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한결 든든한 안정성, 컴리드 6600 PCI-E 256MB (3.3ns)

 



















■ 한결 든든해진 안정성, 컴리드(COMRADE) 6600 PCI-E 256MB (3.3ns)



 사실 GeForce 6600 정도의 보급형 VGA 제품들에서 256MB의 대용량 버퍼메모리가 얼마나 의미를 가질 수 있느냐에 대한 회의(懷疑)가 없는게 아닌데도, 각 업체들의 마케팅 전략이 적절히 잘 통했고 대용량 메모리 장착에 따른 심리적 안정감이 실제로 위력을 발휘했는지 - 현재 10~11만원선에 판매되는 노멀 6600 제품들을 보면 256MB 메모리를 싣고 있는 제품들이 상당히 많음을 알 수 있다. 어림잡아도 30% 정도는 충분히 되는 수준.



 다만 가격 경쟁이 워낙 치열하게 벌어지는게 이 10만원 전후로 고만고만한 가격대의 VGA 시장이다 보니, 현재 256MB 메모리를 장착한 6600 제품들에는 거의 대부분 스펙이 좀 떨어지는 4.0ns 메모리 모듈이 실장되어 있다. 그러한 틈새를 비집고 3.3ns 메모리를 장착한 제품이 있어 눈에 띄는데, 이번에 소개할 '컴리드 6600 PCI-E 256MB (3.3ns)'이다.



 이 제품은 그에 아울러 양호한 구성의 전원부를 갖추고 있고 메모리에는 방열판까지 부착하여 전반적으로는 안정성에 중점을 두었다는 인상을 주는데, 세부적으로는 어떤 면모와 성능을 지닌 제품인지 지금부터 잠깐 확인해보도록 한다.















▲ 컴리드(COMRADE) GeForce 6600 PCI-E 256MB 128bit (3.3ns)











■ 제품 레이아웃 / 부가구성품




















▲ COMRADE 6600 PCI-E 256MB (3.3ns) 전/후면


 컴리드(COMRADE) 6600 PCI-E 256MB (3.3ns)의 레이아웃은 대부분의 노멀 6600 제품들이 대개 그렇듯, nVIDIA의 레퍼런스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그래도 블랙 컬러의 PCB를 씀으로 해서 상대적으로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고, 메모리 방열판이나 전원 파트 등의 모습은 그냥 저가형 제품들과는 어느 정도 차별화되고 있다.


























▲ 128MB 128bit 메모리 장착 (16bit 16MB 메모리 모듈 x 8)








▲ 하이닉스(hynix) 3.3ns TSOP 타입 DDR 메모리 (기본 작동 속도 : 550 MHz)

[ 사진출처 : 마이크로사운드 홈페이지 ]






▲ COMRADE 6600 PCI-E 256MB (3.3ns)

: EVEREST Home Edition 메모리 정보


 현재 굉장히 다양한 제품군으로 나뉘어 판매되고 있는 nVIDIA의 GeForce 6600 제품들은 어떤 기판을 사용했느냐도 물론 중요한 문제지만, 어떤 스펙의 메모리를 장착했느냐가 더더욱 관심의 초점이 되곤 한다.



 이번 컴리드 6600 256MB 메모리 제품은 서두에서도 언급했지만, 4.0ns(스펙상 최대 지원 클럭 : 500 MHz) 메모리를 갖춘 여느 6600 제품들에 비해 더 빠른 속도의 3.3ns(스펙상 최대 지원 클럭 : 600 MHz) 메모리를 실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선 돋보인다. 메모리 모듈 제조사는 하이닉스(hynix).



 EVEREST Home Edition에 조회된 내용에 보다시피 기본 메모리 작동 클럭은 550 MHz인데, 3.3ns 메모리를 달고 나온 제품이다 보니 600 MHz 이상으로도 셋팅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메모리 윗면에 아주 단단히 부착된 메모리 방열판은 안정성 향상이란 측면에서 눈에 띄는 부분.






















