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사용자들이 대부분 구매하는 17/19인치 LCD 모니터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패널 가격의 연이은 상승에도 불구하고 내수 시장 확대를 위해 가격하락에 힘써왔던 대기업들이, 이제는 앞다투어 제품 가격을 올리는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가격이 다시 상승세를 보이는 것에 대하여 사용자들의 의견도 분분하다. 대기업들의 담함을 의심하기도 하며, 대체적으로 전자제품의 가격이 특별한 이유없이 재상승 하는것은 있을수 없다는 의견이 상당하다.
필자의 판단으로는 상반기 국내 LCD 모니터 시장이 기대 이하 수준으로 하락하자, 상반기 실적을 위해 제조사들이 밀어내기를 한 제품들이 이제는 거의 소진된 영향도 상당해 보이고, 판매 부진에 따른 양판점들의 가격파괴 판매도 한몫을 했다고 본다. 아무튼 패널 가격이 조금씩 상승하고 있어, 당분간은 대기업 제품들의 가격은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 삼성전자 17인치 LCD 모니터 178B의 Overview "
가격의 변화 이외에도 상반기 LCD 모니터 Spec상의 가장 큰 변화는 응답속도와 명암비였다. 응답속도는 약 2~3년동안 16ms ~ 25ms가 대세였지만 상반기에는 8ms가 '기본'이 되어 버렸다. 명암비 역시 1000 : 1을 넘어서서 1500 : 1까지 구현한 제품이 실제로 판매되고 있다.
TFT-LCD 패널 제조 기술의 향상은 사용자들들에게 제품 선택의 폭을 상당히 넓혀주고 있다. 오늘 살펴볼 삼성전자의 178B의 특징은 응답속도를 4ms까지 줄인 혁신적인 제품으로, 지난달에 첫 출시된 제품이다.
|
Spec을 살펴보면, 밝기가 300nits로 충분한 수준이며 명암비 역시 600 : 1로 모자람 없는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삼성 패널을 사용하였으며 시야각은 160/160으로 나와 있지만, CR>5 기준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160/140의 시야각을 가지고 있는 전형적인 TN방식의 패널일 것으로 판단된다. 역시 가장 눈에 띄는건 응답속도로 4ms(Gray to Gray)로 그동안 응답속도에 매우 민감했던 사용자들에게 상당한 어필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삼성전자 178B의 외관 및 특징
" Box "
특별한 치장이나 설명이 없는 일반적인 모습이다.
" 케이블 및 주변기기 "
전원 케이블, 15pin D-sub 케이블, DVI 케이블, 드라이버 및 사용자 설명서가 내장된 CD, 보증서, 설치 안내서로 구성되어 있다. 아답터는 본체에 내장되어 있으며, CD 내에는 Natural Color와 Magic Tune 프로그램도 포함되어 있다.
" 제품 전면 "
색상은 Silver로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 색상은 Silver + Dark Gray의 투톤 스타일로 보면 되겠다. 베젤은 적당히 슬림하고, 전체적으로 무난한 느낌이 들지만 스탠드가 헤드에 비해 약간 작은 느낌이 든다. 측면에서 볼때는 슬림함을 강조하기 위해 중앙부로 갈수록 조금씩 두꺼워 보이는 디자인을 하고 있다. 아답터가 내장된 제품으로는 두께도 슬림한 편이며, 무게도 가볍다.
" 입력 단자부 "
좌로부터 전원 / DVI 입력 / 15pin D-sub 입력 단자이며, 단자 연결부가 일반 제품보다 위쪽에 위치해 있어 연결이 수월하게 디자인 되어 있다. 위쪽에는 월마운트(75mm * 75mm) Hole 이 있으며, Kensington-Lock도 제공된다.
" Back-label "
2005년 6월에 생산된 제품이며, 원산지는 한국이다. 참고로 원가 절감을 현재 MP모델 일부와 대화면 제품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제조라인은 중국에 위치해 있다.
" Stand "
위에서도 잠시 언급했듯이 바닥면은 원형으로 디자인 되어 있고, 처음 개봉시 조립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간단하게 바닥면에서 한손으로 조립이 가능하며, 전체적인 크기는 조금 작은 느낌이다. (타 제품들에 비해 무게 중심도 약간 높은 편이다.)
잠시 사용자들의 의견을 대변하면, 삼성의 보급형 제품은 Stand 디자인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상당수의 의견이 있었다. 차기 제품은 이점을 반영하여 출시 되었으면 한다.
