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삼성전자, 19인치 광색역 LCD 모니터 CX930B

 

이미 LCD 기술이 각 회사를 막론하고 완숙기에 접어들어 상향평준화 되면서, 제조사들은 이제 다른 방향으로 기술적 우위를 점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 방향 중 하나인 광 시야각 패널과 대형 와이드 패널 영역은 이미 상당히 발전된 상태이며, 최근에는 디지털 LCD TV를 시작으로 명암비와 색재현율 같은 화질에 관련한 기술들을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한 화질향상을 위한 기술들이 TV 계열에서 먼저 도입된 후 이제 PC 모니터용 LCD 패널에도 적용이 되기 시작했다. 새로운 패널의 생산에 맞춰 삼성에서는 NTSC 규격 대비 97%의 색재현율과 2000:1의 명암비, 2ms의 응답속도를 내세운 CX930B를 출시할 예정이다.

그 동안의 PC용 TN계열 패널들이 72% 전후의 색재현율과 700:1 전후의 명암비, 8ms 전후의 응답속도를 보여왔던 것과 비교해 보면 스펙상으로 확실한 우위를 보이고 있는 셈이다.

▲ 삼성 SyncMasterMagic CX930B

화면크기 :  19인치
픽셀피치(mm) :  0.294
최대해상도(pixel) :  1280 x 1024

밝기 :  250cd/m²
명암비 :  2000 : 1
시야각 :  상하/좌우 160도
응답속도 :  2ms

Plug & Play :  DDC 2B
입력신호 :  Analog RGB / DVI Digital Link
소비전력 :  최대 38W
대기전력 :  1W  미만
제품크기(mm, WxHxD) : 422.7 X 427.9  X 219.3
무게 :  5.5Kg

▲ 삼성 SyncMasterMagic CX930B 스펙

Design

▲ 구성물품

D-SUB 케이블 / DVI-D 케이블 / AC 전원선 / 번들 CD / 모니터 주의사항 안내 / 모니터 설치 안내 / 제품보증서로 구성되어 있다. 

▲ 분리형 스탠드 및 조립안내서

CX930B는 최근의 다른 삼성 제품들과는 다르게 스탠드부가 바닥 지지대 부분이 분리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조립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 조립을 위한 간단한 안내서도 같이 제공된다.  

▲ 전면 

▲ 전면 디테일뷰

색재현율을 획기적으로 높인 제품인 만큼 처음 포장을 뜯어보면 97% 색재현율을 강조하는 부착물과 베젤 우측 상단의 Color Innovation이라는 문구로 화질적 성능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의 삼성 제품들이 그렇듯이 CX930B도 모던한 느낌의 광택재질의 소재를 베젤에 사용하였으며 모서리 부분들을 둥글둥글하게 만들어 지나치게 딱딱하게 보일 수 있는 외관을 완곡하게 만들어주고 있다.  

▲ 후면 

▲ 후면 덮개를 벗긴 모습  

▲ RoHS 인증

뒷면은 회사 사무실의 개방된 책상 같은 곳에 올려놓아도 지저분하게 보이지 않도록 단자부 쪽에 덮개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덮개를 열어보면 RoHS 인증 스티커를 발견할 수 있는데, 최근 전자기기 영역에서 친환경 제품이라는 코드가 부각되면서 모니터에서도 RoHS 인증을 받기 시작한 듯 하다. 필자 개인적으로는 RoHS 인증을 받은 모니터를 직접 접해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측면  

▲ 스탠드 움직임 각도

분리된 형태의 스탠드를 가지고 있는 것과 더불어, CX930B는 모니터의 각도조절이 화면을 상하로 움직이는 정도의 기본적인 움직임만이 가능하다. 이런 점들로 미루어 볼 때 CX930B는 삼성의 최고급 라인업이라기 보다는 새로운 패널과 화질에 중점을 둔 제품으로 판단된다.

Software

▲ 번들CD의 자동실행 화면 - 설치도중 안내화면

▲ 번들CD의 자동실행 화면 - 설치직후 안내화면 

▲ 삼성모니터 도우미 

▲ 사용자 설명서 메인 화면

기본적인 CD의 패키징 내용은 두 종류의 메뉴얼과 드라이버, 화면 최적화 유틸리티, 전용 번들 유틸리티 등 삼성의 다른 모니터들과 비슷한 구성이다. CX930B는 피벗이 되지 않는 제품이기에 자동 피벗 유틸리티는 빠져있으며, Print Viewer라는 새로운 유틸리티가 추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사용 설명서 - PDF

▲ 사용 설명서 - HTML

기본적으로 인쇄되어 제공되는 설명서는 범용 설명서이기에 CX930B 모니터에 대한 자세한 안내는 CD의 설명을 참고하면 된다. 설명서는 HTML과 PDF의 두 가지 방식으로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보기에 편한 방식을 골라서 보면 된다.

▲ 자동 최적화면 설정 프로그램 - 모니터 선택 

▲ 자동 최적화면 설정 프로그램 - 화면설정

드라이버 설치는 자동 최적화면 설정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초보자도 충분히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드라이버 설치와 함께 화면 해상도 최적화까지도 도와준다. 

