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가 최근 초고속 개인용 무선 네트워크의 표준화 포럼인 'WiMedia Alliance' 에 가입하고 나서
WPAN 이 무엇인지 궁굼해 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셔서 WPAN 에 대하여 설명을 하겠다.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 초고속 개인용 무선 네트워크
근거리에서 다양한 장비들을 무선으로 연결시켜 생성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개인은 기존의 장비들을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일을 손쉽게 할 수 있다.
WPAN은 기존의 WLAN보다 복잡도가 낮으며, 저전력을 사용하며 개인 사무실 또는 댁내 등의 POS (Personal Operating Space)에서 무선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일종의 SAN (Spot Area Network)으로 볼 수 있다.
현재까지 도출된 WLAN의 표준 규격에는 IEEE의 802.11, IEEE 802.11a, IEEE 802.11b, 그리고 ETSI BRAN (Broadband Radio Access Network) 프로젝트에 의해 도출된 HIPERLAN type-2 규격이 있다. 또한, 일본의 경우에는 MMAC-PC(Multimedia Mobile Access Communication Promotion Committee)을 결성하여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광대역 무선 시스템들을 정의하고 표준화와 개발을 진행해 왔으며, 여기에는 Wireless Home Link 및 초고속 무선 LAN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WPAN의 표준화 작업은 IEEE 802.15 Working Group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Bluetooth Special Interest Group (SIG)의 Bluetooth 기술을 근간으로 표준을 채택하기 위한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WPAN과 유사한 범주에서 무선 홈 네트워킹을 다루고 있는 HomeRF Working Group의 SWAP (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이 또 다른 관련 규격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ITU-R에서는 SG8과 SG9의 RLAN 관련 의제를 근거로 시스템 특성과 요구사항 등을 도출하고 있으며, ETSI BRAN 및 IEEE 802.11 등을 통해 이와 같은 무선 LAN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별도로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이들 표준화 작업과의 중복성을 막고자 주로 주파수 스펙트럼의 효율적인 사용과 다른 무선 서비스와의 주파수 공유에 관련된 사항들을 주로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