" OSD 설정버튼 "
총 6개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로부터 메뉴, MagicBright™, 밝기 조정, 선택(입력신호 전환), 자동조정, 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정방법은 GIF 파일과 표로 매우 잘 설명이 되어 있다. 특별히 설명을 추가하지 않고 그림으로만 보여드려도 충분히 이해가 갈 것이다. MagicBright™는 뒤에서 한번 더 언급 하도록 하겠다.
" 밝기 명암 조정 "
" 색상 최적화 "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을 최적화시키고 일괄적인 컬러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LCD 모니터들이 Red / Green / Blue의 색상 조정만 가능함에 비해, 178B는 색조와 색채도 조정으로 세분화를 기했으며 3단계의 감마 조정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최적화된 조정이 가능하다.
" 화질 조정 "
" OSD 설정 "
" 입력 선택과 화질/색상 초기화 "
참고로 한번 설정후 OSD 설정 데이터가 함부로 변화되지 않도록 OSD 조정 잠금 기능이 숨겨져 있다. Menu 버튼을 5초간 누르면 실행되며 잠금기능 실행시 밝기와 명암만 조정이 가능하다.
" MagicBright™ "
과거엔 세가지 모드 (Text모드 / 인터넷 모드 /동영상 모드)로 나누어져 있었으나, 178B에는 6가지 모드(사용자 조정 / 문자 모드 / 인터넷 모드 / 게임 / 스포츠 / 영화)로 세밀하게 나뉘어져 있다. 한마디로 MagicBright™은 밝기/명암/감마 값이 미리 셋팅되어 있는 것으로 사용자 개인이 가장 편한 느낌이 드는 모드로 사용하면 된다.
설치 및 테스트
178B를 PC에 연결하고 윈도우를 부팅하고 CD내에 첨부된 드라이버를 설치한 후 테스트를 시작하였다. 디지털 입력을 기준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최적 해상도인 1280*1024@60Hz로 설정 하였다. 모든 테스트를 공장출하모드(팩토리모드)에서 진행하는것을 원칙으로 하고, 이때의 밝기는 100%, 명암 75%, Red 50%/Green 50% /Blue 50%였고, 색온도 역시 초기 상태를기준으로 테스트를 시작했다. 휘도 안정화시간은 60분 이상이었고 최적화를 위한 별도의 밝기나 명암, 감마등은 조절하지 않았음을 알려둔다.
최소/최대 휘도, 권장 휘도, 휘도 균일성, 백색 균일성, 명암비
" white "
" 초기 휘도 분포 "
178B의 초기 휘도 분포도이다. 초기휘도가 최대 휘도이기 때문에 최대 휘도는 따로 계측하지 않았다. Spec 상의 휘도는 300nits이며, 스펙보다는 약간 낮은 휘도를 보여준다. 휘도 분포를 살펴보면 상단에 비해 하단의 휘도가 약간 높은것을 알 수 있고, 우측면도 약간 낮은 분포를 보여준다. 평균 휘도는 277.0nits였으며, 휘도 균일성은 81.88%정도가 계산되었다. 우수한 수준이라 할 수 있겠다.
" Black "
" Black 휘도 분포 "
일반적인 TN방식의 패널 평균 휘도 분포대를 보여 주었다. 0.32 ~ 0.44nits 정도의 분포를 보여주고 있으며, 평균 Black 휘도는 0.368nit, 휘도 균일성은 72.727%가 계산되었다. 화면을 가로로 3등분 했을때, 좌/우 측면에 비해 중앙부의 휘도가 약간 높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 명암비 분포 "
스펙상 178B의 명암비는 600 : 1로 나와 있고, 실 계측시에도 575.12 : 1 ~ 764.55 : 1로 스펙과 비슷하거나 약간 더 우수한 분포를 보였다. 평균 명암비는 678.13 : 1 이었고, 명암비 균일성은 75.22%가 계산되었다. 충분한 계조 표현이 예상된다.
" 최대/최소 휘도 "
White와 Black의 중앙부 기준 최소/최대 휘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178B는 휘도 조정에 따라 98.0 ~ 277.0 nits의 white 휘도, 0.15 ~ 0.44 nits의 Black휘도로 제품을 셋팅할 수 있다. 그에 따른 명암비는 653.4 : 1 ~ 629.545 : 1 수준으로 휘도에 따른 명암비 균일성이 좋아서, 사용자들은 밝기 조절 만으로도 원하는 셋팅에 근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문서 작업을 주로 하는 사용자라면 24 ~ 43%의 휘도로 사용하길 권장하고, 게임이나 동영상 감상시에는 44 ~ 65%의 휘도를 권장하며, MagicBright 기능도 적절히 조화시켜 사용하시기 바란다.
