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SE 이후로는 Windows 자체에서 공유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Windows 자체로 공유를 원하시는 분들을 위한 자료입니다. 제가 그냥 적었던 글이라서 존칭은 생략됩니다. 이해해 주시길... ^^
1. 인터넷 연결 공유시 기본적인 셋팅
인터넷 연결 공유란 하나의 통신라인을 이용하여 여러대의 컴퓨터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하게 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는 Wingate(//wingate.deerfield.com),
Sygate(//www.sygate.net)등이 대표적이나, 이들은 모두 상용프로그램이며, Windows 98SE 버전부터는 이러한 인터넷 연결 공유 기술을 자체 내장하고 있어, OS만 사용한다면 별도의 추가 부담없이 인터넷 연결 공유 설정이 가능하다. (Windows 98SE 버전 이후 출시작은 기본으로 인터넷 연결 공유 설정 가능! Windows 2000 모든 버전, Windows ME, Windows Whisler & 리눅스(별도 관리 필요)). Windows 98SE 이후의 버전에 인터넷 연결 공유 기술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저마나 설정의 약간의 차이가 있다. 때문에 인터넷 연결 공유는 어떤 OS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약간의 설정법을 달리한다.
[하드웨어 설정법] 인터넷 연결 공유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장비가 필요
1) 2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경우 : 서버 컴퓨터 1대, 클라이언트 컴퓨터 1대, 랜카드 3개 (2개는 서버 컴퓨터에 장착, 나머지 1대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장착-랜카드는 컴퓨터의 대수보다 1개 많게 필요), 랜케이블(크로스 케이블)
[설정] 서버의 장착된 랜카드 A, B중 외부망에 연결되는 랜카드(A라 가정)를 고속 모뎀으로 연결하고(일반 케이블 사용), 다른 랜카드 B와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장착된 랜카드 C를 연결한다(크로스 케이블 사용)
2) 2대 이상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경우 : 서버 컴퓨터 1대, 클라이언트 컴퓨터 2대 이상, 랜카드 4개 이상(서버에 2개의 랜카드 장착, 나머지 컴퓨터에 1대씩), 허브, 랜케이블(일반 랜케이블)
[설정] 서버에 장착된 랜카드 A, B중 외부망에 연결되는 랜카드(A라 가정)를 고속 모뎀으로 연결하고(일반 케이블 사용), 다른 랜카드 B를 허브쪽에 연결한다(일반 케이블 사용). 나머지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경우는 일반 케이블을 사용 허브와 클라이언트에 장착된 랜카드를 연결해주면 된다.
2. Windows 98SE & Windows ME (두개의 버전은 동일한 설정법)
Windows 98SE 버전의 경우 인터넷 연결 공유 기능이 자동설치 되지 않으나, Windows ME에서는 자동으로 설치가 된다. 그럼 Windows 98SE 사용자를 위해 인터넷 연결 공유 기능의 추가 방법을 알아보자.
[1] Windows 98SE에서 인터넷 연결 공유 기능 설치 방법
1) 제어판 > 프로그램추가삭제 > 인터넷 도구 > 자세히 > 인터넷 연결 공유 > 확인
(Windows 98SE CD-Rom 필요)
2) 인터넷 연결 공유 마법사 설정
① 인터넷에 연결될 장치를 선택 (전화접속연결와 고속연결 중 선택)
② 인터넷에 연결되는 어댑터를 선택 (전화접속어댑터, 고속모뎀, 랜카드 중 선택)
③ 클라이언트에서 설정할 디스크를 만듬 (디스크가 꼭 필요한 사항은 아님!)
④ 시스템 재시작 후 인터넷 연결 공유 기능 설치 완료
[2] Windows 98SE & Windows ME 인터넷 연결 공유 설정 변경 방법
1) [1]의 방법으로 인터넷 연결 공유 기능 설치 후에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사용한다.
(제어판 > 인터넷 옵션에서 변경 가능!)
