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이번주에 쏠 계획인데요....리플좀..

 
이것 좀 봐주세요...새로 장만할 계획인데요.
어떨까 해서 고수님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기본 사양은 나는야사람님이 올렸던것에서 약간만 수정했습니다.
알려진 게임은 다 한다고 보면 되고요 창은 10개정도 띄우고 작업할때도 있죠..
이것 저것.....
그리고 그래픽카드 수준을 조금만 낮추려면 어떤걸로 해야할지도 부탁드립니다.

인텔 펜티엄D 스미스필드 820 정품 270,000 262,000 1 262,000
ASUS P5LD2 Deluxe 아이보라 233,000 219,000 1 219,000
DDR2 삼성 1G PC2-4200 122,000 113,000 2 226,000
삼성 S-ATA 250G 7200rpm P120 정품 138,000 132,000 1 132,000
DVD-Multi LG GSA-4163B 화이트 정품 69,000 65,000 1 65,000
GeForce 7800GTX EVERTOP 256MB ViVo 589,000 544,000 1 544,000
마이크로닉스 ML-10 화이트 68,000 67,000 1 67,000
파워서플라이 ENERMAX EG465P-VE FMA(24P) 96,000 95,000 1 95,000

부품별 평균가 합계 : 1,707,000 원 부품별 최저가 합계 : 1,610,000 원


2005-07-20 13:40:53
753 번 읽음
  총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LJH_PS/FSB333 '05.7.21 2:37 AM 신고
    그럴바엔..
    저같으면 6600GT SLI 하구요, 6600GT SLI하려면 파워가 좀 많이 필요하겠죠.

    그리고,, 시피유.. 펜티엄D는 절.대 비추합니다.

    싱글코어보다 못해요.. 코어끼리 정보를 주고받으려면 1코어에서 정보가 나온 다음 램을 거쳐 2코어로 들어갈려니깐,, 오히려 싱글코어보다 떨어집니다.

    그냥 지나가는 듀얼코어일수 있으니 펜D는 사지마시구요 AMD 듀얼코어 추천합니다. 가격이 좀 부담되겠으시면 6600GT 한개만 다시고 AMD듀얼코어로 가세요. 정 인텔 써야겠다 싶으면 싱글코어 쓰세요. 개인적으로 630/640 추천합니다. ↓댓글에댓글
  2. 2. 나는야사람 '05.7.21 10:43 AM 신고
    멀티스레딩 약간만 지원하면 인텔코어가 더 뛰어난 성능을 보입니다.
    그리고 싱글코어보다 못한다는 말은 어디서 나온건지요?
    Hyper-Threading지원으로 인해서 멀티코어로인한 상승폭이 적다뿐일뿐입니다.
    그리고 630하고 820 가격차 2만원정도나는데 이것보다는 훨씬 뛰어난 상승폭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펜D820과 애슬X2 4200+ 가격차 두배나 나는데 성능차는 두배 이상 나는게 없거든요? 아무리 열등한 아키텍쳐구성이라해도 두배 가격차는 전혀 가치가 없습니다. 오히려 가격대비성능비는 D820이 더 뛰어납니다. 그리고 가격차는 그렇다 치고 전력소모차는 45W인데 이걸로 30만원차 극복하려면 128bit로 전환되도 모잘랄겁니다.
    그래픽카드는 눈높이가 다르겠지만 X800XL이나 6600GT, 6600변종 이정도 추천해드리겠습니다. ↓댓글에댓글
  3. 3. ddong '05.7.22 10:53 AM 신고
    게임하신다면 펜D는 별로입니다. 그냥 AMD 싱글 코어로 가세요.
    인텔은 멀티태스킹/쓰레딩에는 강하지만 게임성능에서는 AMD에 못미칩니다. 더군다나 낮은 클럭의 스미스필드 2개면 더더욱 느리지요. 펜D는 꼭 필요하지 않다면(인코딩등의 작업상의 용도) 그다지 추천하고 싶지는 않네요.

    사실 지금 듀얼코어 사는것은 좀 시기상조 입니다. 펜D는 과도기적 코어의 성격이 강해서 새로운 코어를 기다리심이 좋을듯 합니다. 스텝핑도 B-0로 바뀌어서 곧 새로 출시된다고 합니다. idle시에 전력소모를 줄였다고 하더군요.

    AMD 듀얼코어의 경우 성능/발열/전력소모...모든 면에서 뛰어나지만 가격이 비싸지요. 이것 역시 시기상조 입니다. AMD의 새로운 공장이 2006년에 가동되면 가격이 많이 떨어질거라고 예상됩니다.

