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특집] 케이블모뎀의 오늘과내일 1부 - 속도의 비밀을 파헤친다

 




지난 1998년, 두루넷이 서울의 강남 지역에서 케이블 모뎀 시범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이땅에도 초고속 인터넷 시대가 열렸다. 그 이후로 케이블 모뎀 서비스에는 하나로통신, 드림라인, 온세통신 샤크, SK 싱크로드, 데이콤 보라홈넷, 그리고 지역 유선 방송사가, ADSL 방식의 서비스에는 KT와 하나로통신이 뛰어들며 서비스의 과도기로 접어들었다.

하지만 2002년 11월 현재, 케이블 모뎀 사업자중 그나마 살아 남은 곳은 두루넷(SK 싱크로드를 인수)과 하나로통신(드림라인을 인수), 온세통신 샤크, 데이콤 보라홈넷과 지역 유선 방송사 뿐이며, 이 중에서도 흑자를 기록한 곳은 두루넷(2002년 상반기)과 하나로통신(2002년 하반기) 뿐이다(그리고 하나로통신의 흑자도 케이블 서비스만으로 얻은것이 아니다). 그리고 흑자를 기록한 회사가 적자 회사를 인수 합병해서 사업자 재편이 이어질 것이라는 예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싱크로드는 이렇게 C/M 사업을 매각했다.


‘광폭 인터넷’, ‘총알 인터넷’, ‘집 앞까지 광케이블로 온다는’ 케이블 모뎀에 대한 소비자들의 만족도는 어떤가. 초기에는 설치 지연과 잦은 끊김, 그리고 요즘에는 상향 트래픽 제한과 포트 제한, 만족스럽지 못한 속도로 많은 가입자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너거들이 감히 나를 따라잡겠다고?
2년 뒤에나 보자구…


이에 비씨파크에서는 3부작 기획특집, ‘케이블 모뎀의 오늘과 내일’ 을 마련했다. 이 특집에서는 그동안 가입자들이 알고 싶어했지만 ISP는 알리고 싶지 않았던 각종 정보들을 가감없이 모두 공개할 것이다. 어떤 외압이 있다 해도, 어떤 모함이 있더라도 이 모든 정보들을 밝힐 계획이다.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가 ADSL과 케이블 모뎀을 넘어서 메트로 이더넷(NTopia 등)과 무선랜(KT Nespot, 하나로 AnyWay)으로 진화하고 있는 이 때, 이런 일은 반드시 누군가가 해야 하고, 또 언젠가는 밝혀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파헤쳐주마.


오늘은 그 첫번째 순서, ‘케이블 모뎀, 그 속도의 비밀을 까발린다’ 부터 시작하도록 하자.

1. 속도, 과연 얼마나 나나?

이번 달 초부터 필자가 진행해온 각종 케이블 모뎀의 리뷰를 쭉 읽어오셨던 분들이라면, 그동안 필자가 속도제한오매가(束道制限吳罵歌), 건개다내이시언(健慨多內以時言), 속도제한구매가(束道制限狗罵歌), 십매가풍(什埋可風)등 알듯 말듯한 단어를 동원해서 리뷰를 무협지판(?)으로 만들어버렸던것을 기억하고 계실것이다. 그 중에서도 속도제한오매가, 속도제한구매가, 십매가풍은 알겠는데… 대체 건개다내이시언(健慨多內以時言)은 무슨 뜻일지 궁금해하셨던 분들이 많으셨던 것으로 안다. 자, 오늘 필자가 그 모든 비밀을 밝히겠다. 주목하고 따라들 오시라.

케이블 모뎀 사용자들 사이에, 주홍정보통신의 슈퍼링크 시리즈와 우전시스텍의 인텍 시리즈의 속도에 대한 신화(?)가 퍼지기 시작한 것은 2001년 초반부터였다. 그도 그럴 것이, 2~3Mbps에서 맴돌던 속도가 모뎀을 교체하자마자 5Mbps에서 최대 7Mbps 이상으로 뛰어 올랐으니 그 당시로는 얼마나 놀라웠겠는가. 그리고 당시 삼성 InfoRanger(SCM-R110)을 사용하고 있던 필자도 사실 매우 흥미로웠다.

이러한 신화가 대표적인 초고속 인터넷 벤치마크 사이트인 벤치비를 통해 번지면서, 모뎀을 교체 받는 방법에 대한 질문과 답변 글, 심지어는 ‘이렇게 하면 100% 모뎀 교체를 받을 수 있다’ 는 글까지 횡행하곤 했다. 아울러 각 ISP의 상담 센터에 있던 상담원 여러분들은 매일매일 모뎀을 교체해달라고 요구하는 사용자들과 전쟁을 치러야 했으니, 이를 가리켜 ‘십매가대전(什埋可大戰)’ 이라 한다. 어쩐지 某 게임과 제목이 비슷한데… 에이, 그냥 넘어가도록 하자.




“그러니까 속도 안나니까 바꿔달라고오--!”


그렇다면, 과연 이러한 모뎀의 속도가 얼마나 나왔던 것일까? 아래에 그동안 비씨파크에서 수행한 케이블 모뎀 속도 측정 결과값을 공개하고자 한다. 대상이 된 모뎀은 아래와 같이 총 다섯 종류이며, 윈도 XP나 윈도 2000에서 테스트한 결과값중 가장 높은 결과값을 골라서 사용했다(표준편차는 0.5Mbps이다).





아울러 속도 측정 환경은 다음과 같다.