2) 인터넷 등록 정보 창이 활성화되면 ‘연결’ 탭을 누른 후 아래 부분의 LAN 설정의 ‘공유’ 버튼을 누른 후 변경
[3] Windows 98SE & Windows ME IP 설정 방법
1) Wingate나 Sygate는 IP 서버나 클라이언트를 일일이 설정을 해 주어야 하나, Windows 98SE와 Windows ME에서는 네트워크 등록 정보에 인터넷 연결 공유 항목과 프로토콜 가상 IP 주소를 인터넷 연결 공유 마법사가 설정해 준다. 또한 클라이언트에서도 IP, Gateway, DNS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인터넷에 연결 고유되는 클라이어트에서는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al)이 IP 주소를 자동으로 설정해 준다. 단, DNS 주소는 수동으로 설정. (DNS 사용안함을 택했을 경우도 통신이 가능하면 굳이 DNS 주소를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는 없음)
※ 중요 : 설정을 마치면 제어판 > 시스템에서 장치 관리자 > 네트워크어댑터란에 인터넷 연결 공유 어댑터가 정상적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잘못 되어있다면 인터넷 연결 공유 어댑터를 지우고 다시 설정한다.
정상적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IP, Gateway 등이 자동으로 설정이 안되어 있다면, 위의 방법을 반복함으로써 해결이 가능하며, 지속적으로 자동 설정이 되지 않을 경우 아래의 방법으로 수동 설정을 한다.
[서버 컴퓨터 설정]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랜카드가 2개 장착되어 있음! (A, B)
1) 제어판 > 네트워크에서 홈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된 랜카드(B라고 가정)의 TCP/IP (홈)
등록정보를 클릭 후 ‘할당된 IP 주소 사용’을 선택한 후 IP(192.168.0.1), 서브네트 마스크
(255.255.255.0) 입력
[클라이언트 컴퓨터 설정] 랜카드 1개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음! (C)
1) 제어판 > 네트워크에서 기본으로 장착된 랜카드(C라고 가정)의 TCP/IP 등록정보를 클
릭 후 ‘할당된 IP 주소 사용’을 선택한 후 IP(192.168.0.2), 서브네트 마스크(255.255.255.0)
입력. 게이트웨이는 192.168.0.1(서버의 홈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된 랜카드 IP 주소)로 입
력. (클라이언트 IP 주소 아래 참조)
※ 1번 클라이언트 IP : 192.168.0.2, 2번 클아이언트 IP : 192.168.0.3의 식으로 허브가 가
능한 여러대 설정 가능 (서브네크 마스크와 게이트웨이는 동일하게 설정)
3. Windows 2000 Professional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적인 설정이 완벽하다는 전제하에 소개하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한 Windows 98SE와 Windows ME의 설정도 간단했지만, Windows 2000 Professional의 경우는 더 간단하다. Windows 2000의 경우는 Professional과 Server, Advanced Server의 설정법이 서로 다르니 혼돈이 없도록 한다. (아래의 설명은 서버쪽 컴퓨터에 대한 설명)
1) 바탕화면의 네트워크의 등록정보에서 인터넷에 연결된 랜카드의 등록정보를 확인
2) 등록정보 창에서 ‘공유’라는 탭이 있다. 이 연결에 인터넷 연결 공유 사용에 체크
3) 아래쪽에 ‘설정’ 버튼을 클릭을 하면 제공할 서비스를 선택하는 창이 나오는데, 이때 모
든 서비스를 클릭 (필요한 것만 클릭해도 상관 없음!)
