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하지정맥류.] 다리가 붓고 누르면 푹 들어갈 때

 
많은 여성들이 고민하는 종아리와 허벅지 부종.
하지정맥류의 대표적인 증세로도 불리는데
증세가 조금만 진전되면 손가락으로 꾹 눌렀을 때
푹- 패여 들어간 채로 복귀도 안되는
웃지못할 일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다리붓기는 그 자체로도 문제이지만
유독 한쪽 다리만 부어오른다거나 색이 변할 정도가 되면
매우 심각한 병이라고 알아차려야 합니다.

다리가 부어오르는 것은 장시간 같은 자세로
서 있거나 앉아서 하체를 움직이지 못하고 있는 탓에
정맥의 혈류압력이 혈장을(핏물) 심장으로 돌려보내기에
지나친 부담을 안게 되는 탓에
원활한 혈액순환이 이루어지지 않고
적혈구 이외의 혈장이 정맥으로 순환되지 못한 채
모세혈관으로 역류해서 종아리나 허벅지 등
말초신경계 혈관 주위의 근육/지방층 등 조직에 쌓이기 때문인데요..

이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정체된 혈장의 영향으로
정맥 내부에까지 혈전이(血栓) 생기고 혈관이 좁아져서
혈액순환은 더욱더 나빠지는 악순환
을 반복하게 됩니다.

그럼, 이러한 다리 부종을 조금이라도 간단하게 해소하려면 어떤 궁리를 내야 할까요?
일본전국 순환계외과의사회에서도 권장하는 운동으로
천정 위를 보고 길게 늘어 누운 자세로
두 다리를 90도 수직으로 들어올리고
한 번에 3분 이상 허공에대고 자전거 굴리기 체조
를 하는 것
이 간단한 운동만으로도 3~4시간어치 움직이지 못해
다리가 붓고 피부가 탄력을 잃어버린 것을 절반이상~¾까지도 회복할 수 있습니다.
하루 2~3회씩 정도를 대강으로 반복해 주세요.

직장이나 지내는 곳의 장소, 형편상 3분간 누워서 운동할 여건도 정 안된다면
앉은 채로 두 발꿈치를 마주대고 짚은 상태에서
발가락 끝을 30초~1분간 발목과의 각도가 90도 이하가 되도록 들어올렸다가
다시 두 발의 발가락 끝을 마주대고 앞 땅을 짚은 채로
발꿈치만 발목과 150~180도 이상 각도가 되도록 들어올리는 운동을
각기 1분 이상을 기준으로
1시간~1시간반에 한 번씩 해주는 것
도 효과가 있습니다.

그런데 발이 부어오르는 증세 가운데
정체된 혈액에 의해 생긴 혈전이 지나치게 축적되서
급기야는 림프관  및 림프절까지 손상시키게 되면 심각한 결과가 초래됩니다.

정맥으로 돌아가야 할 혈장은 물론이고
산소교환을 위해 혈관 밖으로 나왔던 적혈구도 혈관으로 돌아갈 길을 잃어버려서
혈관 밖의 (다리)조직에 갇혀, 계속 굳어져만 가는 지경에 이르는데요.
이렇게 되면 이른바 체조직내 혈전축적이 반복되서

두 다리 또는 한쪽은 괜찮은데 다른 한쪽 다리만 비대칭적으로 코끼리 다리 수준으로
굵어지고 굵어진 다리 및 하체 등 몸집에서 보이는 인상과는 달리
만성적 빈혈증세에 시달리게 되며
급기야는 멀쩡히 살아 있으면서도
다리와 허리 말단 등 말초신경계 조직부터 괴사해(썩어) 들어가는 꼴이 됩니다.
걷기는 커녕 혼자서는 일어나 앉을 수도 없게 되는 건 물론이구요.

처음에는 그냥 다리가 부은 정도겠지 하고 1년, 1년반 이상 방치해 뒀다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증세가 심각해져서 테레비에 보도된
이른바 "코끼리 다리 아줌마"는 의외로 흔해서
이러한 림프절 손상에 의한 다리조직 괴사는 연간 2천명~3천명에게 발생합니다.
괴사해버린 림프절의 조직 비율이 1/2이 넘어버리면 외과적 수술로도
복원은 거의 불가능한 장애자가 되니까 주의를 요하는데요..

그럼 이러한 림프절 손상과
단순히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다리붓기는 무얼 보고 구분할 수 있는가?
우선 많은 경우 한쪽 다리만 발란스가 맞지 않게 유독 굵어지거나
딱히 신경을 다친 일도 없는데, 걸을 때 한쪽 다리가 잘 안따라주는 경우
거기에다 좌우 양 다리의 피부색이 아무래도(분명히) 서로 달라 보이는 경우
이럴 때는 거무스름한/붉은 색을 띠는 다리 쪽의 림프절 손상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림프절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여간한 정형외과 병원에서 초음파 검사를 통해 처방을 상담해 주세요.

출처) 아사히테레비, 건강백과. 2008년 9월19일.

2008-09-20 11:55:25
2300 번 읽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