모토로라 DM-100 : 하나로 자가망, 한국 전산원 서버, 윈도 2000, 속도 패치 적용
주홍정보통신 SuperLink 2000 (신형) : 하나로 자가망, 한국 전산원 서버, 윈도 XP, 속도 패치 적용
우전시스텍 Intac-2000 : 하나로 자가망, 벤치비 서버, 윈도 XP, 속도 패치 적용
모토로라 SurfBoard 4200 : 하나로 자가망, 벤치비 서버, 윈도 2000, 속도 패치 적용
주홍정보통신 SuperLink 2800 : 하나로 자가망, 벤치비 서버, 윈도 XP, 속도 패치 적용

주1) 속도 측정에는 동시 사용자 수, 사용 시간대 등 많은 변수가 작용한다. 따라서 위의 결과값이 해당 모뎀에서 항상 발휘된다고는 생각할 수 없으며, 위의 결과값은 ‘그 모뎀이 이론적으로 낼 수 있는 최대 순간 속도’를 측정한 것이라고 생각해야 옳다.

주2) 참고로 DM-100에 특정 랜카드를 적용하면 속도가 폭발적으로 증가한다는 게시물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정확한 원인 규명을 끝내지 못한 관계로 그 결과값을 사용하지 않았다.

자, 위의 결과값을 지켜보니 기분들이 어떠신지? 자신이 사용하는 모뎀이 상위에 있어서 어쩐지 뿌듯해지시는 분도 있을테고, 하필이면 속도가 안나는 모뎀을 쓰고 있어서 기분이 나빠지시는 분들도 있을 듯 하다. 벤치마크를 수행하면서, 보다 다양한 모뎀의 결과값을 얻어내고 싶은 마음이 간절했다. 하지만 이런 저런 제약이 있는 관계로, 부득이 위 다섯개의 모뎀만을 이용해서 결과값을 얻어내게 되었다.

2. 속도의 비밀, 그 키워드를 쥔 concatenation

그런데, 대부분의 모뎀이 최대 속도 8Mbps를 기록하는데 반해, 왜 DM-100만은 5.23Mbps라는 매우 저조한 수치를 기록하게 된 것일까?

여기에서, 필자가 심심하면 써먹던 했던 단어. 바로 건개다내이시언(健慨多內以時言)을 언급하고 넘어가야겠다. 이 건개다내이시언은 바로 concatenation(컨캐터네이션)이며, 사전적 의미로는 ‘결합’ 을 의미한다. 아마 조금이라도 VB나 C++ 프로그래밍을 공부하셨던 분이라면, 문자열 결합이니 하는 것을 배웠을것이다. 바로 그 ‘결합’ 이 concatenation이다.

하지만 이 concatenation이 케이블 모뎀쪽으로 넘어오면 전혀 의미가 달라진다. 케이블 모뎀의 표준인 DOCSIS 1.1에서 규정하고 있는 concatenation을 영어로 그대로 풀어보면 다음과 같다.

Concatenation - Allows bundling of multiple small packets to increase throughput

이를 해석하자면 다음과 같다.

Concatenation – 데이터 처리량을 높이기 위해서 여러개의 작은 패킷을 묶어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기능

자, 여기까지 읽고 나서 뭔가 감이 잡히시는가(설령 그렇다 하더라도, 조금만 참고 필자를 따라와 주시라. 거의 다 왔다)?

즉, 이 Concatenation 기능이 있다면, 이 기능이 없는 모델에 비해 같은 시간에 좀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해서 속도를 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필자가 밝힌대로, Concatenation에 모든 수수께끼를 풀 수 있는 해답이 숨어 있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질문하시는 분도 있을 듯 하다.

“저기요, 그럼 속도가 안 나오는 모뎀은 모두 Concatenation인가 뭔가 하는 기능이 없는 모뎀인가요?”

당신은 훌륭한 학생이군요. 하나를 알려주면 둘을 알다니. 바로 그렇다. 단언해도 좋다.

속도가 안 나는 모뎀은 모두 Concatenation을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는 모뎀인것이다!

아, 이 결론을 내기 위해서 그동안 필자가 숱한 밤을 잘 하지도 못하는 영어로 된 웹사이트를 돌아다니면서 고생했던걸 생각하면… 이 글을 읽고 계시는 여러분들, 필자한테 박수 한번 쳐 주라.

좀 더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케이블 모뎀의 표준인 DOCSIS 1.1에 이 Concatenation이 포함되어 있다. 결국, DOCSIS 1.1을 ‘제대로’ 지원하지 않는 모뎀들은 전부 속도가 안난다고 봐도 된다. 이 말을 다시 뒤집어서 말한다면, 비 표준 모뎀이나 DOCSIS 1.0만을 지원하는 모뎀에서는 절대 5.4Mbps를 뛰어넘는 속도를 낼 수 없다는 소리다.

따라서, 모토로라의 구형 비표준 모뎀인 사이버서퍼 시리즈나 DM-100, 삼성의 구형 인포레인저 시리즈(SCM-100R, SCM-110R, SCM-120R)를 사용하는 사람들이라면 절대 좋은 속도를 기대할 수 없다. 사이버서퍼는 일단 비표준 모뎀이고, DM-100은 DOCSIS 1.0만을 지원하며, 구형 인포레인저 시리즈도 DOCSIS 1.0만을 지원하니까. 모뎀이 정말 후진(?) 경우라면 저 속도도 안 나오는 경우가 허다하고, 게임방등에서 사용되는 시스코사의 케이블 모뎀의 경우에는 경악스런 속도를 볼 수 있다고 한다(그러니까 팔방미인을 찾는건 어려운 일이다).