4) 3)까지의 과정을 마치면 개인 네트워크상의 서버 컴퓨터 이름 또는 주소를 입력하는 창
이 뜨게 되는데, 이때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이름을 적음
5) 위의 과정을 다 마치게 되면 메시지 창이 하나 뜨게 되는데, 이는 그냥 한번 읽어보고,
예를 눌러 설정을 마침
위와 같이 서버쪽에서 설정하면 Windows 2000 Professional 에서는 인터넷 공유가 가능하다. (Windows 2000 Advanced Server의 경우도 비슷한 맥락을 가짐 - 클라이언트에 대한 설정은 Windows 98SE와 Windows ME와 동일))
※ 중요 : 서버쪽 컴퓨터에는 랜카드가 2개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중 어떠한 것은 외부망과 연결하며, 홈 네트워크에는 어떠한 것을 연결할 것인가 하는 점은 중요하다. 랜카드의 특성상 A를 외부로 연결하는 경우 잘 안되던 연결이 B를 외부와 연결하면 잘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때문에 설정을 제대로 했음에도 인터넷 연결 공유가 되지 않는다면 외부망으로 연결하는 랜카드를 바꾸어보는 것도 필요하다. (모든 인터넷 연결 공유에 해당) 먼저 2개의 랜카드가 인식되어 있는 상태에서 DHCP상으로 연결이 되면 둘 중 하나의 랜카드만이 Gateway 의 값을 받아 통신이 가능한데... 이때 홈랜 구성 설정에서 Gateway의 값을 받은 랜카드를 홈랜에 연결을 하게 되면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도 생긴다. 때문에 2개의 랜카드를 장착한 경우 홈랜을 구성하기에 앞서, winipcfg(Windows 98SE, Windows ME), ipconfig (Windows 2000)를 이용해서 Gateway의 값은 받은 랜카드를 인터넷 연결에 사용하는 편이 좋다. (이러한 사소한 실수로 IP 공유를 못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명심)
4. Windows 2000 Server & Windows 2000 Advanced Server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Windows 2000 Server와 Windows 2000 Advanced Server의 경우는 Windows 2000 Professional과 설정법이 많이 다르기는 하지만, 기본 맥락은 같다. 이번 설명도 마찬가지로 하드웨어 설정이 완벽히 되었다는 전제 하에 소개하도록 한다.
1) 바탕화면에서 네트워크를 더블 클릭 (새 연결 만들기, 로컬 영역 연결, 로컬 영역 연결 2
이렇게 3개의 아이콘이 보이는데, 하나는 고속 모뎀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고, 다
른 하나는 홈 네트워크 구성에 사용하는 것임)
2) 두 개의 로컬 영역 중에서 내부망에 사용될 하나를 선택한다(앞서 말한데로 어떠한 랜카
드를 선택하는 가도 대단히 중요하다. 특성상 구성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 로컬
영역 연결 2의 등록정보를 열어 TCP/IP 등록정보를 다음과 같이 수정
다음 IP 주소 사용 체크 :
IP 주소 : 192.168.0.1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192.168.0.1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체크
기본 설정 DNS 서버 : 192.168.0.1
※ 참고 : 위의 설정에서 주의할 점은 Windows 98과 Windows ME에서는 서버쪽에는 Gateway와 DNS 설정을 해줄 필요가 없었으나, Windows 2000 Server와 Windows 2000 Advanced Server의 경우는 꼭 써주어야 한다.
3) 재부팅을 하고 네트워크를 더블 클릭한 후 내 네트워크 환경을 열어보면 로컬 공유 성공
4) 이제는 인터넷 연결 공유를 해야 하는데, 여기서부터는 Windows 2000 Professional과
같으므로 Windows 2000 Professional을 참고 (클라이언트 컴퓨터 설정의 경우 Windows
98SE와 Windows ME의 설정법 참조)
5. 리눅스 (인터넷 연결 공유는 흔히 IP Masquerade라고 불림)
리눅스에서의 인터넷 연결 공유는 Windows 계열에서의 설정보다는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리눅스를 서버로 설정하고 인터넷을 공유하는 기능은 ipchains 명령을 통해 설정이 가능한 IP Masquerade 기법을 응용하며, 리눅스를 클라이언트로 사용하는 경우는 Windows 계열의 클라이언트 설정과 비슷하다. 때문에 클라이언트로 사용하는 경우의 설명은 생략하고, 서버로 사용하는 경우 인터넷 연결 공유 설정법에 대해 설명한다.
