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네트워크 연결문제

 
Microsoft Windows 95/98의 네트워크상에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문제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들과 연결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문제 해결에 들어가기 전에 확인할 사항

1. 이전에는 제대로 작동했는데 이제 막 문제가 발생한 경우라면, 그 사이에 환경
설정상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확인합니다.

2. 새로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배선 등이 추가되지는 않았는지 살펴봅니다.
그리고, 추가 사항을 제거했을 때 문제점도 같이 사라지는지 봅니다.

3. 문제가 한 컴퓨터에서만 발생하는지 아니면, 모든 컴퓨터에서 발생하는지
확인합니다.
모든 컴퓨터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배선이나 커넥터에 문제가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하나 또는 일부 컴퓨터에서만 문제가 발생한다면, 해당
컴퓨터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문제일 것입니다.

4. 네트워크 어댑터가 자료의 송/수신 연결상태를 알려주는 표시등을 갖추고 있는지
확인하고 제대로 깜박이는지 봅니다.


▶ 문제 해결에 들어가기 전에 기본 시스템 파일(Config.sys, Autoexec.bat, System.ini, Win.ini)의 백업 카피를 만들어 놓는 것이 좋습니다.

1. 시작메뉴 → ‘프로그램(P)’ → ‘보조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백업’
2. ‘Microsoft Backup’ 창에서 ‘새로운 백업 작업 만들기(N)’ 버튼을 누르고
‘확인’ 클릭
3. ‘백업 마법사’ 창에서 ‘일부를 선택하여 백업(E)’ 버튼을 누르고 ‘다음(N)>’ 클릭
4. ‘C:’에서 ‘Config.sys, Autoexec.bat’를 체크하고,
‘WINDOWS’에서 ‘System.ini, Win.ini’를 체크한 뒤, ‘다음(N)>’ 클릭
5. ‘선택한 모든 파일(A)’ 버튼을 누르고 ‘다음(N)>’ 클릭
6. 백업 위치를 정하고 ‘다음(N)>’ 클릭
7. 적절한 백업 방법 옵션을 선택하고 ‘다음(N)>’ 클릭
8. 백업 작업의 이름을 지정하고 ‘시작(S)’ 클릭
9. 작업 완료 후 ‘확인’을 클릭하고 백업 작업 종료


▶ 문제 해결
1. 현재 사용하는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하려고 하는 컴퓨터가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가. 시작메뉴 → 설정(S) → 제어판(C) → 네트워크
나. ‘설치된 네트워크 구성 요소(N)’ 박스 내에 ‘Microsoft 네트워크
파일/프린터 공유 프로그램’ 항목이 있는지 확인한 후, 설치되어 있으면
2번 항목으로 넘어가고,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다음 절차를 진행합니다.
다. ‘파일 및 프린터 공유(F)’를 클릭하여 ‘개인 파일 공유(F)’를 누른 뒤,
‘확인’을 두 번 누르고 프롬프터의 지시에 따라 컴퓨터를 재시작합니다.

2. 네트워크 어댑터가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또 다른 하드웨어 장치와 충돌을
일으키지는 않는지 확인합니다.