" 백색 균일성 "
백색 균일성은 min(x)=0.3012 min(y)=0.3271, max(x)=0.3063 max(y)=0.3328이 계측되어 △x=0.0051 △y=0.0057로, 화면 전체의 백색 균일성은 상당히 우수함을 보여준다.
해상도별 가독성
1280*1024/60Hz : 최적 해상도로써 깨끗하고 또렷한 가독성을 보여준다.
1024*768/60Hz : 상하/좌우로 약간씩 번지는 수준이다.
800*600/60Hz : 약간 번지며 CRT 모니터급의 가독성으로 볼 수 있다.
640*480/60Hz : 번짐 없고 스케일링 매우 좋다.
아날로그 입력시에도 디지털 입력과 거의 차이가 없는(부분 번짐도 찾을 수 없는) 깔끔한 가독성을 보여 주었다.
색/계조 표현력
가장 밝은 부분의 계조가 약간 구분하기 힘들었지만, 그 외에는 중간 계조의 표현도 매우 좋고 혼합색의 표현도 매우 좋았다. 단점을 찾기 힘든 수준이었다.
" R/G/B 색좌표 "
'1931 x,y chromaticity diagram'상에서 본 178B의 색좌표이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상당히 넓은 색 재현 범위를 보여주고 있고, R/G/B 모두 흠잡을 곳은 없는 모습이다. 특히 Blue의 표현이 매우 좋았으며 삼각형의 면적을 구해보면 0.1158정도가 나와 NTSC방송방식 색 재현범위 대비 약 73.30%라는 매우 우수한 모습을 보여 주었다.
색 재현성은 RGB색좌표가 구성하는 삼각형의 면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색 재현성이 좋다는 말은 CIE색 좌표계에서 더 많은 색을 표현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로 NTSC방송방식의 White, Red, Green, Blue의 색재현범위는 R(0.67, 0.33), G(0.21, 0.71), B(0.14, 0.08) →면적은 0.158이 된다. |
" Grayscale "
32 Grayscale을 육안으로 살펴 보았을때 가장 어두운 부분부터 가장 밝은 부분까지 거의 완벽한 계조 표현을 보여 주었다. 물론 타색도 찾을 수 없었고 다만 아날로그 입력시 경계 부분이 디지털 입력에 미치지 못한것이 유일한 단점 이었다.
" 색 온 도 "
178B는 표준/차갑게/따뜻하게 세가지의 Default 항목이 있는데 순서대로 6500K/9300K/5500K 정도로 Default 셋팅이 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간 많은 삼성 제품들의 색온도가 차갑게 셋팅되어 있었으나, 178B는 일반적인 수준으로 생각하시면 되겠다.
표준에서는 6984K로, 차갑게에서는 8285K로, 따뜻하게에서는 5844K로 설정값에 어느 정도의 오차가 발견되었다. △u'v'를 살펴보면 표준에서는 +0.008로 오차 범위가 큰 편이었고, 차갑게와 따뜻하게 일때 +0.003으로 계측되어 양호한 편이었으나, 의도한 설정값과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또한 MagicBright 에서 보여주는 5가지 모드도 밝기 구분은 명확하나 색온도 셋팅은 별 차이가 없었다. 모드별 색상은 어느 한 사람 눈에 맞춘것이 아니라, 통계적인 결과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필자가 판단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참고자료 - 178B의 MagicBright에서 보여주는 모드별 밝기
문자 : 135nits, 인터넷 : 172nits, 게임 : 240nits, 스포츠 : 253nits, 영화 : 266nits
필자의 눈으로 바라보고 그대로 실행해본 느낌을 말하자면, 문자와 인터넷모드는 조금 어둡다고 판단되며, 게임은 만족스러웠고, 스포츠는 시원한 느낌이 강했으나 색상의 왜곡이 있었다. 영화 모드는 표현이 상당히 만족 스러웠다. 참고 하시기 바란다.
응답속도 및 잔상
" 동영상 "
제품마다 컨셉이 있지 마련이지만, 178B의 최대 메리트는 바로 이 응답속도 부분이다. 4ms의 응답속도는 지금까지 출시된 제품중 가장 빠르다고 할 수 있다. 실제 사용결과 어떤 작업에도 전혀 눈에 거슬림을 발견할 수 없었다.