▲ MagicTune - 밝기 

▲ MagicTune - MagicBright 

▲ MagicTune - Color Innovation 

▲ OSD 메뉴 

최근 삼성 고급 라인업 제품들이 MagicTune 프로그램을 통한 PC용 소프트웨어 컨트롤만으로 모니터의 설정을 바꿀 수 있음에 비해 CX930B는 모니터 자체 OSD도 동시에 지원하고 있다.

이전의 화질향상 기능이었던 MagicColor 기능은 CX930B에서는 Color Innovation이라는 메뉴로 대체되었으며, RTA(Response Time Accelerator)라고 하는 CX930B에 적용된 응답속도 향상 기술을 켜고 끌 수 있는 메뉴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 Natutal Color

Natural Color는 모니터 화면과 인쇄물의 색감을 동일하게 맞출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유틸리티이다. 전문장비 없이도 색감을 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전문장비 없이 눈으로만 색감을 맞춘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므로 사실 큰 효용성이 없다고도 할 수 있으나, 일단 전문작업 용도가 아니라면 환경에 따라서는 충분히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한 유틸리티이다. 

▲ Print Viewer

CX930B에서부터 새롭게 추가된 Print Viewer는 모니터와 프린터의 컬러 프로파일 정보 및 광원 정보를 조합하여 프린터의 출력 결과물이 실제로 어떻게 나올지 시뮬레이션을 해서 보여주는 유틸리티이다.

색재현율을 높인 제품이니만큼 향상된 색재현율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기 위한 고민을 삼성에서도 많이 했음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Performance

*

앞으로 나올 모니터 출력화면 자체를 촬영한 사진들은 실제 육안으로 보는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CX930B의 성능에 대해 알아보기 이전에 우선 어떻게 CX930B가 97%에 달하는 색재현율을 달성했는지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 CCFL 백라이트의 구조

일반적으로 LCD 패널에서 사용하는 광원(backlight)을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즉 냉음극형광램프라 일컫는다.

CCFL은 우리가 집에서 사용하는 형광등과 유사하지만 열을 발산하지 않는다는 것이 특징으로, 조명으로 사용하는 형광등을 매우 날씬하게 만들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CCFL은 전력소모가 적고, 매우 밝은 백색광을 제공한다는 것이 장점이다.

CCFL에 조금 더 개선된 형광 물질을 사용하여 기존에 제공하던 색 이외의 넓은 영역의 색을 제공하도록 만든 것이 바로 CCFL 97% Wide Color Gamut 모니터이다.  

▲ CIE 1976 상에서의 색 영역 증가 데이터

위의 CCFL 97%는 NTSC 기준(CCFL 100%)의 97%의 영역을 표현함을 일컫는 것인데, 여기서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s Committee)란 미국 NTSC TV 방송규격으로 Display제품, 각종 방송장비 및 영상신호레벨에 대한 표준 규격으로 사용된다. (LCD Monitor의 색재현 면적이 NTSC 대비 82%란 것은 NTSC 규격의 R,G,B의 색 재현 면적에 대비하여 82% 면적을 가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97% NTSC라는 것은 NTSC 색 영역의 대부분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으로 그 동안 많은 사람들이 일반적인 CCFL LCD 모니터의 단점으로 들어왔던 NTSC 기준 82%의 낮은 색 재현 면적(색의 깊이와 다양성 부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색 영역이 넓어짐으로써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Color를 구현하여 좀 더 깊고 선명한 색상이 표현되는 것이 CCFL 97% 모니터의 장점이다.  

▲ 색재현율 증가에 따른 발색의 차이 (좌 : 일반 모니터, 우 : CX930B)

Wide Color Gamut 제품은 특별히 적색과 녹색의 색 재현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빨간색을 더 빨갛게, 녹색을 더 깊은 녹색으로 표현하여, 화면 영상의 생동감을 높인다. 기존 LCD Panel의 한계로 인하여, LCD 제품에서 볼 수 없었던, 강렬하고, 아름다운 자연의 색을 CCFL 97% Wide Color Gamut 모니터로 즐길 수 있다.

실제로 CX930B는 기존에 리뷰를 진행하면서 사진을 촬영하던 설정으로는 색이 너무 강렬하게 표현되어서 설정치를 살짝 조절해야 했을 정도로 색감이 강렬하게 표현되었다.  

▲ Color Innovation - Brilliant

▲ Color Innovation - Mild 

▲ Color Innovation- Off

CX930B는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색감을 조절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MagicColor 기능 대신에 도입된 Color Innovation 기능이다. Brilliant 설정은 선명하고 뚜렷한 화면을, Mild 설정은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화면을 제공한다.  

▲ 기본설정 상태 

▲ 보정 후 - 디지털 입력 

▲ 보정 후 - 아날로그 입력

CX930B는 기본 설정으로는 명부 계조가 무너지고 화면에 지나치게 푸른 끼가 도는 관계로, 필자 임의로 설정을 약간 보정하였다.