가. 시작메뉴 → 설정(S) → 제어판(C) → 시스템
나. ‘장치 관리자’ 탭을 눌러 ‘네트워크 어댑터’ 옆에 X표가 있는지 살펴보고,
X표가 있으면 ‘네트워크 어댑터’ 하부에 있는 실제 사용중인 네트워크
어댑터(예 : Realtek RTL8139(A) PCI Fast Ethernet NIC) 항목의 등록
정보로 들어가서 ‘일반’ 탭에 있는 ‘장치 사용’ 란의 ‘이 하드웨어 초기화
파일에서 사용 안함(D)’ 체크 박스가 비워지도록 설정한 뒤,
‘확인’ → ‘닫기’를 누르고 프롬프터에 따라 컴퓨터를 재시작합니다.
(만일, ‘네트워크 어댑터’ 옆에 노란 바탕의 느낌표가 나타난다면,
‘라’ 항목으로 갑니다.)
다. 실제 네트워크 어댑터의 ‘등록 정보’를 봅니다.
라. ‘리소스’ 탭을 클릭하여 ‘인터럽트 요청(IRQ)’, ‘입/출력 범위’,
‘메모리 범위’ 등이 사용중인 네트워크 어댑터에 적합하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마. 리소스 설정을 변경하려면, ‘자동 설정 사용(U)’으로 설정되어 있는
체크 박스를 비웁니다.
바. 네트워크 어댑터용 ‘입/출력 범위’, ‘메모리 범위’ 등을 지정합니다.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사용되는 설정을 모른다면, 몇 가지 다른 설정을
시도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사. ‘확인’을 누르고 재부팅 프롬프터가 뜨면 ‘아니오(N)’를 누릅니다.
아. 시작메뉴 → 시스템 종료(U) → 시스템 종료(S) → ‘확인’을 눌러 컴퓨터
를 잠시(10~15초 정도) 꺼 두었다가 다시 켭니다.

3. Windows 95 사용자라면, 4번 항목은 건너 뛰어도 됩니다. Windows 98 사용자는,
어떤 네트워킹 파일도 손상되거나 교체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시스템 파일 검사기’를 사용합니다.

가. 시작메뉴 → 프로그램(P) → 보조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시스템 정보 로 들어갑니다.
나. ‘도구(T)’ 메뉴에서 ‘시스템 파일 검사기’를 클릭한 후,
‘변경된 파일 검색(R)’을 선택합니다.
다. ‘설정(T)’에서 ‘변경된 파일 검사(H)’와 ‘삭제된 파일 검사(D)’를 모두
체크한 뒤, ‘확인’을 누르고 ‘시작(S)’을 누릅니다.
검사 완료 프롬프터에서 ‘자세히(D)’를 누르면, 시스템 파일 검사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4. Windows 98사용자들은, 네트워크 드라이브가 적절히 로딩되는 것을
방해할 수도 있는 모든 불필요 드라이브들의 기능을 해제하기 위해
시스템 환경 설정 유틸리티를 사용합니다.

가. 시작메뉴 → 프로그램(P) → 보조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시스템 정보로 들어갑니다.
나. ‘도구(T)’ 메뉴에서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를 클릭합니다.
다. ‘일반’ 탭의 ‘시작 설정’에서 ‘선택적인 시스템 시작(S)’을 선택한 후,
다음 체크박스들을 비웁니다.
‘CONFIG.SYS 파일 처리(C)’, ‘AUTOEXEC.BAT 파일 처리(X)’, ‘ WINSTART.BAT 파일 처리(I)’, ‘System.ini 파일 처리(T)’,
‘Win.ini 파일 처리(W)’, ‘시작 프로그램 구성요소 읽어오기(G)’
라. ‘확인’을 누르고 프롬프터에 따라 시스템을 재시작합니다.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Msconfig.exe)를 사용하면, 컴퓨터를 몇 차례 재시작함으로써 문제의 원인이 되는 특정 파일이나 레지스트리 항목을 고립시킬 수 있습니다. 일단 문제의 원인이 되는 특정한 항목들이 결정되면, 파일은 텍스트 편집기로 편집하고, 레지스트리 항목은 레지스트리 편집기의 ‘레지스트리를 파일로 저장(E)’ 실행 후 제거한 뒤, ‘시스템 정보’의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로 가서 ‘시작 설정’을 ‘일반적 시작’ 모드로 전환합니다.

5. 다음 절차에 따라,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들이
UNC(Universal Naming Convention) 연결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해 봅니다.
(UNC : 응용프로그램의 파일명 지정 및 경로명을 표시하는 일반적 규약,
UNC명을 사용하면 직접 네트워크 상의 파일을 볼 수 있음)

가. 시작메뉴 → ‘실행(R)’
나. ‘열기(O)’ 박스에 ‘접속하고자 하는 컴퓨터의 이름’(따옴표 제외)
입력 후, ‘확인’ 클릭

※ UNC 연결만을 사용하는 컴퓨터들을 발견한다면, 다음의 원인들을 고려해 봅니다.


