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프랑스 대입자격시험 문제

 
프랑스 고졸 자격 시험 문제 전문

1장 인간(Human)
질문1 - 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는 행복이 가능한가?
질문2 - 꿈은 필요한가?
질문3 - 과거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우리는 자유로운 존재가 될 수 있을까?
질문4 - 지금의 나는 내 과거의 총합인가?
질문5 - 관용의 정신에도 비관용이 내포되어 있는가?
질문6 - 사랑이 의무일 수 있는가?
질문7 - 행복은 단지 한순간 스치고 지나가는 것인가?
질문8 - 타인을 존경한다는 것은 일체의 열정을 배제한다는 것을 뜻하는가?
질문9 - 죽음은 인간에게서 일체의 존재 의미를 박탈해 가는가?
질문10 - 우리는 자기 자신에게 거짓말을 할 수 있나?
질문11 - 행복은 인간에게 도달 불가능한 것인가?

2장 인문학(Humanities)
질문1 - 우리가 하고 있는 말에는 우리 자신이 의식하고 있는 것만이 담기는가?
질문2 - 철학이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
질문3 - 철학자는 과학자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가?
질문4 - 역사가는 객관적일 수 있는가?
질문5 - 역사학자가 기억력만 의존해도 좋은가?
질문6 - 역사는 인간에게 오는 것인가 아니면 인간에 의해 오는 것인가?
질문7 - 감각을 믿을 수 있는가?
질문8 - 재화만이 교환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
질문9 - 인문학은 인간을 예견 가능한 존재로 파악하는가?
질문10 - 인류가 한 가지 언어만을 말하는 것은 바람직한가?

3장 예술(Arts)
질문1 - 예술 작품은 반드시 아름다운가?
질문2 - 예술없이 아름다움에 대하여 말할 수 있는가?
질문3 - 예술 작품의 복제는 그 작품에 해를 끼치는 일인가?
질문4 - 예술 작품은 모두 인간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는가?
질문5 - 예술이 인간과 현실과의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가?

4장 과학(Sciences)
질문1 - 생물학적 지식은 일체의 유기체를 기계로만 여기기를 요구하는가?
질문2 - 우리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만을 진리로 받아들여야 하는가?
질문3 - 계산, 그것은 사유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인가?
질문4 - 무의식에 대한 과학은 가능한가?
질문5 - 오류는 진리를 발견하는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질문6 - 이론의 가치는 실제적 효용가치에 따라 가늠되는가?
질문7 - 과학의 용도는 어디에 있는가?
질문8 - 현실이 수학적 법칙에 따른다고 할 수 있는가?
질문9 - 기술이 인간조건을 바꿀 수 있는가?
질문10 - 지식은 종교적인 것이든 비종교적인 것이든 일체의 믿음을 배제하는가?
질문11 - 자연을 모델로 삼는 것이 어느 분야에서 가장 적합한가?

5장 정치와 권리(Politics&Rights)
질문1 - 권리를 수호한다는 것과 이익을 옹호한다는 것은 같은 뜻인가?
질문2 - 자유는 주어지는 것인가 아니면 싸워서 획득해야 하는 것인가?
질문3 - 법에 복종하지 않는 행동도 이성적인 행동일 수 있을까?
질문4 - 여론이 정권을 이끌 수 있는가?
질문5 - 의무를 다하지 않고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가?
질문6 - 노동은 욕구 충족의 수단에 불구한가?
질문7 - 정의의 요구와 자유의 요구는 구별될 수 있는가?
질문8 - 노동은 도덕적 가치를 지니는가?
질문9 - 자유를 두려워해야 하나?
질문10 - 유토피아는 한낱 꿈일 뿐인가?
질문11 - 국가는 개인의 적인가?
질문12 - 어디에서 정신의 자유를 알아차릴 수 있나?
질문13 - 권력 남용은 불가피한 것인가?
질문14 - 다름은 곧 불평등을 의미하는 것인가?
질문15 - 노동은 종속적일 따름인가?
질문16 - 평화와 불의가 함께 갈 수 있나?

6장 윤리(Ethics)
질문1 - 도덕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은 반드시 자신의 욕망과 싸운다는 것을 뜻하는가?
질문2 - 우리는 좋다고 하는 것만을 바라는가?
질문3 - 의무를 다하는 것만으로 충분한가?
질문4 - 무엇을 비인간적인 행위라고 하는가?
질문5 - 일시적이고 순간적인 것에도 가치가 존재하는가?
질문6 - 무엇이 내 안에서 어떤 행동을 해야 할지를 말해 주는가?
질문7 - 우리는 정념을 찬양할 수 있는가?
질문8 - 종교적 믿음을 가지는 것은 이성을 포기한다는 것을 뜻하는가?
질문9 - 정열은 우리의 의무 이행을 방해하는가?
질문10 - 진실에 저항할 수 있는가?
질문11 - 진리가 우리 마음을 불편하게 할 때 진리 대신 우리에게 위안을 주는 환상을 좇아도 좋은가?



