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USB로 접속하는 한국하나통신 KCU-2000

 
1. 들어가면서
지금 잠시 눈을 들어서, 여러분들의 주위에 있는 모뎀(케이블이든 ADSL이든)을 살펴보자. 아마도 케이블의 경우에는 전원선, 동축 케이블, 랜 케이블이 꽂혀 있을테고, ADSL의 경우에는 역시 전원선에 전화선, 그리고 랜 케이블이 꽂혀 있을 것이다. 이러다보니, 초고속 통신망을 설치하면 최소한 PC 뒤쪽의 배선이 세 개 정도는 더 늘어나는 셈이다.

게다가 외장형은 거의 다, 어댑터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러다 보니 가뜩이나 부족한 멀티탭 공간을 하나씩 잡아먹고…




“뭐 이리 복잡해? 가뜩이나 뇌 용량도 모자라 죽겠구만…”
(사진은 리뷰 속의 특정 내용과 관계 있음)
© 스포츠투데이


이쯤 되면 왜 필자가 이런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슬슬 눈치채실것 같다. 그렇다. 이번 리뷰 대상 제품인 한국하나통신의 KCU2000도 ADSL 모뎀이다. 단, USB 방식이므로 전원을 USB 포트에서 공급받는다. 게다가 컴팩트하다. 자, 이번에도 어떤 제품인지 살펴보도록 하자.

이번 리뷰에 쓰인 시스템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CPU : 인텔 펜티엄 4 1.6Ghz
메인보드 : 기가바이트 GA-8IRX (인텔 845 칩셋)
메모리 : PC2100 DDR 512MB SDRAM
하드디스크 : 맥스터 5,400RPM 80GB
그래픽카드 : ELSA GeForce 2 MX 200
랜카드 : 3Com 3C905-TX (100Mbps)
ODD : LG GCR-8521B
OS : Windows XP Professional (English)

2. 제품 살펴보기
그럼 이제부터, 어김없이(?) 사진을 곁들여서 KCU2000을 살펴보기로 하자. 아래는 KCU2000이 들어있는 박스의 모습이다.





박스를 뜯고, 내용물들을 찍어 보았다.




사이 좋게 한 장...


내용물은 다음과 같다. 내용물에서는 다른 모뎀들과 그다지 차이를 보이지 않는데, 다만 전원을 USB 포트에서 직접 공급받으므로 DC 어댑터가 안 보인다는 것 정도가 다른 점일까?

- KCU2000 ADSL 모뎀
- 매뉴얼 / 드라이버 CD
- 전화선 / USB 케이블

그리고 드라이버 CD가 프레스 CD가 아닌 일반 CD-R이다. 보통 프레스 CD는 대량으로 찍어내기 때문에 새 드라이버가 나와도 바로바로 적용을 시킬 수 없는데, 일반 CD-R이라면 새 드라이버가 나오는대로 신속하게 소비자들에게 배포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할 듯 하다.

이제부터는 모뎀을 포장에서 꺼내서 이리저리 살펴보았다. 아래는 모뎀을 위에서 찍어 본 사진이다. 보시다시피 슬림하고, 담뱃갑 두 개 정도를 겹쳐놓은 사이즈이다.




나 이뻐?


다음으로 모뎀의 LED 표시부만을 줌으로 찍어보았다.





아래는 모뎀에 모든 케이블을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할때의 LED를 찍은 사진이다.





다음으로 모뎀의 좌, 우측에서 사진을 찍어보았다. 차례대로 왼쪽, 오른쪽이다.








모뎀을 뒤로 돌려서 각종 포트를 찍어보았다. 왼쪽부터 Line, Phone, 그리고 USB 단자이다. 모뎀 자체가 워낙 작다보니 일반 USB 단자를 쓰지 못하고, 그보다 조금 더 작은 단자를 사용하고 있다.





이것으로 KCU2000의 외관을 모두 살펴보았다. 너무나 간단하게 끝나서 뭔가 허전한 느낌이 들지만, 필자는 맹세코 귀찮다고 빼먹거나 한 적이 없다. 정말이다.

3. KCU2000의 사양

인터페이스 : USB 1.1
포트 : RJ-11 (Line, Phone) x 2
전원 : USB에서 공급받음 (DC 5V)
지원 운영체제 : 윈도 95/98/98SE/Me/2000/XP
지원 프로토콜 : ANSI T1.413, ITU G.992.1 / G.992.2 / G.994.1
전송 가능한 거리 : 최대 약 5.5Km
크기 : 90mm(폭) x 120mm(길이) x 20mm(높이)

※ 한국 하나통신 약도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장항동 775-1번지 일산 마이더스 벤처타워 214호 (우:411-380)
TEL : 031)908-4190~3 FAX : 031)908-4194
E-mail : info@kott.co.kr


4. 사용해보기
KCU 2000을 실제로 PC에 연결하고 설정에 들어갔다. USB 케이블을 PC에 연결하면, 자동으로 드라이버를 찾는다. 이때 제공된 드라이버 CD를 넣고 매뉴얼에 설명된대로 OS에 맞게 드라이버가 있는 경로를 설정해주면 자동으로 드라이버와 설정 및 접속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드라이버 설치 과정에서 ‘디지털 인증을 받지 않았다’ 라는 경고문이 나오는데, 무시해도 전혀 사용에 지장이 없다.