혹시라도 필자의 말을 믿지 못하는 분들이 있다면, 다음 주소에 접속해서 PDF 파일을 살펴보시기 바란다. DOCSIS 1.1에서야 Concatenation을 지원하고 있을테니.

//www.ieee802.org/3/efm/public/jul01/presentations/gummalla_1_0701.pdf




위의 PDF파일에서 한 페이지를 캡처한 내용이다.
필자는 거짓말 안한대도…


절대 믿을 수 없다고 주장하시는 분들에 대해, concatenation이 DOCSIS 1.1에서 새로 추가되었다는 명백한 증거를 하나 더 주장하고자 한다. 케이블 모뎀의 표준인 DOCSIS를 관장하는 곳인 CableLabs에서 제공하는 FAQ의 한 부분을 보여드리고자 한다. 이 FAQ는 아래의 URL에서 보실 수 있다.

//www.cablemodem.com/faq/#FAQ17





혹시나 싶어서 친절한 필자, 날림이지만 해석까지 다 해놨다.

DOCSIS 1.0하고 1.1 사이에 어떤 중요한 차이가 있는거니?

DOCSIS 1.0하고 1.1 사양은 www.cablemodem.com에 있단다.

요악하자면, DOCSIS 1.1은 1.0을 바탕으로 만들었지만, 다음 기능들도 포함하고 있지롱.

(전략)
* Concatenation
(후략)

Concatenation 이외에도 몇 가지 기능들이 더 나오는데, 이 내용들은 속도와는 하등의 관계가 없고, 알아도 그다지 도움될것이 없으므로 과감히 생략하도록 하자.

자, 그럼 더 흥미있는 자료를 살펴보자. 아래는 각 모뎀에 들어가는 칩셋들을 망라한 도표이다. 아마도 우전시스텍이 주식 공모용으로 제출한 자료이기 때문에 매우 정확할 것이라 본다. 아울러 자료에 나와있지 않은 제품의 칩셋은 필자가 A/S를 포기하고, 십자 드라이버에 일자 드라이버, 6각 드라이버까지 동원해서 나사를 모조리 풀어 확인했으니 신용해주시기 바란다. 신용사회, 이거 매-우 중요하다.


필자한텐 이거 줘도 된다니깐…




아울러 위 그림파일의 원본은 다음의 URL로 접속하면 찾아볼 수 있다.

//www.kosdoctor.co.kr/doc/GONGMO/%EC%9A%B0%EC%A0%84%EC%8B%9C%EC%8A%A4%ED%85%8D-05.htm

위 자료를 보면, 여러가지 흥미로운 사실이 발견된다. 일단은 그동안 모든 모뎀을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있던줄로 알았던 주홍정보통신도, 실은 OEM을 받거나 하청을 받았던 역사가 있었다는 것. 아울러 우전시스텍의 Intac-2000과 주홍의 SuperLink 2000 (구형) 은 똑같은 사양을 보여 주고 있는데, 거의 동일한 모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어쩌면 기판까지 똑같은 모양을 하고 있지 않을까. 여기서 필자는 여러분들에게 약속한다. Intac-2000과 SuperLink 2000 (구형) 모델의 PCB 사진을 반드시 입수해서 올릴 것을. 입수한 사진은 이번 연재 기획물이 끝나기 전까지 여러분들에게 반드시 공개하도록 하겠다.

참고로, 슈퍼링크 2800은 국내 개발품이라고 한다. 착오 없으시길 바란다.

모뎀의 칩셋으로 사용되고 있는 Broadcom사의 칩셋을 살펴보면, BCM3220 – BCM3315 칩셋을 채용한 모뎀들은 전부 속도가 나오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마디로 이 칩셋이, concatenation을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소리가 되겠다.

하지만 BCM3345와 BCM3350 칩셋을 채용한 일련의 모뎀들은 모두 그동안 속도가 잘 나온다고 평가받았던 모뎀이다. 이 칩셋들이야말로 concatenation을 제대로 지원하는 칩셋들인 것이다.

마찬가지로, Texas Instrument가 사용하는 칩셋 중 TNETC4042는 하드웨어적으로 concatenation을 지원하는데 반해, TNETC4030은 concatenation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속도가 떨어지는게 아닐까 싶다. 수 많은 노력을 한 끝에 TNETC4042의 사양은 알 수 있었지만, TNETC4030은 무슨 일을 해도 사양을 찾을 수 없었다. 자료가 없는 까닭에 단정을 할 수 없는 점 양해 바란다.




TI-4042에 대한 설명. 빨간색 사각형 안을 주목하시기 바란다.


자, 이 자료를 가지고 벤치마크 결과를 다시 분석해 보자. 여러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을 다시 넣어 보도록 하겠다.



주홍정보통신의 슈퍼링크 2000 (신형)은 Broadcom사의 BCM3350 칩셋을 채용하고 있고, 반면에 모토로라의 서프보드 4200도 역시 Broadcom사의 BCM3345 칩셋을 채용하고 있다. 그런데 모델명만으로는 슈퍼링크 2000(신형) 이 더 속도가 잘 나와야 할 것 같은데, 어째서 서프보드의 속도가 무려 1Mbps 이상 더 잘 나오는 걸까?