▲ 전원부 구성 - COMRADE 6600 PCI-E 256MB (3.3ns)






▲ 전원부 구성 - COMRADE 6600ST PCI-E 128MB (4.0ns)


 컴리드 6600 PCI-E 256MB (3.3ns)에서 한 가지 더 언급할 만한 사항은 전원부 구성.



 물론 이 제품 역시 보급형에 속하기에 각 부품의 퀄리티 자체가 최상은 아니나, 일반적인 저가형 & 보급형 제품들에 비해선 꽤 든든해 보이는게 사실이다. 각 부품의 규격 자체는 그리 큰 차이가 없지만, 보통의 알루미늄 전해 캐패시터(콘덴서)에 비해 안정성면에서 낫다고 얘기되는 캔타입 캐패시터가 그렇고 / 노멀타입 인덕터(초크 코일)가 아닌 큐브 타입 인덕터의 모습 등이 그러하다.



 위 전원부 사진들은 같은 컴리드에서 나온 노멀 GeForce 6600 128MB 제품인 'COMRADE 6600ST 128MB (4.0ns)'와 비교한 것이다. 일반적인 4.0ns 256MB 메모리 장착의 6600들도 이 제품과 별로 다르지 않은 전원부를 가지고 있음을 감안하면, 컴리드 6600 PCI-E 256MB (3.3ns)의 상대적인 우위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가격대의 제품이라면 아무래도 전원부가 든든해 보이는 쪽에 마음이 기울어지는 것은 인지상정.



 다만, 위 비교 사진에서 레귤레이터나 TR 등 그외 전원부 부품은 대부분 같은 스펙의 제품들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GPU 쿨러


 GPU 쿨러의 히트싱크는 알루미늄 재질로 되어 있고 형태 자체도 평범하지만, 팬 블레이드 수가 적어서인지 팬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크지 않아 꽤 조용한 편이라는 점이 마음에 든다(적어도 6600 GT나 일반적인 노멀 6600의 리테일 쿨러들 보다 조용하다).
























▲ nVIDIA GeForce 6600 코어 (기본 작동 속도 : 300 MHz)






▲ COMRADE 6600 PCI-E 256MB (3.3ns)

: EVEREST Home Edition GPU 정보


 GPU 코어가 히트싱크에 지나치게 눌려서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코어 주변에 스폰지 재질 스페이서를 부착한 점은 별다를게 없지만, 여느 제품들과는 달리 스페이서가 코어 패키징 윗면 공간을 온통 차지하고 있는 점은 독특하다.



 GeForce 6600의 NV43 코어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특징 그대로, 0.11㎛ 공정으로 제작되었고 약 1억4천3백만개의 트랜지스터를 내장하고 있다.



 기본 작동 클럭은 300 MHz로 되어 있지만, (우리가 6600 제품 구입시 기대하는 바대로) 물론 여기에 더해 상당폭의 오버클러킹이 가능하다. 픽셀 파이프라인과 버텍스 파이프라인 수는 각각 8개, 3개이고, DirectX 9.0c와 OpenGL 1.5 등의 API를 하드웨어적으로 지원한
.














▲ 후면 브라켓 구성

TV-OUT(컴포넌트 & S-Video) / DVI 출력 단자 / 15핀 D-SUB 출력 단자


 후면 브라켓 출력 단자들은 위에서 보듯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다. 4핀 mini-DIN 단자를 통해서는 HDTV 대응의 컴포넌트(Component ; Y / Pb / Pr) 출력 역시 가능하다.














▲ COMRADE 6600 PCI-E 256MB (3.3ns) 부가 구성품


 다만 아쉽게도 부가 구성품에는 S-Video 출력 케이블 외에 컴포넌트 변환 출력 케이블은 들어있지 않다. 그러나 이는 대부분의 노멀 6600 제품들에 공통된 사항이니 이 제품만의 흠으로 보긴 어려운 부분.



