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face Enable
SUN Solaris 2.x 시스템을 구입하면 기본적으로 LAN에 접속되지 않고 운영될 수 있는 환경을 구입처에서 설정해준다. 그리고 나면 시스템을 구입한 운영자는 LAN에 시스템을 접속해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게 해야한다.
LAN은 FDDI(매제 접속방식에 따른 분류), Token-Ring(망구성에 따른 분류), ethernet(게이트웨이에서 터미널까지)등이 있는데 많은 LAN형태는 ethernet이므로 ethernet에 접속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또한 일반대학교 전산망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전개하도록 한다. T1급의 회선결합속도로 물려있긴 해도 초당 1.544Mbps 정도밖에 안되어 낮동안처럼 많은 사용자들이 발생할 경우 트래픽이 심해져서 패킷의 크기가 줄게되어 속도저하 현상을 가져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면 고속의 회선기술도 중요하지만 전송프로토콜의 영향도 적잖이 미친다. 만약에 중간에 에러가 발생했을 때에 그 에러처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재전송 요구를 할 수도 있으며, 자체 수정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에러처리를 재전송요구로서 처리한다면 트래픽은 더욱 심해질 것이다.
우선 운영자는 시스템에 ethernet interface card가 준비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하지만 SUN호환기종인 Workstation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드에 Network 칩셋(보통 Ethernet Chip이라 함)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상관없다. LAN에 HUB가 있다면 UTP port(10baseT)가, Thin cable (10base2)만 있다면 BNC port(둥근 형태의 포트)가, Thick Cable (10base5)만 있다면 AUI port가 card port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시스템을 LAN에 접속한 후 운영자는 다음과 같이 2개의 logical interface가 시스템에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을 해야만 한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 때 사용하는 shell은 SUN shell 일 때 적용된다.
root# ifconfig -a [Enter]
lo0: flags=849 mtu 8232
inet 127.0.0.1 netmask ff000000
le0: flags=863 mtu 1500
inet 203.246.109.69 netmask ffffff00 broadcast 203.246.109.255
root#
위에서 lo0는 local loopback이라는 것으로 시스템 자신을 의미하고, le0는 ethernet interface card가 접속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운영자가 시스템을 ethernet에 막 접속했다면 le0의 UP이 UP이 아니고 DOWN이라고 표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inet, netmask, broadcast address가 위와 다를 수 있다. 운영자는 우선 ethernet interface card를 enable 시켜 주어야 하는데 그 방법은 간단하다. 그러나 우선 시스템에 공인된 IP address중 어떤 것을 할당할 것인지 그리고 network을 어떻게 subnetting해야 할지 설계해야 한다.
subnetting 하는 방법은 다음을 참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