▷ 탐색(browse) 서버가 네트워크 상 지정되어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Windows 98 네트워크에서는 워크그룹 서버의 목록을 유지하는 컴퓨터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탐색 서버를 설치하는 데에는 5분 내지 15분 정도가 소요됩니다. 탐색 서버를 찾지 못하면,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를 검색할 수 없습니다. 몇 분 정도 기다렸다가 다시 시도합니다.

▷ 네트워크 배선 상의 문제이거나 다른 컴퓨터의 네트워크 어댑터 구성 상의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네트워크 환경에 로컬 컴퓨터만 나타난다면, 이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6. 커넥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또, 사용중인 컴퓨터 및 연결하려고 하는 컴퓨터에 네트워크 배선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합니다.

네트워크의 배선이 Thin Ethernet이라면, 제대로 작동하는 T-커넥터, 단말기에 두 컴퓨터를 단일 케이블로 연결합니다. 네트워크 배선이 twisted-pair (RJ-45)인 경우에는 허브(hub)나 집신기(concentrator)를 사용해야 합니다. Windows 98은 RJ-45 배선을 이용한 컴퓨터간의 직접 연결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주 : 네트워크 배선이 형광등, 오디오, 무선전화기 등 전기적 간섭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들로부터 벗어나도록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네트워크의 구조가 10Base2(Thin Ethernet 또는 Thinwire)라면, 네트워크 어댑터에 50옴(Ohm)의 단말기를 배치합니다. 만일, ‘네트워크 환경’에는 로컬 컴퓨터의 이름이 나오는데 정규 배선을 달았을 때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면, 배선 또는 커넥터에 문제가 있다고 봐야 합니다. 배선 및 커넥터 문제에는 배선상의 전기적 단락(short), 부적절한 종료, 잘못된 유형의 배선 사용 등이 있습니다. 컴퓨터들의 T-connector가 각 네트워크 어댑터 상에서 확실히 자리잡도록 하고, 50옴(Ohm)의 터미네이터가 각 네트워크 구획의 끝에 자리하도록 하며, RG-58(RG-59나 RG-62가 아닌) 배선을 사용하도록 합니다.

그래도, ‘네트워크 환경’에 로컬 컴퓨터가 나타나지 않으면, 로컬 네트워크 어댑터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환경 설정에 문제가 있다고 봐야 합니다. 이를 확인하려면, ‘네트워크 어댑터 드라이버 테스트’를 시도합니다.


7. 네트워크 재지시기(redirector : 입/출력 경로를 전환시켜주는 장치)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다음의 테스트는, 네트워크상에서 충돌을 일으키는 NetBIOS 이름을 산출하기 위해 Windows 98 네트워크 구성을 이용합니다. 이 경우, 각 컴퓨터는 네트워크상에 고유의 컴퓨터 이름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먼저, 두 컴퓨터가 동일한 컴퓨터 이름을 갖도록 설정하고 에러 메시지가 뜨는지 확인합니다. 에러 메시지가 나오면, 두 컴퓨터는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고 에러메시지가 나오지 않으면, 네트워크상에 하드웨어적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네트워크 redirector를 테스트하려면, 컴퓨터 이름을 연결하고자 하는 컴퓨터의 이름으로 변경하고 다음 절차를 실행합니다.

가. 시작메뉴 → 설정(R) → 제어판(C) → 네트워크

나. ‘컴퓨터 확인’ 탭을 눌러서 ‘컴퓨터 이름’ 박스 안에 연결하고자 하는
컴퓨터의 이름을 입력하고, ‘확인’을 누른 후, 프롬프터에 따라 컴퓨터를
재시작합니다.
그러면, 컴퓨터 시작시에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가 나와야 합니다.

“0 프로토콜 번호를 로드하는 중에 다음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오류 38 : 지정한 컴퓨터 이름을 네트워크에서 이미 사용중입니다. 다른 이름을 지정하려면, 제어판에서 ‘네트워크’ 아이콘을 두 번 누르십시오.”