그 비밀은 바로, 칩셋의 동작 속도에 있었다. BCM3350의 동작 속도는 80MHz인 반면에, BCM3345의 동작 속도는 140MHz인 것이다. 허거덩… 그러니 서프보드 4200이 슈퍼링크 2000 (신형) 보다 속도가 더 좋을 수 밖에… 그 외에, 서프보드 4200은 100Mbps 랜을 지원하고, 슈퍼링크 2000 (신형) 은 10Mbps 랜을 지원한다는 것도 속도에 영향을 주는 원인이 되겠다.

자, 하는 김에 마지막으로 각 CPU의 클럭수까지 모두 밝히도록 하겠다. 아울러 이 근거자료는 모두 다음의 URL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고, PDF 파일은 첨부 파일로 포함시켰다. 모토로라의 일부 CPU와 TI사의 TNETC4030은 근거자료를 구하지 못했다. 여러분들의 양해를 구한다.





인텔 SA-110 21281CB

히타치 HD6417709

Texas Instrument TNETC4305(20페이지 참조)

Broadcom BCM3345

Broadcom BCM3350

Motorola MPC850


LSI Logic (C-Cube) CL-2161

아울러, 위에 나와 있지 않은 모뎀을 가지고 계시는 분들은 모뎀을 뜯어서(!) 그 안의 칩셋을 디카로 찍거나 스캔해서 필자에게 보내주시기 바란다. 필자가 파고 또 파고 철저히 뒤져서, 칩셋의 스펙을 낱낱이 밝혀드리도록 하겠다.

3. 그럼 왜 나는 속도 안나는 모뎀을 써야 하는건데?

자, 필자는 이제 케이블 모뎀의 속도에 얽힌 모든 정보를 공개했다. 막상 쓰기 시작할때는 무엇을 어디에서부터 손대야 할지 굉장히 혼란스러웠지만, 모든것을 공개한 지금은 뿌듯하다. 여러분들은 어떤가?

아마도 지금쯤, “아! 그래서 내 모뎀이 속도가 좋구나!” 라든지, “이런 XX… 그럼 내가 지금까지 속도 안나오는 모뎀을 쓰고 있었단 말야?” 등등, 여러가지 생각을 하고 계시지 않을까 싶다.

여기에서 필자가 지금까지 떠든(?)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블 모뎀의 표준인 DOCSIS 1.1에 포함된 concatenation은 케이블 모뎀의 데이터 처리량을 높이기 때문에 전송 속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 DOCSIS 1.1을 제대로 지원하는 모뎀에서는 높은 속도를 얻을 수 있다. 반면에, 비표준 모뎀이나 DOCSIS 1.0만을 지원하는 모뎀에서는 절대 높은 속도를 얻을 수 없다.
그리고 DOCSIS 1.1, 특히 concatenation을 제대로 지원하는 모뎀이라 하더라도, 칩셋의 동작 속도에 따라 속도에 차이가 난다.”

…가 되겠다.

그런데 여러분들, 생각을 돌려서 잠깐만 생각해 보시기 바란다.

똑같은 임대료를 내고(개중에는 약정을 통해서 좀 더 낮은 임대료를 내는 분도 있겠지만), 왜 다운족인 나는 속도 안나오는 모뎀을 쓰는데 옆집의 야행성 날림 테크니컬 라이터는 좋은 모뎀을 쓰는걸까?

이것 참 억울하지 않은가? 이건 중요한 문제다.

하지만, ISP라고 그렇게 하고 싶어서 하는걸까? 아니다. 절대 아니다. 똑같은 돈 내고 속도가 안나오는 모순 뒤에는, 바로 ‘임대제’ 가 있었다.

[To be continued.
다음에는 ‘제 2부 : 울며 겨자먹기, 모뎀 임대제도의 허와 실’ 이 계속됩니다.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