 그 밖에 제품 설치 매뉴얼과 COMRADE 사운드카드 & 그래픽카드용 통합 드라이버 CD가 구성물로 포함되어 있다.





















▲ 제품 박스







▲ 무상 A/S 2년


 이 제품의 박스 디자인은 다른 컴리드 제품들과는 약간 다른데, 박스 컬러가 기존 초록색이 아니라 하늘색 계통으로 바뀐 점(컴리드 제품 박스를 보면 nVIDIA 계열은 초록색, ATI 계열은 붉은색으로 되어 있다)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게 되어 있는 점이 특색이다.



 한편 박스 측면에 부착된 스티커 내용처럼 2년이라는 상대적으로 긴 무상 A/S 기간의 책정은 '마이크로사운드(MICROSOUND) 컴리드(COMRADE)'가 분명 구매자들에게 크게 어필할 수 있는 부분이다.







■ 테스트 환경 / 성능 테스트
























































CPU
Intel Pentium D 830 (3.0 GHz)
Main Board
ASUS P5ND2-SLI Deluxe(nForce4 SLI Intel Edition)
RAM
삼성 PC2-4200 DDR2 SDRAM 1GB(512MB Dual Channel)
VGA
COMRADE GeForce 6600 256MB 128bit
HDD
Seagate Barracuda 7200.7 SATA 80GB
ODD
LG GCE-8523B 52X CD-RW
Power Supply
Delta GPS-350EN-100A 350W PSU
Case
다오코리아 C900
OS & etc.
WindowsXP Professional SP2(한글)

DirectX 9.0c

nVIDIA Forceware 78.01






▲ 테스트 시스템


 COMRADE 6600 PCI-E 256MB (3.3ns)를 위해 사용된 테스트 시스템의 스펙과 제품이 실제 설치된 모습은 위와 같다(드디어 No 케이스 상태의 조마조마함에서 벗어나, 다오코리아에서 나온 S900이라는 든든한 집을 얻었다 ^.^ 1T의 두터운 섀시와 넓직한 내부 공간, 뛰어난 편의성이 돋보이는 제품).














▲ 비교 제품 : COMRADE 6600ST PCI-E 128MB (4.0ns)


 성능테스트시 보다 객관적인 비교를 위해 동원된 제품은 앞서도 잠깐 언급한 바 있는 컴리드의 노멀(Normal) GeForce 6600 128MB 제품인 'COMRADE 6600ST 128MB (4.0ns)'이다.



 [코어 / 메모리 클럭]은 [300 / 500 MHz]로 [300 / 550 MHz]인 이 제품에 비해 메모리 클럭이 50 MHz 낮긴 하지만, 4.0ns 256MB 메모리를 갖춘 다른 제품들 또한 모두 마찬가지이므로 이 부분에 유의해서 보면 되겠다. 128MB 메모리를 장착한 제품과 256MB 메모리를 장착한 제품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역시 관심이 가는 사항.



A.
3DMark03 (build 3.6.0) / 3DMark05 (build 1.2.0) / AquaMark 3















































▲ 3DMark03 (Build 3.6.0) 테스트 결과

































▲ 3DMark05 (Build 1.2.0) 테스트 결과


 1024 x 768 해상도에서 노멀 6600의 3DMark03 / 3DMark05 스코어는 각각 5000~5500점 / 2000~2200점 정도를 마크하는데 이번 테스트 결과 역시 그에 부합하고 있다.

 기존 보급형 제품군의 베스트 셀러인 ATI Radeon 9550 변종이나 6600 보다 한 레벨 낮은 저가형 모델인 6200 시리즈와 비교하면 3DMark03은 1000점 이상, 3DMark05는 300점 이상 정도가 차이나는 셈. 거기에 nVIDIA의 6600은 기본적으로 상당히 큰 폭의 오버클러킹이 가능한 만큼, 이미 다른 보급형 및 저가 레벨 제품들이 6600의 경쟁상대가 될 수는 없다.