에러 메시지가 나오면, 두 컴퓨터는 연결되어 있는 것입니다.
에러 메시지를 받지 못했다면, 다음 중 한 가지의 하드웨어적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어댑터의 환경 설정(하드웨어, 입/출력 범위, 인터럽트
요청(IRQ), 메모리 충돌 등…)이 하나 이상 잘못된 경우.
네트워크 어댑터의 설정 변경은 3번 항목을 참조합니다.

▷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어댑터가 기능 이상인 경우.
네트워크 어댑터가 진단용 유틸리티를 갖추고 있다면, 이를 실행하여
네트워크 어댑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 배선 또는 커넥터에 문제가 있는 경우.
전기적 단락/간섭 때문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적합하지 않은 배선,
커넥터, 터미네이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전기적 단락/간섭 문제를 해결하려면, 테스터를 사용하여 배선을 체크해
보거나 문제없는 케이블과 커넥터로 교체해 봅니다.

다. ‘가, 나’의 절차를 재시도하여 컴퓨터 이름을 원래의 것으로 바꿉니다.


8. 네트워크 어댑터 드라이버를 제거 후 재설치합니다.

가. 시작메뉴 → ‘설정(R)’ → ‘제어판(C)’ → 네트워크

나. ‘네트워크 구성’ 탭의 ‘설치된 네트워크 구성 요소(N)’ 목록에서 네트워크
어댑터(예 : Realtek RTL8139(A) Fast PCI Ethernet NIC)를 선택하여
‘제거(E)’하고, ‘Microsoft 네트워크 클라이언트’도 선택하여 ‘제거(E)’한
뒤, ‘확인’을 누르고 프롬프터에 따라 컴퓨터를 재시작합니다.

다. 다시 ‘가’의 절차를 통해 ‘네트워크 구성’ 탭으로 들어가 ‘추가(A)’를
누르고, ‘어댑터’를 선택하여 ‘추가(A)’를 누릅니다.

라. ‘제조업체(M)’ 란에서 해당 네트워크 어댑터의 제조회사를 선택하고,
‘네트워크 어댑터’ 란에서 적절한 모델을 선택하고, ‘확인’을 두 번 누른 후,
프롬프터에 따라 컴퓨터를 재시작합니다.

주 : 네트워크 어댑터가 점퍼나 스위치 등을 사용하여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는 성격을 갖는다면, 네트워크 어댑터상의 설정과 ‘장치 관리자’의 설정이 서로 맞아야 합니다. 네트워크 어댑터에 맞는 설정을 결정하려면, 어댑터에 내장된 매뉴얼에 따르거나 제조업체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네트워크 어댑터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된다면, 인터럽트 요청, 메모리
범위, 입/출력 범위 등을 특별히 지정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장치 관리자’의 네트워크 어댑터 리소스 설정을 변경하려면, 위 ‘2’번 항목
‘마’ 이후의 절차를 따릅니다.

마. UNC 이름을 사용하는 컴퓨터에 연결 시도합니다.
절차는 ‘5’번 항목을 참조합니다.

바. UNC 이름을 사용하는 컴퓨터에 연결할 수 없다면, 바탕화면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들어가 대상 로컬 컴퓨터가 나와 있는지 확인합니다.

9. 네트워크 환경에 아직도 로컬 컴퓨터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다음 요인들을 확인해 봅니다.

▷ 잘못된 네트워크 어댑터 드라이버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어댑터가 다른 어댑터를 모방(emulating)하는 경우, 드라이버가 제대로 작동하게 하기 위해 어댑터상의 점퍼나 스위치를 변경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네트워크 어댑터가 제기능을 못하는 슬롯(slot)에 꽂힌 경우.
이것을 확인하려면, 네트워크 어댑터를 다른 슬롯에 꽂아보거나, 그 어댑터를 다른 컴퓨터에 설치함으로써 어댑터 자체에 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합니다.

▷ 네트워크 어댑터에 이상이 있는 경우.
다른 네트워크 어댑터를 써보거나, 그 어댑터에 진단용 테스트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실행합니다.