written by (sakurachan)
2002-11-08 16:26:14
35033 번 읽음
이 글에 총 1 개의 파일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총 2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안태훈 '02.11.19 1:38 AM 신고
    실예로 경남 금양케이블망(파워콤아님)지역에서는두루넷 dm100 모뎀이 최고 18메가까지 나왔읍니다..머라고 정의 내릴수없다고봅니다...님은 참고자료만보시고..한것같은데..100%일순없죠..그저참고일뿐..^^ ↓댓글에댓글
  2. 2. 안태훈 '02.11.19 1:44 AM 신고
    참고로 한국통신.두루넷.샤크..3사 현장에서 일했읍니다..현장에서 보고 배운것들입니다..책상에 앉자쓴논문따위는 현장에서는 안통합니다..*.* ↓댓글에댓글
  3. 3. 박정남 '02.11.19 1:42 AM 신고
    수고하셨구요. 개인적으로 많은 도움 됐습니다. 꾸벅 ^^ ↓댓글에댓글
  4. 4. 강형빈 '02.11.19 6:17 PM 신고
    빨리 제2부도 만들어주세여... 모뎀 임대제도에 대해서 알고싶네여.. ↓댓글에댓글
  5. 5. 김민진 '02.11.19 9:42 PM 신고
    이 글을 읽고 두루넷 가입하고 3년만에 첨으로 케이블모뎀이 무슨 모델인지 확인해봤습니다..... DM-100입니다... ㅡㅡ; 어차피 컴터도 별로 좋은것이 아니라 속도에 별로 신경안쓸랍니다. ↓댓글에댓글
  6. 6. 고준환 '02.11.20 3:49 AM 신고
    얼마전 메가패스 쓰다가 도저히 짜증나서 못쓰겠기에 하나포스 케이블 프로로 바꿨습니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이넘도 속도가 영... 다운 최고 4메가, 업 최고 500... ㅡㅡ;; 제 룸메이트도 저하고 같은 케이블 프로를 쓰는데 ↓댓글에댓글
  7. 7. 고준환 '02.11.20 3:50 AM 신고
    이넘은 다운 최고 8메가, 업 최고 800까지 나옵니다. 문제는 모뎀이 다르다는건데 친구와 제 컴퓨터 사양은 같습니다. 오히려 제가 램에서는 그 친구의 두배죠. 혹시나 해서 모뎀을 바꾸고 테스트 해봤더니 저 역시 8메가에 육박하 ↓댓글에댓글
  8. 8. 고준환 '02.11.20 3:52 AM 신고
    는 속도가 나오더군요. 그러서 일단 모뎀 교체해달라고 전화는 했는데 어째 연락도 안오고...ㅡ.,ㅡ;;; 참고로 저는 신형모뎀이라는 CANONPUS 4000을 쓰고 있고 친구는 NET&SYS의 MNG 2005를 쓰고 있습니다. ↓댓글에댓글
  9. 9. 고준환 '02.11.20 3:54 AM 신고
    사실 윗글을 읽어봐도 이해가 잘 되질 않는군요... 욕심같아선 제가 쓰는 모뎀에 대해서도 알려주셨으면 좋겠지만... 한번 확 뜯어볼까? ㅡㅡa 에혀... 어쨌거나 이러다가 열통터져 죽겠습니다... ↓댓글에댓글
  10. 10. 김성수 '02.11.22 5:25 PM 신고
    정말 좋은 정보입니다. 삼성 110사용중인데. 어쩐지 속도패치하나마나 속도가 똑같더니만.. 다 이유가있었군요, 정말 억울하네요.. 똑같은돈 내고 쓰는데..ㅠㅠ 당장 바꿔달라구해야겠어요. ↓댓글에댓글
  11. 11. 양종근 '02.11.26 8:41 AM 신고
    저런게 있을줄이야... 4년동안 쓰면서 썩어빠진 모뎀을 쓰고 있었다니... 참고로 하나로... 어쩐지 속도가 안나온다고 했다! 전화로 당장 따져야지 모뎀 임대료 주는데 뭘 못 바꿔 에이 욕나와 ↓댓글에댓글
  12. 12. 장영찬 '02.11.30 7:22 AM 신고
    모뎀에 불만 있으면 당장 반납하고.. 직접 좋은모뎀 사서 쓰세요. 고장나면 직접 고치고. 케이블 안되는 동네로 이사가면 중고로 팔고 adsl 모뎀으로 사고.. 직접 사서 쓸수 있는데 왜 궂이 빌려쓰면서 그 난리인지.. ↓댓글에댓글
  13. 13. 김명종 '02.12.3 7:23 AM 신고
    저 두루넷 프리미엄에 서프보드4100씁니다. 속도는 10메가에서 8메가 와따가따 참고로 amd 1700+ 256sd램임당. . 라이트쓸때는 1.2메가 나오다가 열받아서 3000원차이길래 프리미엄으로 바꾸니 10메가에 육박하던데요 ↓댓글에댓글
  14. 14. 박용덕 '02.12.6 12:06 PM 신고
    이상하네요 전 110r입니다.. 삼성 인포레인저가 아니라 시스코 시스템이라고 되어 있군요.. ↓댓글에댓글
