 강력히 항의하여 해결을 보았습니다. 관련 지식이 부족하시면 기본적인 사항만으로도 논리정연하게 강력히 민원을 넣으십시오.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무시한다는 것과 말도 안되는 논리로 사람을 잡는 것 아니냐는 것입니다. 그부분을 강력히 부각시키시켜서 항의하면 바로 해결됩니다. 정통부에 민원 넣으면 업체의 태도는 180도 달라지고 기술적인 한계의 문제가 아니라면 해결 속도도 아주 빠릅니다. 공유해서 사용한 것도 어떻게 말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니 참고하여 좋은 결과 도출하길 바랍니다. ↓댓글에댓글
  3. 3. oa119 '05.5.7 3:56 AM 신고
    허브의사용목적......
    허브의 사용목적은 근거리 통신망의 구축과 개인pc간의 자료공유에 있습니다. 이 목적에 맞게 사용하고자 구축하신거 맞죠?? 인터넷공유를 위해서 허브를 사용한게 아닌것같니다. 인터넷공유는 윈도우의 기본지원사항이구요. 그냥 pc한대(아님 허브)에 꽂으니까 여러대가 인터넷이 자동으로 되는 거였죠?? 전화기 쁘랏지해서 여러대 쓴다고 전화국에서 뭐라던가요?? / 정확하게 상황을 파악하신다면 문제 될께 없을것 같네요......(^.-)!! ↓댓글에댓글
  4. 4. hbpak '05.5.7 2:12 PM 신고
    주변 사람들 피해 입은 것은..
    아마 그렇셨겠죠?
    연구소라고 하신 곳에서는 인터넷 안된다고 온세에다가 엄청 야단을 했을 것이고..
    주변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람들도 인터넷이 안된다고 온세에다가 엄청 랄랄 했을 것이고요..
    같이 사용하는 건데 PC웜 정도는 스스로 잡는 것이 맞지 않나요?
    아마 몰라도 온세 직원들 웜 걸린 PC 찾아내느라 퇴근 못하고 생쑈 했을 겁니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도 엄청 열받았을꺼구요.
    피해 입힌 당사자가 안하무인이 되면 안되는 것이 맞지 않나요?
    주변분들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고 잘 쓰고 있는데 해지한다고 한다면 충분히 공감하겠는데.. 흠.. ↓댓글에댓글
    • 1. hbpak '05.5.7 2:14 PM 신고
      아.. 그리고..
      연구소라면 기업체인데.. 초고속 인터넷 가입해야 하는 것보다는 전용선이 맞지 않나요?
    • 2. 권영칠 '05.5.9 12:12 AM 신고
      연구소라고해서...
      다 전용선을 쓰진 않습니다. 조그만 연구소도 연구소지요.
      IT쪽이라면 이런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없도록 알아서 잘 조치했겠지만, 여자들로만 구성된 인문계 연구소에서는 컴퓨터란 참 어려운 도구랍니다.
  5. 5. 망치~ '05.5.7 5:52 PM 신고
    직권해지 사항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웜바이러스에 의해 주변 지역이 인터넷이 마비가 되었다는 건 말이 안됩니다
    그 정도 트래픽은 견딜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려대의 PC에 웜이 걸려 허브를 통해 단 하나의 케이블모뎀으로 유입시 그 트래픽을 견디는 케이블모뎀은 현재 우리나라에 없습니다 그리고 어차피 온세통신은 CMTS(모뎀관리서버)를 관리하지 않고 파워콤에서 일괄 관리하기 때문에 잘 알지도 못할 겁니다 IP하나만 약정하여 요금을 내셨으면 한대만 되는 것이 정상입니다
    허브를 사용하여 여려대를 사용하셨다는건 말이 안됩니다 잘못아신듯~~~
    돌아가면서 사용은 가능합니다 한대씩 그건 약관위배가 아닙니다
    파워콤에서 모뎀에 IP하나만 할당해주기 때문에 10대의 IP추가 값을 부과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공유기가 아닌 허브로 10대가 절대 인터넷이 될수 없습니다
    뭔가 잘못 아신듯 합니다 정확하게 다시 한번 글을 올려 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참고로 타통신사는 웜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과트래픽이 올라오면
    찾아가는 서비스를 통해 고객님 댁내에 방문하여 PC A/S안내 및 치료를 해주지 직권해지를 하지 않습니다 ↓댓글에댓글
  6. 6. 망치~ '05.5.7 5:55 PM 신고
    병철님 제가 바빠서 다시 못볼수도 있으니
    이 분 도와주세요 ↓댓글에댓글
  7. 7. 음냐.. '05.5.8 6:00 AM 신고
    온세통신에게 마이크로소프트를 고소하라고 하세요 ㅡ_- 윈도우 네트워크 기본기능에 버젓이 공유옵션을 이름만 애매하게 바꿔서 95 이후 윈도우에 기본 포함시켜놨습니다 ㅡ_- 그리 따진다면 온세통신은 마이크로소프트를 상대로 소송을 내야 할 겝니다.
