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한통 운영자]ADSL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많은 분들이 속도에 대한 질문이 많아서 제 나름대로 생각하는 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기재 해볼까합니다.


1. 가입자 회선의 상태: 이경우에는 전화국에서 가정집으로 들어오는 전화선의 거리및 동선케이블의 노후화등이 많은 요인들이 됩니다. 전화국 거리나 동선케이블의 노후화가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동선케이블에는 여러가지 현상들이 나타납니다. 거리가 길어지면 저항성분과 인덕터성분및 커패시턴스 성분이 증가함으로써 그만큼 전송대역폭을 제한하게 됩니다. 그리구 동선케이블에는 표피효과,누화등과 같은 여러가지 잡음 효과들이 나타나기때문에 거리가 길어진다면 그 만큼 손실이 많습니다. 솔직히 HDSL(전용선)이 나오기전에는 트위스트 페어케이블(흔히들 동선케이블이라고 합니다.)에 최대 전송용량은 64Kbps로 알고 있었읍니다. 그러나 DSL이 나오면서 동선케이블에도 고주파 대역 전송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발견을 하였죠. 그러나 거리에 따라서 잡음이 많이 생기는 것은 사실입니다. 케이블모뎀과 ADSL의 경우 케이블 모뎀에서 사용하는 동축케이블이 전송 대역폭은 훨씬 많습니다. 그리고 전화국과의 거리는 임의적으로 추정하기는 어렵습니다. 가까운 전화국의 거리는 알기가 어렵습니다. 만일 전화국이 반경 3.5K안에 있다면 해당 전화국에서 서비스될 가능성이 높지만 그 거리를 넘어선다면 분기국사에서 서비스되거나 혹은 인근 아파트 MDF실에서 단독주택으로 서비스되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 하십시오. 그리고 지역이 노후화된 지역일 경우에는 선로역시 노후화 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한 경우에는 생기는 현상은 랙현상이나 끊어짐 현상이 심하게 나타날 경우가 많습니다. 솔직히 한국통신 ADSL의 경우의 장애의 상당부분은 이러한 케이블의 노후화로 인한 장애가 많습니다.
2. 가입자 모뎀의 성능: 모뎀 성능에 따라서 속도도 많이 좌우가 됩니다. 더우기 내장형 모뎀의 경우에는 특정 메인보드와 충돌 문제가 있읍니다. 그리고 외장형에 비하여 내장형 모뎀의 경우에는 성능면에서 조금 떨어지는게 사실입니다. 처음에 가입하실때 내장형 모뎀을 제공하면 가급적 외장형으로 달라고 하십시오. 물론 충돌 없이 정상적으로 잘 되는 내장형모뎀도 있지만 충돌 가능성을 내제하고 있다는 사실을 염두해 두십시오.
3. 랜카드의 성능: 솔직히 랜카드는 가급적 용산에서 구입하시기를 빕니다. 한국통신에서 제공해주는 랜카드의 경우 리얼텍 랜카드인데 솔직히 성능의 차이는 크게 차이나지는 않지만 불량율이 조금 많은 게 사실입니다. 랜카드 불량으로 인하여 속도 저하도 있을 수 있으니 가급적이면 랜카드는 사서 쓰십시오. 용산에서 알아보면 좋은 랜카드도 최대 5만원정도이면 살수 있읍니다. 앞으로 초고속 인터넷을 사용한다면 항상 랜카드는 필요하니 랜카드는 사서 쓰시기를 빕니다. 랜카드 불량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자신이 받은 IP로 핑을 때려서 10ms미만으로 나오면 정상이지만 그 이상 나온다면 한번 의심해볼만 합니다. 아니면 특정카드와 충돌이 있을 경우도 있읍니다.
4. 가입자 컴퓨터의 OS:솔직히 OS레지스트가 정상적이지 못하여 속도가 안나오는 경우가 있읍니다. 이러한 경우 속도가 200Kbps미만이라거나 컴퓨터가 다운이 잘 된다거나 하는 경우에는 한번 의심을 해보십시오. 그리구 OS가 불량이라구 생각하신다면 과감히 날리시길 빕니다. 솔직히 저도 그렇고 여러분들도 win를 제작한 사람들이 아니기에 완전히 복구하기는 조금 힘든 게 사실입니다. 그럴때 가장 좋은 방법이 있죠. 뽀맷... 제 경험에도 정상적인 상태에서 포맷하고나면 속도가 상승하는 게 사실입니다. 그만큼 불필요한 레지스트를 정리가 되니 속도는 올라갑니다.
