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자율화 대 평준화

 
밑에 천년바위님 글 잘 읽었습니다. 하지만 몇가지 면에서 천년바위님과는 다른 생각입니다.
자율화에 의해 공부 잘하는 학생을 추려내어 많은 사람을 먹여살리게 하자? 원칙적으로는 좋은 생각이죠. 몇가지 조건만 충족된다면 말입니다.

첫째로, 자율화에 필요한 첫번째 조건은 '공정한 경쟁'입니다. 모든 학생들이 공정하게 경쟁하여 승자를 가릴 수 있는 자율화라면 저도 찬성입니다. 그런데 현실은 어떨까요?
부잣집 둔재는 매년 수천만원씩 사교육비를 쏟아붓는 한편 가난한집 천재는 이미 붕괴되어가는 공교육에 의존할 수밖에 없습니다. 과연 공정한 대결이 가능할까요?
혹시나 교육받지 못한 천재보다 교육받은 둔재가 훨씬 낫다는 반론이 나올지도 모르겠군요. 이것이 두번째 문제입니다.

둘째로는 사교육을 받더라도 '제대로된 사교육'이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과연 우리나라 사교육이 제대로된 사교육일까요?
도형의 ㅤㄴㅓㅀ이에 대해 가르칠 때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네모의 넒이는 가로 곱하기 세로다, 외워라'하는 방법, 그리고 '이 네모 속에는 가로세로 1cm짜리 네모가 몇개나 들어갈 수 있을까?'하는 것이죠.
두번째 방법은 나중에 다른 여러가지 도형에 응용할 수 있지만 속도가 느립니다. 첫번째 방법은 빠른 대신 다른 도형으로의 응용이 힘ㅤㄷㅡㄼ니다.
사교육에서 가르치는 방법이 첫번째 방법입니다. 기초부터 차근차근 쌓는 것이 아니라 일단 대학만 들어가라고 문제푸는 요령을 가르치는 것 말입니다. 4개 또는 5개의 보기 중에서 정답을 찍는 방법만 배운 학생이 나중에 많은 사람을 먹여살릴 수 있는 인재로 자랄 수 있을까요?

예전에 떠돌던 우스개소리중에 '한국에 태어난 아인슈타인' 이야기가 있습니다. 수학과 물리학 이외에는 관심조차 없었던 아인슈타인과, 하루 몇시간씩 사교육으로 답을 찍는 방법을 배운 부잣집 아들을 경쟁시킨다면, 우리나라에서는 누가 경쟁에서 이길까요?



2008-07-16 15:35:51
831 번 읽음
  총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천년바위 '08.7.18 4:43 PM 신고
    답글입니다
    위에 질문하신 첫 번째는 공정한 경쟁을 치르려면 현 교육 방법으로는 어림 없는 소리 입니다 그래서

    교사평가제를 도입해야 공교육이 살아날수 있겠죠

    교사의 역활이 학생교육에 가장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 보구요 성적만으로 평가 하는 방법외에

    학교 교육여건, 교사들의 학습에 대한 태도 그로인한 학생들의 학습 집중도 향상 등 많은 부분을 평가 해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학교 정상화가 먼저 이루어 질려면 지금의 평준화는 없에야 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위에 말씀하셨듯이 돈많은 자녀들은 년 수천만원 들여 가면서 공부하는게 유리한 현 교육 방법으로는 진정한

    공교육 정상화는 힘들겠죠 공교육이 정상화 되었다면 굳이 엄청난 과외비를 들여 괴외교육을 시킬 필요가 있겠습니까?

    따라서 현제 공교육이 무너져 생긴 문제라고 보는 것이구요 그것을 해결 하려면 학교선택제가 불가피 한것입니다

    두번째 질문은 깊이 있는 교육과 개인의 특성을 살려야 한다는 취지로 보는데

    현제 입시 시험이 객관식이 대부분이죠

    그것은 누가 정답을 많이 맞추는가에 시험 점수가 나오는 것이죠

    내신제도 때문에 3개월에 한번씩 오는 시험이 상당히 중요한 시험이라는것은 아실 것입니다

    당장 시험한번 망치면 상위권 교등학교나 대학 가기 어렵게 만들어 내신을 무시할수 없는 형편인 것입니다

    아무리 기초가 튼튼해도 내신 점수가 나뿌면 상위권 학교에 진학 할수 없게 만든 것이기에

    상위권 대학과 교등학교의 프리미엄을 알기에 학생들과 학부모, 교사는 상위권 학교로 입학을

    목적으로 무리를 해서라도 과외를 받는게 아닐까요??

    따라서 기초가 튼튼한 학생들을 배출하려면 지금 내신을 없에고 교사평가제도도 도입해야 하며 학교 선택권도

    주고 무능한 교사도 퇴출 시켜야 합니다

    그리고 무었보다 상위권 학교로 진학할때 입학 시험을 기초학력이 튼튼한 학생들을 선발 하도록

    시험을 바꿔야 이 문제를 해결이 될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입학 시험을 바꾸면 학교는 더 많은 학생들을 더 좋은 학교로 진학 시키기 위해서 기초학력이 튼튼한 학생들을 배출 하려 할것입니다 ↓댓글에댓글
    • 1. 참솔 '08.7.20 3:37 AM 신고
      그러니까 '기초학력이 튼튼한 학생들을 선발하도록' 시험부터 바꾸어 놓고 평준화를 폐지해야 한다니까요, 평준화부터 폐지해 놓고 시험을 바꾸기를 기다리는 것은, 미국 쇠고기부터 제한없이 수입해 놓고 FTA비준을 기다리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