  15. 15. 박철순 '02.12.5 10:59 AM 신고
    저희집은 두루넷 세이버구요 모뎀은 모토로라 surfboard 4100 인가인데 한국전산원에서 10메가 좀 넘게 나오던데.. ↓댓글에댓글
  16. 16. 박용덕 '02.12.6 12:08 PM 신고
    전.. 위에 c어쩌구 1.1지원 안 하는 모뎀인데.. 속도는 700kb 이상 나올때도 있습니다.. 700kb=5.6m정도 되겠지요.. 표시 형식이 틀린거니.. 왜 그런걸까요 ? :) ↓댓글에댓글
  17. 17. 승재 '02.12.8 2:39 PM 신고
    MNG-2005 쓰다가 USB때문에 MNG-2002로 바꾸었는데요... 아주 잘나옵니다.. 간혹 10메가도 끊습니다.. (하나로 케이블 프리미엄) ↓댓글에댓글
  18. 18. 신주환 '02.12.10 12:31 AM 신고
    mng-2005 모뎀 뒤에 보면 usb포트 없는 새로 나온 모델 있는데 그게 10메가 이상 나오구 usb포트 있는 mng-2005는 속도 잘 안나와요...인텍이나 주홍은 다 8~9메가 나오고요...아진꺼도 좋고 모토꺼 구리고.. ↓댓글에댓글
  19. 19. 신주환 '02.12.10 12:33 AM 신고
    그리고 윈도 xp + 인터넷 익스플로러 6.0 컴사양이 웬만큼 받쳐주지 않으면 짜증날 정도로 느리게 뜨죠...그 xp특유의 딜레이 현상...버그라고 할수 있을정도죠...xp쓸라면 램 512이상 달고 써요....ㅋㅋㅋㅋㅋㅋ그리고 ↓댓글에댓글
  20. 20. 신주환 '02.12.10 12:32 AM 신고
    속도는 잘 나오는데...인터넷 페이지 뜨는 속도 느린건 컴이 구려서 그래요...컴을 업글 하세요.. ↓댓글에댓글
  21. 21. 신주환 '02.12.10 12:34 AM 신고
    인터넷 익스플로러 임시 인터넷 파일 저장공간 용량은 5메가 이하로 하세요...크다고 좋은게 아녜요...어떤 무식한 사람들은 보면 100메가 심지어 1기가 이상 잡혀 있는 사람들도 있더군요..물론 컴에서 자동으로 잡힌 거겠지만. ↓댓글에댓글
  22. 22. 신주환 '02.12.10 12:35 AM 신고
    임시 인터넷 파일 저장공간은 5메가 이하로 잡아 주시면 전보다 더 빨라진 인터넷을 느끼실 거에요...그리고 모뎀은 각 isp에 전화해서 좋은 걸로 바꿔달라고 하세요...좋은 모뎀 달았는데도 속도가 안나오면 해지하세요... ↓댓글에댓글
  23. 23. 신주환 '02.12.10 12:36 AM 신고
    해지하고 엔토피아나, 이밸리, 단지넷 같은 메트로이더넷 들어가는 아파트로 이사가서 그거 쓰셔요..우쿠쿠쿠쿠쿠쿠쿠쿠쿠쿠쿠 ↓댓글에댓글
  24. 24. 신주환 '02.12.10 12:38 AM 신고
    그리고 윤익 모뎀은 절대 비추 윤익(캐노퍼스 시리즈...쿠쿠쿠) ↓댓글에댓글
  25. 25. 이혁수 '02.12.13 1:27 PM 신고
    전..하나로통신 케이블을 사용하는데.. starlink21(세진T&M) 이라는 모뎀을 쓰는데.. 속도가 1매가는 커녕 빨라야 500정도밖에 안나오던데.. 제꺼 케이블모뎀이 꾸져서 그런가요??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댓글에댓글
  26. 26. 임경희 '03.1.26 4:57 PM 신고
    두모 통신업체에서 초기에 판매하던 모토롤라 사이버서퍼 모델 쓰는 사람도 있습니다. 더구나 이 모뎀을 구매해서 사용하고 있죠. -_-;; (두모업체 초기인 98년 가을부터사용했으니 사용 횟수로 6년째이군요.) 아~.. ↓댓글에댓글
  27. 27. 이민우 '02.12.26 5:51 PM 신고
    난 그유명한 b&a 엄마한테 매일 조름 vdsl바꿔달라고... 바꿔저~~~~` ↓댓글에댓글
  28. 28. 임경희 '03.1.26 4:58 PM 신고
    당황스러운것은 전화상담하면서 안건데 구매 모뎀임에도 불구하고 임대 모뎀으로 등록이 되어 있다는... 고발할까요? 98년 입금 내역 확인해서 구매 모뎀으로 되었습니다.
    방금 두모업체 고객 지원센터에 전화를 해.. ↓댓글에댓글
  29. 29. 임경희 '03.1.26 4:59 PM 신고
    해서 모뎀 교체건에 대해서 이야기 하였으나, 당연히 교체 불가라는 말을... 그럼 임대하겠다고 하였더니, 6년 사용해온것이고 뭐고 필요없이 무약정 9천원, 1년 약정 4500원, 2년 약정 3천원을 내라는군요. 당연한.. ↓댓글에댓글
  30. 30. 임경희 '03.1.26 4:59 PM 신고
    당연한건가요? -_-