    64비트/듀얼코어의 등장으로 지금 CPU 구입하려면 많이 고민되실 겁니다. ↓댓글에댓글
  4. 4. ddong '05.7.22 4:19 PM 신고
    펜D 구입하시려면 조금 기다렸다가 하세요...
    이유는 여길 참조하시길...제가 위에 과도기적 코어라고 했던 점이 서서히 드러나는군요.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int_news&no=4546 ↓댓글에댓글
  5. 5. 나는야사람 '05.7.23 10:26 AM 신고
    게임성능은 인텔을 따라가게 되어있습니다.
    52개의 버그라는건 그다지 큰 문제는 아닌것같더군요.
    그리고 인텔이 발표한 pdf파일을 본다면 아시다시피 어짜피 52개 버그픽스를 모두 한것이 아닙니다.
    AMD듀얼코어가 전력소모에 뛰어난것도 본전 뽑으려면 하루에 두시간씩 14년정도가 걸릴겁니다. 그것도 "풀로드"로요.
    누가 2*365*14 10220시간동안 풀로드를 시키겠습니까?
    그리고 14년 되기전에 컴퓨터 세번은 갈껄요?
    게임성능은 인텔을 따라가게 되어있다는건 AMD가 게임성능을 거의 주도하는데 이 AMD가 하는데로 따라가면 게임성능은 인텔역시 오르게 되어있고 곧 멀티코어용 어플리케이션이 속속등장하면 AMD의 싱글코어보단 INTEL의 Pentium4(HT), PentiumD가 퍼포먼스상 확실히 유리할거란겁니다. ↓댓글에댓글
    • 1. ddong '05.7.24 1:35 PM 신고
      이번에 펜d 리비전 된 것을 보니...
      전력소모와 발열을 줄인게 핵심이더군요. 최소한 펜d를 구입하려면 리비전된 제품이 나올때까지 기다리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전력소모를 말씀하시는데 이건 상대적인 겁니다. 혼자서 자취하는 사람이라면 듀얼시피유를 쓰건 무시무시한 서버를 돌리건 거기서 거기입니다. 하지만 매달 300kw이상을 쓰는 가정이라면 누진세라는게 붙지요. 많이 쓰면 많이 쓸수록 누진세는 눈처럼 불어납니다. 한달에 불과 몇십kw의 차이가 몇만원 차이가 날수도 있다는 말이지요.
  6. 6. 나는야사람 '05.7.23 10:26 AM 신고
    그리고 2800+와 3000+ 성능차 없다고 하실거면서 2.8GHz*2랑 3000+랑 엄청나게 따지시네요. ↓댓글에댓글
    • 1. ddong '05.7.24 1:32 PM 신고
      제가 따지는 것처럼 보이나 봅니다.
      자신의 주사용 용도에 맞게 구입하는 것을 권하는 겁니다. 싱글 쓰레드 어플리케이션에서는 확실히 펜d의 같은 가격대의 싱글코어 cpu보다 많이 떨어집니다. 같은 가격이면 자신의 용도에 가장 적합한 cpu를 구하는게 더 좋지 않을까요?

      그리고 멀티쓰레딩 지원 어플리케이션이 언제 나올지도 모르고...일반적인 용도의 멀티쓰레딩 어플은 아마 좀 오래 기다려야 할 겁니다. 또한 펜d는 64비트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후일을 위해 듀얼코어를 추천하시면서 64비트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지 의문이군요.

      자신의 용도에 따라 인텔 또는 AMD를 구입하면 됩니다. 저는 질문 올린분이 게임을 많이 하시는것 같아서 게임에서의 성능이 특히 떨어지는 펜d를 비추 했을 뿐입니다.
  7. 7. 나는야사람 '05.7.23 11:41 AM 신고
    그리고 AMD의 듀얼코어에도 문제가 없는것만은 아니죠.
    3주째 질질끌어대고있는데.. ↓댓글에댓글
    • 1. ddong '05.7.24 1:40 PM 신고
      왜 갑자기 AMD 듀얼코어는 들고 나오시는지 궁금할 따름이군요...
      전 인텔을 특히 욕한적도 없고 AMD편을 든적도 없습니다.

      펜d는 꼭 필요한 사람이 아니라면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일반인들을 위한 듀얼코어 시장은 이제 막 생겨났기 때문에 지금 한창 과도기라고 보면 됩니다.

      특별히 렌더링/인코딩 쪽에 많은 작업을 하시지 않는다면 펜d는 비추입니다. 조금 기다리면 듀얼코어+64비트 기능까지 완전히 지원하고 전력소모+발열의 문제까지 잡은...적당한 가격대의 듀얼코어가 나올때 질러도 늦지 않습니다.
    • 2. ddong '05.7.24 2:03 PM 신고
      한가지 더 추가하자면...
      AMD 듀얼코어가 시중에 물량이 얼마 없는 이유는 AMD의 생산여력이 안되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가격도 매우 높은 것이구요...내년초반에 독일에 완공되는 공장이 본격적으로 돌아가면 좀더 공급이 수월해 질것이고 가격인하도 기대가 됩니다.

      그리고 X2가 특별히 문제가 있다는 소리는 듣지 못했습니다. 얼마전에 탐스 하드웨어에서 오랫동안 스트레스 테스트도 돌렸었는데 전혀 문제가 없었죠.
  8. 8. 나는야사람 '05.7.25 4:44 PM 신고
    PentiumD의 경우 em64t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잘못된 정보를 유포하시네요.그리고 X2도 문제가 있습니다. 왜없습니까? 3주째 끌어대고 있습니다. AMD야 상황이 어찌돼었든 지금 일반인들이 접근하기엔 상당히 가격이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펜티엄D Revision은 여러가지 bugfix지 다른건 없습니다. 물론 전력소모 그딴것도 줄긴 줄겠습니다만은...
    Intel ↓댓글에댓글
  9. 9. ddong '05.7.25 7:07 PM 신고
    제가 실수했군요. 지적 감사합니다. 어이없게도 ht와 착각했습니다
    AMDx2야 가격이 문제죠. 생산량에 문제가 있는 것이지 x2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소리는 못들었구요.

    제가 위에 적은대로, 컴퓨터는 자신의 용도에 맞게 구입하면 될 뿐입니다.

    개인적으로 듀얼코어는 신제품이 나오는 내년에 구입하는게 좋을듯 합니다...지금 꼭 필요하신분이 아니라면 말이죠.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