 한편 위 비교 테스트 결과에 주목해서 보면 두 제품의 코어 클럭이 300 MHz로 같긴 하지만, 3.3ns로 더 빠르고 256MB로 용량이 더 많은 메모리를 갖추고 있으며 메모리 기본 작동 클럭 역시 50 MHz(10%) 높은 '컴리드 6600 PCI-E 256MB (3.3ns)'가 다소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3DMark03
1024 x 768
1280 x 1024
1600 x 1200
Normal
3.67 %
Normal
4.25 %
Normal
4.84 %
4x AA
5.52 %
4x AA
7.03 %
4x AA
12.05 %
3DMark05
1024 x 768
1280 x 1024
1600 x 1200
Normal
4.87 %
Normal
5.19 %
Normal
5.39 %
4x AA
5.82 %
4x AA
5.73 %
4x AA
N/A






▲ 3DMark03 / 3DMark05

해상도별, 앤티엘리어싱(AA) 셋팅 조건별 스코어 차이


 다만 그 차이는 위 표에도 나타난 것처럼 두 제품의 메모리 클럭의 차이인 10% 보다는 작은 4~10% 내외인데, 대체로 보면 고해상도로 갈수록 그리고 4샘플의 앤티-엘리어싱(Anti-Aliasing ; 4x AA)을 걸어주었을 때 더 벌어짐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또 하나 주목이 되는 점은 3DMark05의 1600 x 1200, 4x AA 셋팅에서의 테스트 결과다. 128MB 메모리만을 갖추고 있는 '컴리드 6600ST 128MB (4.0ns)'는 비디오 메모리 부족이라는 에러메시지와 함께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지만 256MB 메모리의 이번 제품은 아무 문제 없이 통과한다.

 여기서도 알 수 있듯 사실 VGA의 버퍼 메모리 용량은 속도보다는 지원되는 3D 해상도 및 필터링 옵션 적용 등에 더 큰 영향을 끼친다.









































▲ AquaMark 3 테스트 결과


 AquaMark 3에서도 위 3DMark 테스트에서와 비슷한 결과가 나타나는데 그 차이는 약간 줄어들어서, AA를 걸어주지 않은 노멀(Normal) 상태에서는 3~4% / 4x AA를 적용했을 시에는 4~9% 정도 차이가 생긴다.



B. DOOM 3 1.3 / HALF-LIFE 2 / Far Cry 1.31















































▲ DOOM 3 1.3 테스트 결과 (demo1, Medium Qualtiy)

































▲ DOOM 3 1.3 화질 설정별 테스트 결과

(demo1, Medium or Ultra Quality)


[DOOM 3 1.3]



 대표적인 nVIDIA 친화적(?)인 게임인 둠 3(DOOM 3)에서의 초당 프레임 측정 결과는 위와 같다. AA를 셋팅하지 않는다면 1024 x 768에서는 물론이고 대부분의 19" 이하 LCD의 최적 해상도인 1280 x 1024에서도 30 fps 중반 이상의 꽤 쾌적한 상태로 게임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보급형 제품이다 보니, 4x AA 적용시에는 노멀 상태와 비교해 50~60% 이상의 급격한 프레임 하락이 발생한다. 아쉽게도 이 부분에 있어서만큼은 성능상 경쟁 제품이랄 수 있는 ATI의 Radeon X700 시리즈에 못미치는게 사실.

 Radeon X700에서는 4x AA 적용시, 노멀 상태와 비교해 40~50% 정도의 프레임 하락이 나타난다(X700의 '픽셀 파이프라인 / 버텍스 파이프라인' 수는 각각 '8개 / 6개'로 6600 보다 버텍스 파이프라인이 2배 많음).