    추가로 금액을 지불하고서라도 좀 더 좋은 환경에서 임대를 받는데 모뎀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하였으나, 선택할 수 없다고 하는군요. 어떤 모뎀이 요즘 임대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은.. ↓댓글에댓글
  31. 31. 임경희 '03.1.26 5:01 PM 신고
    케이블모뎀만 사용해야 하는데... 서비스업체를 선정할 수 있는 여건이 되신분이 부럽습니다. ↓댓글에댓글
  32. 32. 바다고기 '03.4.6 6:31 PM 신고
    :-D*저의 집은 속도 측정 잘나올때 다운 755 k/s 업 120 k/s 인터넷상에 서눈 다운 1.10 MB 나오다가도 500 ~ 600 추락 ↓댓글에댓글
  33. 33. 임경희 '03.1.26 5:04 PM 신고
    다운 566k/s, 업 29.5k/s 그냥 모뎀을 하나 사서 바꾸는게 현명한 판단일까요? 지금까지 업로드는 50을 넘긴적이 없었습니다. 초기에 잘 나올때는 45k/s 정도였던걸로 기억나네요. 이게 바로 모뎀의 한계인지... 요.. ↓댓글에댓글
  34. 34. 장창현 '04.5.18 2:25 AM 신고
    :-)*후후 핑날라다니고 업속도보다 다운속도가 안나오면 좌절합니다 ↓댓글에댓글
  35. 35. 권봉석 '02.11.9 12:38 AM 신고
    위의 벤치마크 결과에서 수치 잘 나오는 모뎀을 쓰시면 되겠슴다. ↓댓글에댓글
  36. 36. 김승남 '04.5.18 1:41 PM 신고
    :-)*훗,,예전 자료가 다시 위로 올라왔네,ㅋ ↓댓글에댓글
  37. 37. 장우석 '02.11.9 3:16 AM 신고
    두루넷 싱크로드 인수..............싱크로드를 인수 한건 정확히 모르겠고..... 싱크로드의 이름을 달고 ...서비스를 제공해주던 지역유선방송업체들은 지금 하나로회선을 제공하기도 하더군요.. ↓댓글에댓글
  38. 38. 송진석 '02.11.10 5:15 PM 신고
    삽 공구합시다 ↓댓글에댓글
  39. 39. 노진수 '02.11.9 1:28 AM 신고
    저는 현재 인텍-2000 쓰고 있습니다. 히히-_-; 두루넷 대부분 인텍 모뎀을 많이 쓰더군요.. ↓댓글에댓글
  40. 40. 송영진 '02.11.8 6:11 PM 신고
    저기 삽이 좋아보이는데 어디껀가요? 빨간색 삽은구하기 어려운데 ↓댓글에댓글
  41. 41. 지승재 '02.11.10 10:39 PM 신고
    ㅡ.ㅡ 진짜 신기한거는 저는 5년전부터 방배동 살았는데요.. 4년전에 두루넷 가입하구요.. 그때 처음 가입했을때 모토로라 검정거아시죠? 그거 였는데 초당 800kb 나왔습니다.. 그때는 그런거 지원되는거 모르지만.. ↓댓글에댓글
  42. 42. 김근표 '02.11.10 8:11 PM 신고
    저도 모토로라 dm-100 씁니다...속도 젤 빨랐던게...5메가입니다...ㅠ.ㅠ ↓댓글에댓글
  43. 43. 박병철 '02.11.8 6:15 PM 신고
    내가 말하고 싶은걸 올려주니 속이 시원하군... ㅎㅎㅎ ↓댓글에댓글
  44. 44. 박상신 '02.11.8 6:31 PM 신고
    저는 삼성InfoRanger(SCM-110R) 쓰고있는데 어쩐지 5.4메가를 절대넘지 못하더라...아 짜증~ 임대제 보고 하나로 전화할까 말까 고심좀 해야겠네여...억울하네! ↓댓글에댓글
  45. 45. 임흥택 '02.11.8 6:43 PM 신고
    NET&SYS의 MNG-2005사용합니다. 새로운넷케이블모뎀이 거든요..DOC1.1지원하는 지 확인해주세요 ↓댓글에댓글
  46. 46. 이치승 '02.11.8 6:47 PM 신고
    필자님 따봉!!(AAA).. 제 꺼는 Xrosstec 社의 CRUISER인데엽. 두루넷 초기에 대여해주던 모뎀임다. 제것두 확인부탁.. ↓댓글에댓글
  47. 47. 최일석 '02.11.8 6:55 PM 신고
    저는 보라홈넷쓰는데 모뎀이 DOXport 111 COM21이라 되어있는데 어느회사껀지 알수있을까요? ↓댓글에댓글
  48. 48. 김식 '02.11.8 6:55 PM 신고
    흐음... 필자 님의 말씀대로라면 암만 좋은 [비씨팍] 패치를 깔아도 모댐을 바꾸기 전에는 소용없다는 말씀이시군요.그럼 유로로 아무리 훌륭한[?] 패치 받아쓰니 그돈 모아 모댐을 교체하는게 더 속도 올리는데에는 효과 적이겠군요. ↓댓글에댓글
  49. 49. 박상신 '02.11.8 6:55 PM 신고
    제 케블모뎀 DOCSIS1.0/1.1 호환성 이라구 나오더군여 자회사 홈페이지에서 보니깐 ↓댓글에댓글
  50. 50. 최일석 '02.11.8 6:58 PM 신고
    위에이어서 모델은 dp-111이라네요 ↓댓글에댓글
  51. 51. 박상신 '02.11.8 6:57 PM 신고
    인포레인져 120R은 DOCSIS1.1 표준채택이라구 나오구 참나! 그럼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해주던가! 임대제보고도 화가 안풀리면 하나로에 전화해서 DOCSIS1.1 표준모뎀 달라구 따져야지! ↓댓글에댓글
  52. 52. 박상신 '02.11.8 6:59 PM 신고
    ISP 업체넘들은 역시 이런 엄청난것을 숨기고 있었다니! 어쩐지 삼성모뎀을 잘주더라! 케블모뎀에서 알아서 속도제한 걸어주니깐 ISP측에서는 좋겠지...사용자는 짜증나고! 그래서 주홍모뎀 자급제를 반대했던거였군... ↓댓글에댓글
  53. 53. 권봉석 '02.11.8 7:25 PM 신고
    저 글의 내용은 케이블 모뎀에만 해당됩니다. ADSL 모뎀은 전혀 상관 없습니다^^ ↓댓글에댓글
  54. 54. 권봉석 '02.11.8 7:54 PM 신고
    그리고 삽이 어디건지를 물으시는 분이 있는데, 저도 걍 인터넷에서 퍼온거라 메이커가 어디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댓글에댓글