5. 가입자 컴퓨터: 가입자 컴퓨터도 상당부분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최신형 컴퓨터에서는 속도가 많이 나오는게 사실이거든요. 그 이유는 웹에서는 선로상에 오는 데이터가 압축이 되어 와서 압축을 해제한 후 화면에 뿌려주는데 여기서 사용자 컴퓨터 성능이 조금 좌우가 됩니다.
6. 접속 프로그램: 우선 접속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가장 안정적이라고 하는 Raspppoe를 사용하십시오. 우선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랙현상이나 끊어짐 현상이 많이 감소한다고 합니다.
7. 패치: 솔직히 윈2000의 경우에는 초고속 인터넷에 최적화 되어 있기에 속도가 잘 나오지만 윈98이나 me의 경우에는 전화접속 모뎀위주로 설정되어 있기에 속도가 조금 적게 나옵니다. 그러니 윈98이나 me사용자들은 패치를 사용하여 속도를 업하십시오. 솔직히 패치의 경우에는 다운로드 속도는 증가시키지만 업로드 속도는 떨어진다는 사실은 상기하십시오.
8.전화의 접속방법: ADSL의 경우에는 동선케이블의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고 전화는 저주파대역폭을 사용하기에 이론적으로는 대역폭이 분리되어 있다지만 실질적으로는 영향을 미칩니다. 그래서 우선 설치하는 방법이 메인라인을 찾아 메인 라인을 바로 ADSL모뎀으로 연결하십시오. 그리구 ADSL모뎀후면에 있는 전화단자에서 케이블을 연결한 후 고주파 필터를 설치하여 전화기로 연결하십시오. 물론 이렇게 해도 전화통화중에는 일정부분 영향을 받는게 사실이지만 그래도 평균적으로 속도 향상은 있읍니다.
9. DSLAM포트불량: DSLAM이란 장비는 ADSL모뎀들을 집중화 하여 광(STM1신호)혹은 DS3(45M)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입니다. 그런데 이 장비 포트불량으로 인하여 속도저하가 있을 수 있읍니다.
10. 가입자의 수및 속도측정한 시간: 이 사항은 아주 중요한 사항입니다. 솔직히 나가는 길은 고정이 되어 있는데 갈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면 속도는 당연히 안나오듯이 모든 초고속 인터넷에는 한정된 백본망에 얼마나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을 하느냐에 따라 속도가 많이 좌우됩니다. 특히나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시간(밤 11시부터 새벽1시까지)에 측정한 속도는 최저 속도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아침 5시부터 7시사이에 측정한 속도는 최고속도라고 보시면 될겁니다.
11. 일정시간이 지나면 끊어짐 현상: 이러한 현상은 일단 회선 불량일 경우도 있지만 한국통신의 경우에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접속을 단절시킵니다. 이러한 현상을 제거할려면 자료실-필수자료실-ADSL사용하시는 분들이 끊어짐문제가 있을때. 란에 보면 wakeup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 프로그램을 사용해 보시기를...

어휴 힘들어. 힘들게 쓰고 나니 생각나는게 없네요. 앞으로 더욱더 열심히 공부하여 많은 정보를 제공하겠읍니다.






203.238.255.13 허식: 정말감사합니다 [11/02-13:50]
211.222.236.186 홍영표: 솔직한 내용 많아서 훌륭한글 [01/06-09:18]
211.197.196.159 권필재: 그런데 wake up은 핑을 때려서 인터넷이 안끊어지게 하는데.. 그럼 속도가 떨어지잖아요. ㅡ.ㅡ; 음... ㅡㅡㅋ [01/13-13:11]

written by ()
2001-05-15 00:59:12
3909 번 읽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