 한편 위 차트에 나타난 컴리드 '6600 256MB (3.3ns)'와 '6600ST 128MB (4.0ns)'간의 성능 차이는 노멀 상태에서 2.10 ~ 4.07%, 4x AA 상태에서 4.12 ~ 9.73 %로 AquaMark 3 테스트 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아무래도 메모리 용량 보다는 메모리 클럭 차이에 따른 결과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



 하나 더 언급하자면 이번 DOOM 3 비교 테스트는 Medium Quality 화질 설정에서 진행되었지만, 위 두 번째 차트의 결과에서 보듯 최고 화질인 Ultra Quality로 셋팅하더라도 초당 프레임 하락폭은 해상도별로 3~4 프레임에 지나지 않으므로 이 부분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듯 하다.















































▲ HALF-LIFE 2 테스트 결과 (Custom Timedemo, All Video Option High)

































▲ Far Cry 1.31 테스트 결과 (Tech Report - Regulator map, Maximum Detail)


[HALF-LIFE 2]



 그 화질을 생각하면 놀랄만큼 시스템 요구 사항이 낮은 게임인 '하프라이프 2(HALF-LIFE 2)'는 AA를 적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1600 x 1200의 고해상도까지, 4x AA를 적용한다 하더라도 1280 x 1024 해상도까지는 6600 시리즈를 이용해 40fps 이상의 아주 시원한 속도로 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이번에도 비교 테스트의 두 제품은 고해상도 및 4x AA 조건에서 성능차가 조금 더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0~30 프레임 이상에서 초당 2~3 프레임 내외의 차이는 감각적으로 인지하기 쉽지 않으므로, 절대적으로 보면 큰 차이라 하긴 어렵다.



[Far Cry 1.31]



 이미 출시된지 1년 6개월이나 지났지만 '파크라이(Far Cry)'는 여전히 뛰어나면서도 독특한 게임 화질로 정평이 난 게임이다.

 그러한 명성 덕분인지 노멀 6600에게는 그리 녹녹한 상대(?)가 아닌데, Maximim Detail 적용시 끊김이 감지되지 않는 화면으로 플레이 가능한 해상도가 1024 x 768 정도에 그치고 있다. 둠 3에서와 마찬가지로 앤티엘리어싱을 걸어주면 프레임 하락이 급격하게 발생하는 점도 또한 좀 아쉬운 부분.









































▲ Far Cry 1.31 HDR 옵션 적용별 테스트 결과

(Tech Report - Regulator map, Maximum Detail)


 한편 Far Cry 1.3 이후 패치부터는 HDR(High Dynamic Range)이 적용 가능하므로, 이 부분에 관한 테스트 결과도 넣어봤다. 하지만 6600이 보급형 레벨에 속하는 제품이어서인지 그 결과는 썩 신통치 않은데, 1024 x 768에서도 갓 20 프레임을 넘길 정도로 오히려 4x AA 적용시보다 속도가 떨어진다.



 그래도 아래 비교 사진에서 보듯 보다 화사한 느낌의 '빛' 표현(아래 사진에서 하늘, 다리 난간 부분에 살짝 비치는 달빛의 플레어 현상 표현, 피스톨 및 가죽 장갑에 반사된 빛 표현 등을 유의해 볼 것)이 이루어내는 아름다운 화면만은 일품이다. 다만 그 표현이 좀 지나쳐서 오버(?)스러운 면이 없지 않은데, 아무리 보름달이라고 해도 겨우 달빛에 지나지 않는데 태양광만큼의 플레어 표현은 좀 심한게 아닌가 싶다 ^^;





















▲ HDR 미적용시 게임 화면






▲ HDR Level 7 적용시 게임 화면









■ 오버클러킹(Overclocking) 테스트



 이번 '컴리드 6600 PCI-E 256MB (3.3ns)' 오버클러킹 테스트에는 쿨빗(coolbits) 레지스트리 개조 후 '최적 주파수 감지' 기능을 이용하는 대신, 최근 버전부터 nVIDIA의 GeForce VGA들도 함께 지원하게 된 ATITool을 사용했다.

