▷ 컴퓨터의 버스(bus) 속도가 해당 네트워크 어댑터가 감당하지 못할 만큼 빠른 경우.
대부분의 네트워크 어댑터들은, 산업표준구조(ISA :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 속도(8.33 MHz)에 맞춰 작동하도록 고안되었습니다. 버스 속도를 상향 조정하는 것은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버스 속도의 설정 변경은 대개 컴퓨터의 CMOS에서 이루어집니다. 문제가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버스 속도를 낮춰보도록 합니다.

▷ 연결상의 이상이 있는 경우.
네트워크 어댑터 중에는, 두 컴퓨터간의 배선 및 커넥터가 완전한 상태인지 여부를 체크해 주는 유틸리티를 갖추고 있는 것들도 있습니다. 이러한 유틸리티를 이용함으로써, 두 컴퓨터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10. 네트워크 어댑터가 제기능을 다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진단 프로그램을 실행시킵니다. 네트워크 어댑터 진단 프로그램 중에는 어댑터 뿐만 아니라 배선까지 포함하여 컴퓨터 사이의 연결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는 것들도 있습니다. 테스트가 가능하다면, 제대로 된 드라이버들이 사용되고 있다는 전제하에서 Windows 95/98도 제대로 작동해야 합니다. 만일, 이 로우 레벨(low-level) 테스트에 의해서도 두 네트워크 어댑터간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네트워크 어댑터, 배선 또는 커넥터에 어떤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테스트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해당 하드웨어 제조업체 또는 구입처에 문의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Windows 95/98은 두 컴퓨터간의 로우 레벨 연결 테스트를 실행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NET DIAG’라고 하는 네트워크 진단 유틸리티를 갖추고 있습니다.
실행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 : 이 테스트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두 컴퓨터에 동일한 프로토콜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가. 일단 한 컴퓨터를 선정하여, 시작메뉴 → ‘프로그램(P)’ →
‘한글 MS-DOS’로 들어갑니다.

나. ‘net diag’ 입력 → ENTER
그러면, ‘NET DIAG’가 진단용 서버를 탐색하며 다음과 같은 프롬프트를
나타냅니다.
No diagnostic servers were found on the network.
Is Microsoft Network Diagnostics currently running on any other computers on the network?
(네트워크상의 진단 서버를 찾을 수 없습니다.
네트워크상의 다른 컴퓨터 중에 현재 Microsoft Network Daignostics를
실행하고 있는 것이 있습니다.)

다. ‘N(No)’을 누릅니다.

라. 다른 컴퓨터에서, 시작메뉴 → ‘프로그램(P)’ → ‘한글 MS-DOS’로
들어갑니다.

마. ‘net diag’ 입력 → ENTER
NetBIOS(NetBEUI 또는 TCP/IP의 경우)와 IPX/SPX가 모두 설치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은 프롬프트가 나타날 것입니다.
IPX and NetBIOS have been detected.
Press I to use IPX for diagnostics, N to use NetBIOS, or E to exit this program.
(IPX 및 NetBIOS가 탐지되었습니다.
진단을 위해 IPX를 사용하려면 ‘I’를, ‘NetBIOS’를 사용하려면 ‘N’을,
프로그램을 종료하려면 ‘E’를 누르십시오.)

바. 해당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테스트하기 위해 ‘I(IPX)’
또는 ‘N(NetBIOS)’을 누릅니다. 선택한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진단 서버와
연결할 수 없다면,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해 봅니다.

한 프로토콜을 사용했을 때에는 진단 서버에 연결할 수 없고 다른 하나
로는 가능하다면, 네트워크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 것입니다.
진단 서버에 연결하지 못하는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그 프로토콜이 두
컴퓨터에 모두 제대로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 본 후, ‘NET DIAG’를 재
실행 합니다.
만일, 두 프로토콜을 사용해도 진단 서버에 연결하지 못한다면, ‘NET
DIAG’를 재실행 하는데, 이번에는 컴퓨터의 순서를 바꿔서 시도합니다.






written by (mushu)
2002-07-07 14:02:00
815 번 읽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