설치가 끝난 후, 바탕 화면과 트레이에 다음과 같은 아이콘이 생성된다.




바탕화면에 생성되는 아이콘





트레이에 생성되는 아이콘


바탕화면에 생성되는 아이콘 중, AccessRunner Control Panel에서는 ADSL의 접속에 필요한 VCI 값이나 프로토콜을 설정해 줄 수 있고, AccessRunner DSL은 ADSL 접속창을 보여준다. 이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면, 다음 그림과 같은 접속창이 뜬다. 보통 ADSL 모뎀을 사용할때는 별도로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KCU2000의 경우에는 설치하면서 필요한 값들을 모두 설정한 다음 접속 아이콘을 바탕 화면에 아예 만들어주기때문에 매우 편리하다.




여기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것이다.


트레이에 올라가는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면, 현재 ADSL의 물리적 접속상태(신호가 들어오는지 안 들어오는지)를 보여주는 작은 창이 뜬다. 이 창에서 ADSL 접속을 완전히 끊었다가 다시 연결시킬 수 있다.




모뎀에서 ADSL 신호를 잡았을때의 모습.





모뎀이 ADSL 접속을 완전히 종료했을때의 모습.





모뎀이 ADSL 접속을 시도할 때의 모습.


이제 가장 복잡한 AccessRunner Control Panel을 살펴보자. 이 프로그램을 그냥 실행하면, 현재 ADSL 회선의 접속 상태와 드라이버의 버전만을 보여준다. 필자도 처음에는, ‘이게 무슨 제어판인가’ 하고 잠시 어리둥절했다.




이런 화면만이 나타난다.


하지만 이 화면에서 [Alt + P] 키를 눌러주면, 숨겨졌던 설정 화면이 모습을 드러낸다.




복잡하다… --;


보시다시피 메뉴가 8개나 되는데, 이중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항목은 ADSL의 접속 상태를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메뉴이다. 하지만 이 부분을 이해하는데에 네트워크에 대한 상당한 지식이 필요한데다, 사실상 몰라도 정상적인 인터넷 사용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젓가락을 평행으로 쥐어도 밥 먹는데는 그다지 지장이 없는것처럼). 고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살펴보지 않으려 한다. 혹시 관심 있으신분들은, 某 온라인 게임의 마스코트적 몹인 ‘포링’의 초대형 인형을 필자 앞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다. 며칠만 부비부비(?)한 뒤 바로 이에 대한 강좌를 준비하도록 하겠다(그런데 설마 정말 보내주시는 분… 있으려나?).

- ATM Link Statistics
- AAL Link Statistics
- Physical Layer Statistics
- ATM OAM Loopback




© Gravity Co., LTD


자, 그럼 나머지 메뉴에 대해 하나 하나 파고들어가 보자. 맨 처음에 보이는 General 탭에서는 ADSL 회선의 접속 상태와 속도, 사용하고 있는 프로토콜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Connection 탭을 살펴보자. 이 탭에서는 현재 사용중인 VPI/VCI 값과 ADSL 접속에 사용한 프로토콜, 그리고 맞은편의 ADSL 장비가 무엇이 사용되었는지, 그리고 KCU2000에 부여된 MAC 어드레스가 무엇인지 알아볼 수 있다.





Line Setup 탭에서는 ADSL 회선의 동기화 방식을 지정해 줄 수 있는데, 이 메뉴에서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아도 접속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최적의 접속 방식을 선택한다.





오히려 사용자가 신경써야 할 부분은, 바로 다음에 있는 Protocol Setup 탭이다. 이 탭에서 자신이 사용하는 ISP에 맞는 VPI/VCI 값과 접속 방식을 제대로 골라주지 않으면 절대로 접속이 불가능하다. 이 접속 방식은 자신이 설치한 드라이버에 따라 달라지므로, 매뉴얼을 참조해서 정상적인 값을 입력하면 무리 없이 접속할 수 있다.




이 설정이 중요하다니까…


5. 너는 속도 얼마나 나냐?

자, 이쯤해서 약방의 감초인 속도테스트 결과를 살펴보자. 테스트 플랫폼은 윈도 98과 윈도 2000, 그리고 윈도 XP로 정했고, 비씨파크 속도패치를 적용하기 전 값과 적용한 후의 값을 측정했다. 그리고 세 번 측정해서, 그 중 가장 높은 속도를 보여주는 값을 결과값으로 삼았다. 아울러, 이번 테스트에 사용한 속도패치의 버전은 최신 버전은 4.4 Beta를 사용했다.

먼저 윈도 98에서 거친 테스트 결과를 보자.




