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순 2002-07-26
다음은 컴퓨터의 TCP세팅과 관련된 용어들입니다. MTU 설정시 필요한 용어들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DOCSIS (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
케이블 네트워크에서 필요로 하는 표준 인터페이스
PPPoE (Point-to-Point Protocol over Ethernet)
초고속 인터넷 접속 방법으로 국내외의 ADSL 서비스에서 사용한다.
ADSL에서 사용하는 PPPoE방식은 패킷 Header에 8k를 차지하므로 MaxMTU의 값이 1492를 넘지 않아야 한다.
ADSL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일반 전화선을 이용해 좊은 대역폭으로 디지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술로 같은 회선에 디지털 정보 뿐 아니라 아날로그 정보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ADSL은 대부분의 채널을 사용자측으로 내려보내는 하향 전송에 사용하고, 사용자로부터 받는 정보에는 적게 할당하는 비대칭형 구조로 대개 512Kbps에서 6Mbps 정도의 하향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공한다.
MTU (Maximum Transmission Unit) : 최대 전송 단위 [허용범위 1~1500]
TCP/IP 네트워크 등과 같이 패킷 또는 프레임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전송될 수 있는 최대크기의 패킷 또는 프레임을 가리키며, 대개 옥텟을 단위로 사용한다. 윈도95 사용자들의 기본 MTU 값은 1500 옥텟이며, 이것은 이더넷의 표준 MTU 값과 같다.
MSS (Maximum Segment Size) : [값=MTU-40(header의 크기가 40bytes)]
패킷 또는 프레임에서 데이터의 최대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최대 전송 단위(MUT)에서 Header를 제외한 크기이다.
DefaultRcvWindows (TCP Receive Window, RWIN)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컴퓨터가 받을 수 있는가를 설정해 주는 값이다. 너무 크면 패킷의 손실이 생기고, 너무 작으면 다음 패킷을 보내기 전에 기다림 현상이 생긴다. 최상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MSS값의 배수로 세팅을 해야 한다.
DefaultTTL (Default Time To Live) : [값=0, 16, 32, 64 or 128]
IP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착하지 않고 네트워크 안에 너무 오래 있어서 버려져야 할 경우, 그 패킷이 없어지지 않고 네트워크 안에 존재할 수 있는 가장 긴 시간을 나타낸다.
PMTUDiscovery : [값= 0 or 1]
TCP에서 고정된 MTU를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실제 MTU를 찾을 것인지의 여부를 설정 값이다. 0이면 정해놓은 MTU값 사용하고, 1이면 리모트 호스트를 통해 가장 큰 패킷 사이즈를 찾아서 사용하라는 것이다.
PMTUBlackHoleDetect : [값= 0 or 1]
이 값이 1인 경우, TCP가 MTU Discovery를 하는 동안 "Black Hole" 라우터를 탐지하려고 한다. 만약, 몇몇의 재발송된 segment들이 승인되지 않으면 TCP에서 깨어지지 않은 segment들을 다시 보내게 한다는 뜻이다.
NDI Cachesize : [값= 0, 16, 32, 64]
초고속 인터넷의 경우 32나 64가 적당하다.
Windows 98 & W2k에서만 지원하는 네트워크 관련 기능
Tcp1323opts (Large Window Support)
Application이 Winsock의 버퍼 사이즈를 64k보다 큰 것을 요구할 때 필요하다.
SackOpts (Selective Acknowledgements)
전송 받은 것 중 IP 패킷 손실이 생긴 것을 다시 전송 받지 않고 복구한다.
MaxDupAcks (fast retransmission and fast recovery of TCP connection) :
[값= 0 ~ 3] 이전에 성공적으로 보내진 TCP/IP 패킷의 복제된 승인을 얼마나 많이 기억하는가를 정한다.
출저 : 벤치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