본 리뷰에서 촬영된 사진들은 필자가 임의로 설정한 값 하에서 촬영된 것이다. DVI와 D-SUB 간의 화질차이는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잘 억제하였지만 기본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점은 약간 아쉬움으로 남는다.  

▲ MagicBright - 사용자 조정 

▲ MagicBright - 문자 

▲ MagicBright - 인터넷

▲ MagicBright - 게임

▲ MagicBright - 스포츠 

▲ MagicBright - 영화 

▲ MagicBright - 자동 명암 조정 

사용상황에 따라 화면의 밝기와 화이트밸런스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MagicBright 기능에서 제공되는 프리셋은 기존 문자/인터넷/게임/스포츠/영화에 더해 새롭게 자동 명암 조정 기능이 추가되어 총 6개가 되었다.

문자/인터넷 프리셋은 글을 읽기 쉽도록 화면을 어둡게 만들어주며 인터넷 프리셋의 경우엔 이미지를 보는 경우를 고려하여 Text 프리셋보다 색감이 좀 더 진하게 설정되어 있다.

게임/스포츠/영화 프리셋은 화면이 밝고 색상이 진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각각 특정 색상이 더 강조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새롭게 추가된 자동 명암 조정 기능은 현재 출력되고 있는 화면에 맞춰 모니터가 자동으로 최적의 명암을 찾아내는 기능으로, 일반적으로 이런 기능은 오작동이 많은 것이 보통이지만 그런 우려와는 잘 작동됨을 확인하였다.  

▲ 감마 모드1 

▲ 감마 모드2 

▲ 감마 모드3

감마 조절은 최근의 다른 삼성 모니터들과 마찬가지로 기본/감마낮춤/감마높임 정도의 3가지 설정치를 제공하고 있다.  

▲ 시야각 - 상단

▲ 시야각 - 하단

▲ 시야각 - 측면

시야각 특성은 TN패널 특유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추후에는 광 시야각 패널에서도 색재현율을 높인 패널이 출시되기를 기대해 분다.  

▲ 계조 테스트 (사진은 계조구분성 패턴) 

▲ 화면균일도 테스트

색재현율과 명암비를 높인 패널이긴 하지만 CX930B의 계조특성은 다소 실망스러웠다. 화면을 강렬하게 표현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확실하게 성공하였으나 계조까지는 아직 미처 신경을 쓰지 못한 것이 아닌가 한다.

차기 제품에서는 개선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화면균일도는 무난한 편이였는데, 리뷰의 사진에서 상단이 어둡게 보이는 것은 TN패널에서 하단이 반전되는 시야각 특성 때문이다. 화면균일도는 제품간에 편차가 있는 부분이므로 사진은 참고 정도로만 보시기 바란다.  

▲ 응답속도 테스트 (좌 : RTA Off, 우 : RTA On)

CX930B는 응답속도가 빠른 TN패널에 RTA(Response Time Accelerator)라고 하는 추가적인 오버드라이브 기술을 적용하여 응답속도를 2ms까지 낮추었다.

물론 기본적으로 TN패널은 오버드라이브를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한 응답속도가 보장되기에 RTA를 사용한다고 해서 체감적으로 응답속도가 확실하게 줄어드는 것은 아니지만, 심리적인 만족감 및 TN패널의 단점인 느린 미드톤 응답속도의 향상은 분명히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다.

Epilogue

▲ 삼성 SyncMasterMagic CX930B

CX930B는 광색역 패널을 장착한 시험비적인 모델로서, 앞으로의 광색역 패널의 가능성에 대해 충분한 대답을 보여준 제품이다. 명암비가 높은 덕분도 있었지만 CX930B는 촬영하는 카메라에서 따라가지 못할 정도의 강렬한 발색으로 필자를 놀라게 했다.

사실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색재현율도 80% 수준이니 본 리뷰에 실린 사진들이 CX930B의 진짜 실력을 계측 데이터가 아닌 실제적인 사진으로는 100% 보여드리지 못해 아쉬움마저 남을 따름이다. 여담이지만 광색역 모니터가 일반화 되면 디지털 카메라 계열에서도 광색역 소자가 일반화되지 않을까 하는 예상을 해본다.

가격은 출시가가 40만원대 초반으로 예정되어 있어, 제품의 특화된 성능에 비하면 크게 무리가 느껴지는 가격은 아니다. 물론 이제 시작인 광색역 패널 제품군 이기에 앞으로 광색역 패널이 보편화 되면 지금의 일반 패널 제품군 가격으로 광색역 패널 제품군을 접해볼 날이 그렇게 멀지 않을 것이다.

*


*

본 리뷰는 동일 모델을 여러 대를 가지고 테스트한 것이 아닌 불 특정의 1대만을 가지고 테스트한 결과이므로 동일 모델의 불 특정한 다른 제품을 본 리뷰와 비교했을 경우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본 리뷰에서 인용한 시장 가격에 대한 정보는 2006년 8월초를 기준으로 합니다. 

 



노랑머리
2006-08-21 18:44:06
7927 번 읽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