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낙동강 취수장은 옮길 곳조차 없다

 

대운하 건설로 상류 이전 못해 고심
지리산댐 건설 등 검토 반발 부를듯


낙동강에 운하를 건설하면, 영남권에 사는 1200만 주민들도 당장 먹는 물을 걱정할 처지에 놓인다.

우선, 지금처럼 낙동강 물을 그대로 취수해서 먹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운하 착공에 앞서 낙동강 19곳에 흩어져 있는 취수원을 옮기거나 대체 수원을 찾아야 한다. 취수원 이전은 하류 쪽 취수원을 상류로 옮기는 방법이 유일하다. 하지만 대운하가 건설되면 낙동강 상류가 한강과 이어지는 탓에 취수원을 상류로 이전할 수 없다.

실제로 대구시는 지난해부터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맡겨 낙동강 취수원을 현재 대구 달성군보다 상류인 경북 구미시 선산읍 쪽으로 옮기는 방안을 연구했으나, 최근 운하 건설 논의가 시작되면서 이전 계획을 백지화했다. 이현동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취수원을 상류로 옮기는 안을 놓고 29차례나 시뮬레이션을 했는데 대운하 변수가 생기면서 취수원 이전은 어렵게 돼, 대체 수원을 마련하는 쪽으로 연구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영남권에서 필요한 하루 500만t을 공급할 대체 수원을 확보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부산발전연구원이 내놓은 대체 수원 확보 방안을 보면, 합천댐 이용, 지리산댐 건설, 지하수 활용, 강변 여과수 활용 등 9가지 방안이다. 이를 모두 활용하면 부산의 하루 최대 물 수요량 160만t(2016년)을 대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부산의 한 상수원 연구자는 “제시된 안이 다 실현된다면 부산시 물 공급에는 문제가 없겠지만, (수몰지구를 필요로 하는)신규댐 건설 등은 거센 반대가 예상돼 추진에 어려움이 클 것”이라며 “현재 가능한 모든 방안을 연구해 봤기 때문에 대운하를 전제로 다시 연구해도 이보다 합리적인 대안을 찾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낙동강 하류에 있는 부산시나 경남지역은 상류지역의 오염 위험에 대비해 대체수원을 확보하려고 20년 넘게 꾸준한 연구를 계속했다.

특히, 한반도 운하를 추진하는 쪽에서 내놓은 강변 여과식 취수방식은 간접취수를 물 공급 대안으로 적극 주장하는 쪽에서조차 낙동강에 적용할 수 없다고 못박는다.

김승현 영남대 교수(환경공학)는 “현재 논란이 되는 독일식 강변 여과 방식은 우리 환경에 맞지 않고, 강변 여과 방식보다 강 가까이 수평집수정을 설치하는 하상 여과 방식도 낙동강을 준설하면 적용할 수 없다”며 “네덜란드식 홍수터 인공함양방식을 쓰면 충분한 물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물을 뿌려서 모래층을 통과하도록 한뒤 취수하는 홍수터 인공함양방식은 아직 국내에서 적용해 본 적이 없다. 대구/박주희 기자 hope@hani.co.kr



치세
2008-01-21 20:13:06
610 번 읽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