윈도 98 / 벤치비 / 패치 적용 전


윈도 98에서 패치를 적용하지 않고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3Mbps 중반대의 속도가 나왔다. 이 상태에서 속도패치를 적용한 뒤의 결과를 살펴보자.




윈도 98 / 벤치비 / 패치 적용 후


패치를 적용하자 속도가 5Mbps대로 뛰어올랐다. 이것은 역시 윈도 98의 네트워크 지원이 뒤떨어지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윈도 2000에서 실시한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자.




윈도 2000 / 기타 테스트 서버 / 패치 적용 전


윈도 2000에서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윈도 98에서 패치를 적용했을때와 비슷한 5.6Mbps대의 속도가 나타났다. 그런데 속도 패치를 적용하고 나서 기현상이 벌어졌는데… 자, 과연 어떤 기현상이 나타났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윈도 2000 / 기타 테스트 서버 / 패치 적용 후


자, 어떤가? 패치 적용 후의 속도가 오히려 더 떨어진다. 게다가 손실률도 무시무시하고… 분명히 윈도 98에서 패치를 적용했을때는 속도가 올라갔었는데, 어째서 윈도 2000에서는 더 떨어져버린걸까?

일단 리뷰 대상 제품인 KCU 2000이 USB 1.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여러분들도 아시다시피 USB 1.1의 최대 대역폭은 이론상 약 11Mbps이다. 하지만 이 이론적인 대역폭이 실제 상황에서 그대로 드러나는것도 아니다. 그렇다 보니 모뎀 자체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버퍼가 굉장히 한정되어 있다.

그리고 KCU2000의 원 성능도 약간 떨어지는 편이다. 이런 상황에서 MTU값과 버퍼 값을 무턱대고 높여봤자, 결국은 모뎀이 받아들이지 못해서 데이터를 잃어버리는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다. 윈도 2000이나 윈도 XP 계열의 OS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이 제품을 사용할때 속도 패치를 적용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마지막으로 윈도 XP에서의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자.




윈도 XP / 기타 테스트 서버 / 패치 적용 전


윈도 XP에서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윈도 2000상에서와 같이 5Mbps대의 속도가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패치를 적용한 뒤의 결과는 과연 어떨까?




윈도 XP / 기타 테스트 서버 / 패치 적용 후


윈도 XP에서도 윈도 20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속도가 4Mbps대로 오히려 떨어져버렸다. 이런 사실에 비추어볼때, KCU2000이 낼 수 있는 최대의 속도는 약 5Mbps 후반대라 보아도 좋을 것이다.

6. 리뷰를 마치며
한국하나통신의 KCU2000은 USB 인터페이스를 채용해서, 별도로 전원공급을 해 줄 필요가 없다. 그만큼 꽂아야 할 케이블도 줄어들기때문에, 배선으로 PC 뒤가 복잡해지는 것도 막을 수 있다.

다만, USB 1.1 인터페이스를 채택한 특성상 최대 속도가 약간 떨어진다. 이것은 제품의 결함이 아니며, USB 인터페이스를 채택한 다른 케이블 모뎀이나 ADSL 모뎀에서도 보이는 현상이다. 하지만 기본 속도인 5Mbps대로도 일반 사용자들에게 부족한 속도가 아니기때문에, KCU2000은 노트북을 사용하는 ADSL 가입자, 혹은 집에 노트북이 한 대 더 생겨서 ADSL 모뎀이 필요하게 된 사용자들에게 권해주고 싶다.

첨부된 파일은 해당모뎀의 드라이버입니다.
제품 구매하기

written by (sakurachan)
2002-10-17 19:02:20
9287 번 읽음
이 글에 총 1 개의 파일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총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김주환 '02.10.17 9:18 PM 신고
    근대 케이블연결은 어디다가??? ↓댓글에댓글
  2. 2. 김진철 '02.10.18 11:59 PM 신고
    제가 전문가는 아니지만...이런쪽에 대해서 잘아시는분들은 USB외장모뎀이 제일 꺼려하는 모뎀중 하나입니다. ↓댓글에댓글
  3. 3. 권봉석 '02.10.17 9:24 PM 신고
    모뎀 뒤쪽에 커넥터가 모두 있습니다. USB 방식이므로 랜카드가 필요 없죠. ↓댓글에댓글
  4. 4. 양욱진 '02.10.18 5:20 PM 신고
    무뇌충 사진이구려... 걍 가리지 말지.. ↓댓글에댓글
  5. 5. 박병철 '02.10.22 3:44 AM 신고
    내장형이니 6.8까지 나오죠.^^ ↓댓글에댓글
  6. 6. 변창호 '02.10.22 11:04 AM 신고
    USB 랜카드 쓰다가보니 부팅후에 않되는경우도 많더라구요. 이회사꺼는 외장형이 좋은것같아요. USB는 영..... ↓댓글에댓글
  7. 7. 박병철 '03.11.6 5:49 AM 신고
    :-)*랜카드 드라이버 첨부하였습니다.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