▲ ATITool 0.25 Beta 8 : 최종 셋팅 클럭

- 코어 : 300.00 MHz -> 420.00 MHz (약 40% 오버클러킹)

- 메모리 : 550.00 GHz -> 620.58 MHz (약 13% 오버클러킹)


 ATITool 0.25 Beta 8을 통해 검출해낸 최고 클럭은 [코어 -> 약 429 MHz / 메모리 -> 약 630 MHz] 정도였고, 최종적으로는 오버 후의 안정성을 기하기 위해 앞서 검출된 클럭에서 각각 10 MHz 정도 낮춘 [420 / 620 MHz]로 맞추었다.

 이 클럭 셋팅에서 안정성 검증을 위해 실시한 'Scan For Artifact' 테스트를 10분 이상 오류 없이 통과할 수 있었고, 3DMark 및 다른 게임 테스트시에도 이상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노멀 클럭 대비 오버클러킹 폭을 따져보면 코어가 약 40%, 메모리가 약 13% 상승한 것으로 역시나 6600이다 싶게 상당히 큰 폭의 오버클러킹이 가능했다. 3.3ns 메모리를 장착한 제품임에도 최종 메모리 클럭을 3.3ns 메모리의 스펙상 최고 클럭인 600 MHz에서 겨우 20 MHz 정도만 더 올릴 수 있었다는 점이 좀 아쉽긴 하다.



 한편 비교 테스트 제품인 '컴리드 6600ST PCI-E 128MB (4.0ns)'는 '코어 435 MHz / 메모리 590 MHz'로 오버클러킹이 가능했는데, 이번 리뷰 제품인 6600 PCI-E 256MB (3.3ns)와 비교하면 코어 클럭은 15 MHz 높지만, 대신 메모리 클럭은 30 MHz가 낮다. 이것이 테스트 결과에서는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확인해보자.















































▲ 오버클러킹 後 (300 / 500 MHz -> 420 / 620 MHz)

3DMark03 (Build 3.6.0) 테스트 결과

































▲ 오버클러킹 後 (300 / 550 MHz -> 420 / 620 MHz)

3DMark05 (Build 1.2.0) 테스트 결과


 오버클러킹 후 테스트 결과를 보면 3Mark05에서는 6600 PCI-E 256MB (3.3ns)가 여전히 약간씩 앞서고 있긴 하다. 그렇지만, 6600ST PCI-E 128MB (4.0ns)가 15 MHz 높은 코어 클럭으로 30 MHz 낮은 메모리 클럭에서 모자라는 부분을 상쇄해버렸는지, 노멀 클럭에서의 스코어 차이와 비교해 그 폭을 꽤 줄이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3DMark03에서는 두 제품의 성능차이가 1~2% 내외에 그치고 있다.



 그리고 역시나 메모리 클럭보다는 코어 클럭의 위력이 더 센 것인지, 두 3DMark 테스트 모두에서 고해상도로 갈수록 각 제품간의 스코어차가 얼마 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 오버클러킹 後 (300 / 550 MHz -> 420 / 620 MHz)

DOOM 3 1.3.1 테스트 결과 (demo1, Medium Detail)

































▲ 오버클러킹 後 (300 / 550 MHz -> 420 / 620 MHz)

HALF-LIFE 2 테스트 결과 (Custom Timedemo, All Video Option High)

































▲ 오버클러킹 後 (300 / 550 MHz -> 420 / 620 MHz)

Far Cry 1.31 테스트 결과 (Tech Report - Regulator map, Maximum Detail)


 하프라이프 2의 경우 1024 x 768 해상도에서 CPU 리미트로 생각되는 문제로 인해 72~73 fps 이상을 돌파하지 못한 것을 예외로 하면, 두 GeForce 6600 VGA 제품들 모두 오버클러킹을 통해 테스트에 동원된 전 게임에서 해상도별에 따라 10~20% 이상의 퍼포먼스 향상을 이뤄내고 있다. 특히 1600 x 1200에서는 7~10 프레임 가까이나 속도가 올라감으로써, 각 게임의 '플레이 가능 해상도(playable resolution)' 역시 한 레벨씩 상승했다.