******


[인터넷팀 3급 정보] ○…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는 행복이 가능한가? 사랑이 의무일 수 있는가? 예술작품은 반드시 아름다운가? 진실에 저항할 수 있는가?

프랑스의 대학입학을 위한 자격시험 ‘바깔로레아(Baccalaureat)’의 시험문제가 인터넷에서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다. 총 6장 64질문으로 돼있는 이 문서는 백화점식 단편 지식을 강요하는 우리 대입 문제와 대비돼 네티즌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인터넷에서 나도는 문서는 ▷인간(Human) ▷인문학(Humanities) ▷예술(Arts) ▷과학(Sciences) ▷정치와 권리(Politics&Rights) ▷윤리(Ethics) 등 6장으로 구성돼 있다. 각각의 항목은 5개∼16개의 질문을 담고 있으며 올바른 교육에 필요한 기본적인 인성을 알아보기 위한 문제들이 가득하다. 대학에서 전문지식을 습득하기 전에 왜 내가 공부를 해야하는지 진지하게 되묻고 있다.

문제를 본 한국 네티즌들은 “부럽다”는 반응들이다.
“공부라는 단어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네요.”
“대학공부를 위한 인성평가에 꼭 필요한 시험이겠습니다.”

그동안 경험해보지 못한 문제들이어서 “어렵다”는 의견도 많다.
“역시 한국의 교육은 단편지식만을 강요했군요. 전교 10등에 든다는 저도 도대체 단 한 문제도 쉽게 대답할 수 없으니…”
“인간을 묻는 1장 문제만 2∼3일 고민했어요. 머리 회전에는 그만이에요.”

학생들은 문서의 질문에 대한 진지한 토론을 펼치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 문서를 통해 한국의 대입제도를 성토하는 모습까지 보이고 있다.

바깔로레아는 일종의 대학입학 자격 여부만 결정하는 시험으로 순위를 매기지는 않는다. 시험을 통과한 프랑스 학생은 본인이 원하는 대학과 학과를 선정할 수 있다. 바깔로레아 문제는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전세계 청소년들에게 인성을 되돌아보게 하는 화두로 화제를 모아왔다.

쿠키뉴스 김상기 기자 kitting@kmib.co.kr
[갓 구워낸 바삭바삭한 뉴스, The Kukmin Daily Internet News]

별샘달샘
2005-05-31 00:01:36
2411 번 읽음
  총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파란 '05.5.31 10:03 AM 신고
    정답은 없는 문제이지만, 오답은 있는 문제이군요
    그렇다면, 우리나라도 도입합시다. 어떻게 안됩니까?
    철학책 좀 읽어서 자신있는데,....이미 대학생이 되었으니...난 해당안되네.
    그래도 우리 학생들에게 한번씩 생각할 수 있게 하는 시험이 될듯 합니다. ↓댓글에댓글
  2. 2. 째깐앙마 '05.5.31 11:24 AM 신고
    격이 틀리군요
    공식이나 외워대는 우리나라 교육하곤 완전히 천차만별이군요 ↓댓글에댓글
  3. 3. @익명@ '05.5.31 7:12 PM 신고
    정말
    한국에서 이런 교육이 절실히 필요한 때.

    교육부과 학교는 애들 무뇌충 만들어서 국가경쟁력을 스스로 떨어뜨리게 만들고 있는데. ↓댓글에댓글
  4. 4. yeobonaya '05.5.31 7:13 PM 신고
    객관식 문제가
    더 객관적이다는 것이 제 생각. 주관식은 점수를 매기는 자의 주관에 너무 좌우되는 경향. 객관식은 많은 분야를 측정할 수 있지만 주관식은 골고루 측정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죠. 그 문제에 대비한 사람은 좋은 점수를 받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은 완전히 죽을 쑬 수도. 예상 못한 문제에...객관식 문제가 쉽다고 생각하는 것은 큰 오산. 정답을 하나가 아닌 여러개를 고르게 했을 때 어설픈 지식 가지고는 통하지 않는 다는 사실을 경험해 보지 않은 사람은 모르죠. ↓댓글에댓글
  5. 5. 락의지존 '05.5.31 10:26 PM 신고
    프랑스는 교육이 100%세금으로 운영되니까..

    혈세를 낭비안하려면 애들 공부 많이 시켜야 하고

    공부많이시키려면 시험이 어려워야 하니까...

    고딩의 입장에서 부럽소 ↓댓글에댓글
  6. 6. 선우님 '05.6.8 6:29 PM 신고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나요?
    프랑스는 대학을 개인이 원하면 보내줍니다..
    물론 국민의 세금으로요..
    단... 졸업은 적정 자격이 안되면 절~~대 안시킵니다..
    그래서 대학가면 죽어라 공부합니다...
    입학까지라면 좋겠지만... 프랑스는 우리나라보다 더 지독히 공부 시킵니다...ㅎㅎ ↓댓글에댓글
  7. 7. 오징어 '05.8.17 4:36 PM 신고
    저... 저건...
    세계의 교양을 읽는다... 에 나오는 그 주제들이군요... ㅡㅅㅡ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