    물론 그쪽에서 리눅스를 쓴다면 리누스 토발즈를 고소하라 해야겠지요 ㅡ_- 요즘 리눅스중에 포트 리플 안되는 리눅스가 어디 있습니까? 하다못해 한리눅스 까지 포함되있는판에.. 운영체제 사서 포함된 기능조차 맘데로 못씁니까 ㅡ_- GNU를 법의 심판대에 올리라고해요. 그 사람들 잘도 만듭디다. 불법이다 약관 위반이다 해도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기본적인 교육조차 시키지 않고 무방비로 통신회선을 개방해주는 업자의 책임이 가장 큽니다. ↓댓글에댓글
  8. 8. 음냐.. '05.5.8 6:03 AM 신고
    파워컴라인이라.. 그쪽이라면 더 의문이 가네요; 저희는 아예 원하는대로 아이피를 막퍼주던데 ㅡ_-.. ↓댓글에댓글
  9. 9. mrk '05.5.8 6:13 PM 신고
    이해가 잘 안 가는 내용 입니다,
    케이블 모뎀에 유동 ip 하나만 통과 하도록 세팅 해 가지고 나옵니다.
    개중에 물론 한 2~3대 정도 댄 것도 잇습니다.
    10대면 허브 사용해서 사용 햇다는게 이해가 잘 안 대는 사항이고
    케이블 모뎀이 각 각 랜카드 맥주소를 기억 합니다.
    허브를 사용 햇다고 해도 한대 컴에 접속 햇다면 다른 컴은
    케이블 모뎀 리셋 하지 않으면 ip 할당이 안 대는 것으로 알고 잇습니다.
    결론적으로 케이블 모뎀 자체에 ip할당이 많이 댄거져 이건 통신사 측
    문제 입니다.
    케이블 모뎀 특성상 해지 한 다음에도 맥 삭제 하지 않으면
    몇년 동안 이라도 인터넷 사용이 가능 합니다.
    이건 통신사가 관리 못 한거지 사용자 잘 못은 아닙니다.
    만약 정말 허브 사용으로 10대 이용 햇다면 그건 통신사 잘 못에 가깝다고
    생각 합니다.
    아시는 분들 아시지만 모뎀 한대당 ip할당은 cmts에서 세팅 하는데
    그걸 제대로 하지 않앗을 겁니다.
    그러고 본인도 모르게 허브가 아니라 ip공유기를 사용 햇다면
    아마 직권 해지는 가능 하지만 그걸로 사용료 더 내라는 건
    좀 힘들 듯 합니다.
    일단 지금 사용 하던게 ip공유기 인지 허브인지 정확히
    아시는게 좋은 듯.
    어떤 경우라도 통신사에 유리한건 별루 없습니다.
    일단 온세통신 홈페이지 방문 하셔서
    약관 내용을 먼저 보세요.소비자 보호원에 문의도 해 보세요.
    단, 상담시 정확한 정보 제공을 하셔야 합니다.
    ip공유기 인지 허브인지 ↓댓글에댓글
  10. 10. mrk '05.5.8 6:18 PM 신고
    그러고 무슨 근거로 연구소 컴에서 트래픽을 유발 햇는지
    자료 제출 해 달라고 하세요.
    어느 컴에서 어느 정도 트래픽이 발생하여
    어느 정도 피해를 입혀는지 정확한 자료를 보내 달라고 하세요.
    통화 내용을 녹음 하고 잇다고도 말하세요.
    언제 부터 파워콤이 그 정도로 일 잘 햇는지 모르는데
    제 생각 인데 온세통신 기사가 방문햇다가 여러대
    연결해 쓰는것 보고 한 소리 한거 아닌지 궁금 하네요.
    웸 날띠어서 그 정도면 어찌 보면 해당 모뎀 맥 삭제 만으로
    간단히 해결 댈 문제 인데.아~리 ~ 송하네요.. ↓댓글에댓글
  11. 11. 권영칠 '05.5.9 12:10 AM 신고
    고맙습니다.
    글 잘 읽어보았습니다 ^^;
    덕분에 잘 해결되었습니다. 뭐 제가 해결한건 아니고, 연구소 대표 교수님이 오셔서 대화로 잘~ 해결했다고 합니다.
    시끄러워지는건 싫다고 해서 저도 더이상 얘기하지 않았습니다만,
    집사람이 극구말려서 더이상의 행동은 취하기가 뭣하지만, 그 팀장이라는 사람의 언어사용에 대해서는 아직도 기분이 석연치 않군요.
    인터넷서비스.... 아직 갈길이 먼가봅니다. ↓댓글에댓글
  12. 12. 권영칠 '05.5.9 12:14 AM 신고
    생각같아서는
    좀더 세게^^; 나가고 싶은데, 허브를 설치해주신분이 교수님 지인이시라 곤란하다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그분이 곤란해지실거 같으니^^;
    온세통신 좋게봤는데, 문제해결방법의 선택이 정말 마음에 들지 않네요.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