현재 응답속도는 rise-and-fall 또는 gray-to-gray의 두가지 스펙이 공존하는 상태이며, 참고로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에서는 rise-and-fall에 대해 기술적 정의를 내렸지만 gray-to-gray 스펙은 불확실하다는 입장이다. 그리고 두가지 모두 스펙에 있어서 완벽함을 보여주지는 못하기 때문에 여러 논란의 소지는 있으나, 제조사에서 거짓 스펙을 말하지는 않는다.
사실 4ms나 8ms의 차이를 눈으로 구별하는데는 무리가 있다. 샤프같은 업체는 gray-to-gray 스펙을 인정하지 않으며, 뷰소닉은 gray-to-gray 응답속도를 지지한다고 한다. VESA에서는 곧 rise-and-fall와 gray-to-gray 응답속도 둘 다를 적용한 스펙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하니, 조금만 더 기다려 보자.
테스트 후기 및 총평
시야각
" 시야각 "
삼성전자 홈페이지에 나온 시야각 스펙은 160/160으로 표기되어 있다. 허나 이 시야각은 (CR>5)기준이기 때문에 실제적으로는 TN방식의 패널이 보여주는 시야각이라 할 수 있다. 상단이나 좌/우 시야각은 문제가 되지 않으나 하단시야각의 반전 현상이 나타나는 범위가 빠른 편이라고 할 수 있겠으며, 일반 사용시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아랫쪽에서 LCD 모니터를 바라볼 일이 있을경우 이점을 충분히 숙지 하시기 바란다.
|
평가환경
시스템 : Pentium III 500Mhz , 256M SDRAM, 30G HDD
해상도 : 1280*1024@60Hz
그래픽카드 : ATI RADEON 9200, 7500LE
TEST Program : IBM TEST,32 grayscale패턴, FPDMSU_totalpattern, Nokia Test, Crtat alignment tool , Check screen
계측기기 : MINOLTA Display Color Analyzer CA-210
※ 본 평가는 TEST용 샘플 한 대에 대한 결과이므로 제품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시스템과 계측기기에 따라서도 결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계측시 환경은 VESA 표준환경에 따릅니다.
기 타
안정성 : 무게 중심이 높은 편이고, 원형의 Stand가 무게에 비해 가볍고 작기 때문에 충격을 주었을때 흔들림이 오래가는 편이다.
베젤견고성 : 마무리 처리가 깔끔하고, 베젤을 움켜쥐어도 패널리 눌리는 부위는 거의 찾을수가 없었다.
불량화소 : 없다.
총 평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LCD 모니터의 최대 약점으로 손꼽히던 응답속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4ms의 응답속도를 가진 LCD 모니터의 출시, 그동안 구입을 미뤄오던 게임 유저나 응답속도에 민감한 사용자들에게 상당한 희소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오늘 살펴본 삼성전자의 178B는 충분한 휘도와 만족스런 명암비, 그리고 높은 색재현력을 지닌 제품으로 기본 성능에 충실하며, 매우빠른 응답속도는 상당한 구매욕구를 자극하게 한다. 또한 다른 제품에서 찾아볼 수 없는 사용자 편의성과 제품에 대한 설명은 178B의 최대 매력이라 할 수 있다.
허나 단점으로는 들쭉날쭉한 가격정책이 실 구매자에게 어느정도 혼란을 야기할 수 있고, CR>5라는 시야각 스펙의 표기는 웬지 솔직하지 못한 느낌을 갖게 하는 부분이다. 많은 사용자들이 원하는 Stand 디자인의 개선도 필요하다 생각된다. 그래도 4ms의 응답속도는 178B의 최대의 메리트이다.
비씨파크 주식회사, 대표이사 : 박병철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박병철
사업자등록번호 : 114-86-19888 |
본사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3길, 42, 1307호
전자우편 : master@bcpark.net |
(전화전 이용문의 게시판 필수)
전화: 02-534-982구(09:00~18:00) |
팩스: 02-535-155구 |
긴급: 010-9774-988삼
ㆍ저작권안내 : 비씨파크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에 보호를 받습니다. 단, 회원들이 작성한 게시물의 권리는 해당 저작권자에게 있습니다. 비씨파크에 게재된 게시물은 비씨파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타인의 저작물을 무단으로 게시, 판매, 대여 또는 상업적 이용시 손해배상의 책임과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ㆍ쇼핑몰안내 : 비씨파크는 통신판매중개자로서 상품 주문, 배송 및 환불의 의무와 책임은 각 판매 업체에 있습니다.
Copyright ⓒ 2000-2025 BCPARK Inc.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