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일반적인 허브 (더미 허브라고 합니다)로 공유를 하실경우 연결되어 인터넷을 공유하는
컴의 대수 많큼 속도가 떨어집니다. 그이유는 더미허브라는것은 10Mpbs(하프 듀플렉스)로 들어오는
케이블 모뎀의 신호를 신호의 증폭없이 분배하는것이죠..
그에 반해, 스위칭허브는 10Mbps(하프 듀플렉스)로 들어오는 신호를 각포트마다 동일한 속도로
증폭및 분배를 해줍니다.. 즉, 여러대의 컴이 물려있어 사용해도 속도의 저하가 더미허브보다
많이 향상됩니다.. 저는 두대의 컴을 스위칭허브로 물려사용하는데, 두대가 동시에 겜이나
다운로드, 인터넷 스트림 동영상을 보게되더라도 속도의 저하는 0.5메가-1메가 정도입니다..
IP공유기또한 그런 방법을 사용합니다.. IP공유기는 NAT라는 방식을 이용해서 기존의 공인된 IP를
한게받아서 내부적으로 사설아이피(내부 내트워크 비공인 아이피)로 쪼개어 전송하므로서
여러대의 컴이 인터넷을 사용할수 있게해주는 원리인데, 아이피 공유기에 스위칭허브의 기능이
내장된것이 있고, 별도로 스위칭허브를 구입해서 연결해야 하는 기종도 있습니다..
참고로, 모든 인터넷 공유 프로그램이나, 장비를 이용하게되면 공통적으로 공유된 컴들은
비공인사설아이피를 할당받게 되는데, 이런 아이피들은 자체적으로 방화벽의 역활을 하므로
인터넷을 100로 활용할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메신저 프로그램인 지니의 예를 들면 공유된 각 컴끼리 지니를 통하여 파일을 주고 받으려면 에러가 났죠.. (지금은 지니 자체가 업그레이드 되면서 해결되었음) 또한, 버디버디를 사용해도 쪽지나 기타
다른것은 되는데 파일전송이 않되며, 소리바다도 별도로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서버가 되는 컴에 랜카드를 2장 연결해서 공유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크레이지아테이드라는
게임이 잘되나, 허브나, 공유기를 이용하면 크에리지 아케이드 게임같은 게임사용자의 아이피를
가지고 동작하는 방식에 게임은 같은 방에서 동시에 플레이를 할수 없습니다..
이런 문제들은 사성아이피를 할당받아 공유하는 방식에서 기인된것이므로 오류는 아닙니다..
저또한 사이게이트 공유프로그램, 리눅스, 윈게이트, 윈2000 자체 공유등 갖가지 방법을 동원해
공유를 해보았고 벤치를 해보았지만, 100% 완벽한 사용을 지원하는 방법은 아직까지 없습니다.
참고가 되셨는지..
이광준: 우아~ 긴지식인데요 ^^ [04/04-2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