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웰컴 투 동막골'이 두려운 이상한 사람들

 
죽은 맥아더가 ‘동막골’ 난장판 만드나
[기자의 눈] 조선일보와 한나라당의 ‘동막골’ 색깔시비, 국민이 우습나?
김한솔
기존의 한국전쟁과는 전혀 다른 시각으로 접근하면서 한국영화의 저력을 과시하고 있는 '웰컴 투 동막골'(아래 동막골)이 난데없는 색깔시비에 휩싸이고 있다.

최초의 시비는 보수반북 성향의 조선일보.

▲동막골을 "웰컴 투 김일성 왕국"이라며 억지로 색깔론을 제기한 조선닷컴 진성호 부장의 글 ©조선일보 8월 25일자 PDF
지난 8월 24일 조선일보 진성호 인터넷뉴스부장이 태평로라는 지면을 통해 "웰컴 투 김일성 왕국"이라는 글을 써 영화 ' 동막골'이 반미영화라고 주장했다.

진 부장의 글을 보면 "영화 제작자가 '반미, 친북'의 상황을 설정할 수 있다. 그건 예술의 자유 영역이다. 그러나 민족 비극을 낳은 전쟁범죄자는 따로 있는데, 이런 식의 묘사를 한 것은 '예술가의 양심'에 어긋나고 정권이나 관객에 영합한 또 하나의 상업주의로 볼 수도 있다"고 영화를 비하했고, "북한의 '간첩두목'이라는 이가 남한 8·15 행사의 주인공으로 청와대까지 들어가는 세상이 됐다. '광복 60주년 대한민국'은 죽은 김일성에게 점령당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같은 악착같은(?) 시비에도 불구하고 워낙 영화에 대한 평이 좋은 바람에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막강 조선일보도 못한 동막골에 대한 색칠하기는 인천 맥아더 동상 철거를 둘러싼 논란 속에 다시 살아나고 있다.

한나라당 국민참여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계진 의원은 '동막골'이 반전과 반미의 메시지가 강한 영화라고 밝혀 한나라당 특유의 '색깔'을 들고 나왔다.

13일 한나라당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이 의원은 "'동막골'을 보신 분들은 어떻게 느꼈는지 모르겠지만, 제가 보니까 반전과 반미의 메시지가 강하다"라고 밝혔다.

또 이 의원은 "아직 남북대치 상황에서 반미는 받아드리기가 어려운 내용이다. 관객수가 많았던 것을 보면 상당히 젊은이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반미문제에 대해 '동막골'을 보고 맥아더 동상철거 현장에 간 사람도 있으리라 본다"고 말해 영화 관람객=맥아더 동상철거자라는 '생뚱맞은' 주장을 펼쳤다..

이에 질세라 한나라당 김무성 사무총장도 "'동막골'은 볼 땐 재밌었는데 보고 나니 인민군은 휴머니스트처럼, 국군과 미군은 전쟁광처럼 보이더라"고 영화를 평했다.

한나라당이 한 영화에 대해 반미와 반전의 의미를 두는 이유는 보수적 성격보다도 지난 11일 맥아더 동상철거 시위에 대한 대응책으로 보인다.

특히 김 사무총장은 전날에도 인천자유공원 맥아더 동상 철거 집회를 놓고 "11월 APEC때 참전국의 정상들이 대거 참석한다. 그 전에 공권력에 도전을 하고 맥아더 동상 철거를 주장하는 용공세력과 배후 주모자들을 모두 색출해서 엄중처벌 해야 한다"고 밝혀 색깔론을 들춰내기도 했다.


▲웰컴투 동막골 포스터 © 박광현 필름
하지만 이 영화에 대해 민주노동당 김혜경 대표는 12일 오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국가보안법 청문회'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동막골'이란 영화는 국보법 완전폐지를 반대하는 사람들은 안 보는 것이 좋겠다. 남과 북의 군인들이 강원도 산골의 순수한 마을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연합작전을 펼치는 것이야말로 국보법이란 실정법을 위반하는 것이며, 국보법은 영화를 본 600만 명을 범법자로 만들 수 있고 모든 국민이 재미있다는 영화를 이적 표현물로 만들 수 있다"라고 말했다.

'웰컴 투 동막골'은 장진 감독의 히트 연극 '웰컴 투 동막골'을 박광현 감독이 영화화 한 것이다. 이 영화는 6.25 전쟁 말기 전쟁 이데올로기조차 비켜간 강원도의 외딴 마을에 비행기가 추락하면서 일어나는 에피소드가 주요 줄거리이며, 국군, 인민군, 연합군이 합심해서 동막골을 지킨다는 내용이다.

전쟁영화이지만 심각한 이념대립이나 이데올로기가 없고 따뜻한 휴머니즘 영화라는 점에서 많은 관객들에게 호평을 받으면서 최단시간 700만 관객 동원 등 각종 신기록을 눈앞에 두고 있다.


'동막골'이 인기몰이 만큼이나 이념논란도 뜨거운 것은 '공동경비구역 JSA'나 '실미도', '태극기 휘날리며'와는 달리 또 다른 메시지를 던져주고 있다. 한국전쟁이나 남북관계를 소재로 하는 우리 영화가 날이 갈수록 '화합'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쉬리'에서 '웰컴 투 동막골'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금기가 하나둘씩 깨지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나라당이나 조선일보의 색깔론이 언제까지 들고 나올진 모르지만, 이미 국민들은 심각한 이념대립 보다 어떤 면에서는 영화는 영화로써 감상할 뿐이다. 또 어떤 면에서는 이미 이념보다 더 남북교류와 민족공조가 더 당연하다고 여겨 아예 심각하게 생각하지도 않은 것이기도 하다.

철 지난 색깔로 시계를 억지로 되돌리려는 그들에게 문화적 감수성이 있을까? 만약, 한나라당이 집권하고 조선일보가 지금보다 더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할 때, 국민들이 부담없이 보고 평가할 영화라도 만들어 질 수 있을까?

동막골은 누구나 반기지만, 동막골 조차 반기지 않은 세력과 신문을 보는 것 만큼 더 고역은 없을 것이다. 언제까지 이 고역을 참고 견뎌야 하는지...
2005/09/13 [04:06] ⓒ대자보


김서방
2005-09-14 21:23:06
1961 번 읽음
  총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STF '05.9.18 2:24 PM 신고
    자기마음에 안들면 검열 및 삭제
    .. 감독이나 소설가 구속 등등..

    이런게 과연 올바른 것인가.

    차떼기당 .. 무늬만 .. 언론이고 ..
    속은 .. 기득권 을 대변하는 .. 기관지가 되버린
    조선일보는 .. 반드시 사라져야할듯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