 또 한 가지 주목해볼 것은 앞서 본 3DMark 테스트에서와 마찬가지로 고해상도로 갈수록 두 제품의 성능 차이가 줄어든다는 점이다. 특히 1600 x 1200 해상도에서는 거의 측정 오차에 비등한 수준까지 근접해 있다.



 이번에도 코어 클럭의 15 MHz 차이가 그 두 배인 메모리 클럭의 30 MHz 차이를 상쇄하고 있는 셈인데, 이는 결국 적어도 1280 x 1024 이상의 고해상도에서 보다 빠른 3D 성능은 메모리보다는 코어에 더욱 크게 좌우됨을 다시 한 번 입증하는 결과라 하겠다.







■ 결론






 우선 하나 확실한 점은 이번에 살펴본 '컴리드(COMRADE) 6600 PCI-E 256MB (3.3ns)'가 4.0ns 메모리를 장착한 여느 6600 128MB / 256MB 제품들보다는 기본 클럭에서의 퍼포먼스가 해상도별로3~10% 정도 뛰어나다는 것이다.



 물론 오버클러킹이 각 제품에서 어느 정도로 가능하느냐에 따라 성능 역전이 생길수도 있겠지만, 다들 공감하다시피 오버클러킹은 운과 변수가 너무나 크게 작용하는 사안이므로 논외로 두는 것이 옳다(그리고 오버클러킹이라는 요소를 감안한다고 할 때에도, 3.3ns 메모리의 이 제품이 상대적인 강점을 가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불리할 것은 없다).



 이 제품에서 더욱 주목되는 점은 이번 리뷰 서두에서도 언급했듯 안정성 부분이 아닐까 싶다. 보다 양질의 부품으로 구성된 전원부나 메모리 방열판의 장착 등은 비록 눈에 보이는 수치로서 실증 가능한 부분은 아니지만, 제품의 내구성 문제나 다양한 사용 환경에 대한 적응성 면에서 여느 저가형 제품들과는 차별화되는게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미 6600 제품군의 가격들이 전반적으로 너무 많이 하락했다는 점이 이 제품의 발목을 잡지 않을까 싶다.



 현재 이 제품의 판매가는 11만원 선으로, (2.0ns 128MB 메모리를 장착함으로써 1GHz까지도 클럭 설정이 가능해, 더욱 높은 성능을 발휘해줄 수 있는) 6600 변종 중 가장 저렴한 축에 속하는 제품들과 비교해 가격 차이가 1~2만원 내외에 지나지 않는다.

 물론 변종 제품은 아직 오버클러킹의 안정성과 그것이 제품 수명에 끼치는 영향이 수 년 이상의 긴 시간에 걸친 테스트를 통해 완전한 검증이 이루어지진 않았지만, 어쨌든 단순히 3D 퍼포먼스만 놓고 보면 가격대 성능비에서 노멀 6600 제품이 변종 제품을 앞서긴 어렵다.



 그러나 현재 3.3ns의 256MB 메모리를 갖춘 노멀 6600 제품들 가운데서는 분명 이 컴리드 제품이 가장 저렴한게 사실이고, 앞서 살펴본 것처럼 부품 구성이나 쿨러의 정숙성 등 전체적인 퀄리티 역시 동급 제품들 중 최상급에 속한다.



 그래서 변종 제품(6600 GE)의 오버클러킹 안정성에 대해 심리적 반감을 가지고 있고, 보다 안정적인 전원부 및 대용량 버퍼 메모리 장착에 더욱 큰 의미를 부여하는 이들에게는 이 제품이 분명 나름의 의미를 가질 수 있지 않을까 본다. 사견으로는 3D 성능에만 주로 포커스를 맞추고 제품을 구입해가는 일반 개인 사용자들 보다는, 긴 A/S 기간이나 제품의 안정성과 같은 사항에 더욱 큰 무게를 두는 업소용 PC 등에서 한결 매력있는 제품이 아닐까 싶다.





2005-10-18 18:08:10
1949 번 읽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