[1] 리눅스에서의 인터넷 연결 공유의 방법
1) 먼저 리눅스가 설치되어 있는 서버 컴퓨터의 쉘 상태에서 netcfg를 친 후 설정창을 실행
2) 설정 창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
Hosts > Add > ip : 192.168.0.1
name : 자신이 적고 싶은 것
nickname : 자신이 적고 싶은 것
3) Interfaces로 이동을 한 후에 아래와 같이 설정
eth1 (ip : 192.168.0.1, proto : none, atboot : yes, active : active)
4) Routing : Network Packet Forwarding (IPv4)를 체크
5) /etc/rc.d/rc.local 파일을 열어 맨 아래 부분에(fi 다음 부분) 아래 부분 첨가
echo “ip_masq 192.168.0.1”
echo “1” > /proc/sys/net/ipv4/ip_forward
/sbin/depmod -a
/sbin/modprobe ip_masq_ftp
/sbin/modprobe ip_masq_raudio
/sbin/modprobe ip_masq_irc
(패치를 적용했다면 ip_masq_cuseeme, ip_masq_vdolive 등도 포함되어야 함)
/sbin/ipfwadm -F -p deny
/sbin/ipfwadm -F -a m -S 192.168.0.1/24 -D 0.0.0.0/0
6) 클라이언트쪽의 설정은 Windows 계열과 동일하게 설정
[위의 방법과는 다르게 아래의 한줄을 /etc/rc.d/rc/local에 추가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참고!]
ipchains -A forward -s 192.168.0.1/24 -d 0/0 -j MASQ
(위의 IP 주소로 설정이 가능한지는 아직 확인이 되지 않았음! 비록 본인의 컴퓨터에서는 잘 돌아간다고는 하지만...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될 IP Masquerade 부분을 참고!)
물론 인터넷 연결 공유에서 OS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서버가 리눅스를 실행중이고, 클라이언트가 윈도우를 실행중이더라도 설정이 가능하며, 그 반대 경우도 물론 가능하다. 동일 OS에서 가능하다는 것은 언급하는 것 자체가 입만 아프다... ^_^
※ 인터넷 연결 공유에 도움이 될만한 참고 자료 (kldp 자료 발췌)
[1] IP MASQUERADE란 무엇인가?
IP Masquerade는 리눅스 안의 개발되는 네트웍 기능중의 하나이다. 만일 한 리눅스 호스트가 가능한 IP Masquerade를 가지고 인터넷에 연결되었다면 그 호스트에 이더넷이나 모델으로 연결된 다른 컴퓨터들도 공식적으로 할당된 IP주소를 가지지 않더라도 인터넷에 연결이 가능하다.
※ 주의 : 컴퓨터 속에 중요한 데이터가 있다면 IP Masquerade를 사용하기 전에 주의 깊게 생각해야 한다. IP Masquesrade는 인터넷으로 들어가는 당신을 위한 출구가 될 수도 있지만, 역으로 지구상의 다른 곳의 어떤 사람이 당신의 네트웍으로 들어오는 입구가 될 수도 있다.
[2] 내부 IP 주소의 할당
인터넷 할당 주소 당국(IANA)가 설정한 사설 네트웍을 위한 주소 공간은 아래와 같다.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요즘은 BOLD체를 주로 사용하는 편이다. 하지만, C 클래스 네트워크를 사용한다면 반드시 192.168.1.1, 192.168.1.2, ..., 192.168.1.255와 같이 번호를 지정해야 한다.
김기민: xp 랑 98se 랑은 어떻게 공유할까요? [01/19-12:23]
양두석: xp는 2000과 비슷한 셋팅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가 한때 그렇게 공유를 했었습니다. xp도 2000과 비슷하게 셋팅을 잡으시면 사용 가능합니다. [01/19-13:59]
방인호: 저같은 경우 내장형 모뎀이 설치된(한국통신) 서버에 허블를 연결하여 2대의 클라이언트에 공유를 했습니다. [04/10-08:17]
방인호: 그런데 위에 설명에서는 서버에서 허브로 연결할때 다이렉트(일반)로 연결하면 된다고 했는데 저는 크로스로 연결해서 성공했습니다. 제 생각에는 해보진 않았지만 다이렉트는 않될 것 같은데...??? [04/10-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