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나일소프트, 시스템보안 점검도구 SecuGuard SSE 2.0

 


정보보호 솔루션 전문업체 ㈜나일소프트(대표 송영호 www.nilesoft.co.kr)는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을 자동으로 점검하고 발견된 문제들에 대한 해결방법을 제공하여 해킹과 컴퓨터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보안 소프트웨어 SecuGuard SSE 2.0를 개발, 본격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선보인 SecuGuard SSE 2.0는 완전 국산기술로 개발한 SecuGuard SSE(System Security Explorer)를 업그레이드한 제품이다. 이 제품은 시스템 내부의 취약성을 점검하는 호스트 스캐너로 패스워드ᆞ파일전송ᆞ사용자 환경ᆞ백도어ᆞ관리자 환경ᆞ유틸리티ᆞ네트워크 환경ᆞ시스템 정보화일ᆞ웹서버 등을 점검한다. 이 제품은 국내 최대 점검항목을 보유하고 있으며, 윈도NT와 윈도2000을 비롯해 유닉스ᆞ리눅스 등 다양한 운용체계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 중앙집중형 보안관리가 가능해 하나의 클라이언트 운영화면에서 분산된 여러 호스트의 보안 취약점을 동시에 점검할 수 있다.



인터넷의 사용 급증과 네트워크의 확장 발전으로 인하여, 해킹 사고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런 외부적 위험 요소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관리자는 시스템의 취약점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조치를 취해야 한다. 그러나, 시스템 관리자가 이런 일을 하기 위해서는 보안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새로운 해킹 기법의 추적 등을 위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SecuGuard SSE 2.0는 컴퓨터 시스템들의 다양한 보안 취약점들에 대해서 자동으로 진단하고 발견된 문제들에 대한 해결 방법을 제공하여 해킹과 컴퓨터 범죄들을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 보안 취약점 점검 도구이다.



나일소프트 송영호 사장은 “이번에 출시된 SecuGuard SSE 2.0(시스템 취약점 점검도구)는 SecuGuard NSE(네트워크 취약점 점검도구)와 같이 국가정보원 보안성 검토 결과 행정자치부 행정정보 보호용 시스템으로 선정된 정보시스템 보안을 시작하는 첫걸음과 같은 가장 기초적인 보안 소프트웨어로서 재정경제부, 정보통신부 등 정부기관을 비롯해 각종 공사ᆞ공단ᆞ민영기업 등 다양한 분야의 레퍼런스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영어ᆞ중국어 및 일어 버전을 개발하여 중국ᆞ일본 및 동남아시아 등 해외수출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나일소프트는 지난해 상반기까지 외산 제품이 독점해온 보안취약점 분석도구 시장을 SecuGuard SSE 2.0를 앞세워 공략할 계획이다. 이는 SecuGuard SSE 2.0이 외산에 비해 가격이 싸고 취약점 점검 성능이나 콘텐츠 면에서도 결코 뒤지지 않는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회사는 또 최근 보안 컨설팅ᆞ보안 시스템통합(SI) 업체와 연계해 적극적인 고객 유치 활동에 나서고 있다.



나일소프트는 보안 취약성 분석도구(시큐가드 SSE, 시큐가드 NSE)와 보안 운영체제(enTROS, SecuGuard NSL)를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정보보호솔루션 전문업체로 ISO 9000:2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7월에는 중소기업청에서 주관한 기술혁신형(INNO-BIZ)기업에서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다.


BC폐인™
2002-09-17 11:23:09
1461 번 읽음
  총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김종민 '02.9.17 3:08 PM 신고
    쿠쿠 : 난 지금이거 사용중이요.. 딴거도 사용해봤소... 실명이라 더이상은 ↓댓글에댓글
  2. 2. 이상선 '02.9.17 3:17 PM 신고
    사용기 좀 올려줘요~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