  55. 55. 이석인 '02.11.8 7:21 PM 신고
    하나로에서 제공하는 윤익 UK-2001ADSL모뎀은 위의 기능이 제공되는지 궁금합니다. ↓댓글에댓글
  56. 56. 황희승 '02.11.8 7:28 PM 신고
    전 모톨로라 sb3100이랍니다 ㅜㅜ 5메가 못나오는 ↓댓글에댓글
  57. 57. 정승익 '02.11.8 9:24 PM 신고
    샤크 NET&SYS의 MNG-2005사용합니다. DOC1.0을 지원하고 있는데 최고속도가 10.23Mbs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이것은 어떻게 설명을? ↓댓글에댓글
  58. 58. 정승익 '02.11.8 9:30 PM 신고
    그럼 이런것도 소프트웨어적으로도 1.1로 업그레이드가 돼는지 궁금합니다~ ↓댓글에댓글
  59. 59. 박병철 '02.11.8 8:40 PM 신고
    인터넷에는 모든게 있다면서? 삽의 메이커도 찾아봐. ㅋㅋㅋ ↓댓글에댓글
  60. 60. 정승익 '02.11.8 9:25 PM 신고
    2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화이팅!~~~ ↓댓글에댓글
  61. 61. 정승익 '02.11.8 9:29 PM 신고
    홈페이지 설명서에 이런것이 있네요 ~ S/W upgrade를 통한 DOCSIS 1.1 및 EuroDOCSIS 1.1 지원 ↓댓글에댓글
  62. 62. 이우진 '02.11.8 10:45 PM 신고
    신용사회, 이거 매-우 중요하다. ↓댓글에댓글
  63. 63. 김민종 '02.11.8 9:32 PM 신고
    제길... 그동안 ISP들이 우리를 속였군... ↓댓글에댓글
  64. 64. 이우진 '02.11.8 10:54 PM 신고
    이런~~ 비씨파크는 이런 사실을 알고 있었으면서도 속도패치만 하면 adsl은 8메가, 케이블은 10메가 까지 나온다고 허위 광고를 했군 ↓댓글에댓글
  65. 65. 박병철 '02.11.8 11:13 PM 신고
    좋은 모뎀을 사용하고 좋은 환경이라면 8메가 10메가 가능합니다... ↓댓글에댓글
  66. 66. 박성우 '02.11.8 11:17 PM 신고
    저기 위에 있는총 카스에서 CT의 기본 권총이군요 ㅎㅎ ↓댓글에댓글
  67. 67. 노진수 '02.11.9 12:12 AM 신고
    정승익님// 그모델이 10.23 메가라니.. 제가 그모뎀 써봐서 압니다. 오랫동안 써와서 아주 잘알죠.. 그속도 죽어도 나오기 힘듭니다. 그모델이 차기에 다시 제작되었다면 DOCSIS 1.1 를 지원 할지도 모르겠지요.. ↓댓글에댓글
  68. 68. 노진수 '02.11.9 12:13 AM 신고
    하여간 넷엔시스 모뎀..상당히 품질이 떨어짐..삼성 인포레인져와 양대 산맥을 이루는 국내 최악의 모뎀.. ↓댓글에댓글
  69. 69. 이상석 '02.11.9 12:14 AM 신고
    소프트웨어적으로라도 컨케터네이션을 지원한다면 정말 속도 잘~나오겠군요. ↓댓글에댓글
  70. 70. 장미선 '02.11.9 12:30 AM 신고
    둘넷 프리미엄을 쓰는 저는 2~3M밖에 안나오걸랑요 - 님의 말씀을 듣고 모뎀을 확인해보니 사이퍼 시리즈더라구요 그렇다면 십메가풍을 사용할려면 대체 어떤 모뎀을 써야 한다는 거죠 ? ↓댓글에댓글
  71. 71. 이상석 '02.11.9 12:14 AM 신고
  72. 72. 장미선 '02.11.9 12:31 AM 신고
    필자님은 아무리 봐도 글을 넘 잘쓰시네요 화이팅 2탄 빨리 보내주시길^^* ↓댓글에댓글
  73. 73. 현병열 '02.11.9 8:05 AM 신고
    초창기 대여해준 모뎀 사용하는데 8메가 그냥 나오던데요.. 대전, 두루넷프리미엄씀.. ↓댓글에댓글
  74. 74. 박병건 '02.11.9 8:06 AM 신고
    참고로 윈도xp에 서비스팩 깔았고요 램은 위에 말씀드렸고 씨퓨는 amd xp1800+ 입니다.. 사양은 그리 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는디... 부탁합니당~~ ↓댓글에댓글
  75. 75. 박병건 '02.11.9 8:03 AM 신고
    둘넷기사가 램이 적어서 그런다는데 ddr 768메가가 적은거란소린데 말도 안되는 소리라 생각하고 요번에 고객만족도 1위 먹었다는 둘넷은 어느고객한테 표받은건지 참나... 누가 응답속도 빠르게 하는법과 로스 없애는 방법좀 알려줘여 ↓댓글에댓글
  76. 76. 박병건 '02.11.9 8:00 AM 신고
    암튼 계속 그러더라구여 ip가 61로 시작하는데 그것땜시 그러나 칭구집은 몇번 엎어지면 코닿을거린데 클릭하자마자 뜨는 엄청난 응답시간이.. ㅡ.ㅜ ↓댓글에댓글
  77. 77. 박병건 '02.11.9 7:58 AM 신고
    마찬가지고 로스가 많이 생기네요 특히 비시파크 속도 패치한후엔 더 생겨여 예전에 리얼택 8139c쓸때는 쪼금 덜했는데 요번에 번개 맞아서 8139d로 바꿨거든요 그래서 그런가? ↓댓글에댓글
  78. 78. 박병건 '02.11.9 7:57 AM 신고
    흠 저는 인텍 2100쓰다가 응답속도 느리다니까 sb4101로 바꿔주더군여 모뎀 바꿔달란소린 안했는데.. 근데 인텍쓸땐 8메가 정도 나오던 것이 sb4101로 바꾸니까 10메가가 넘어가더군여 순간 좋았죠 그러나 응답속도 느린건 ↓댓글에댓글
  79. 79. 박은진 '02.11.9 5:31 AM 신고
    저는 두루넷쓰고있는데요 모뎀이름이 cruiser 이라구쓰여있네여 제껀 족보도 없는건가여? -_-; 제모뎀에대해서 아시는분 설명좀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바꿔야하는지도.. ↓댓글에댓글
  80. 80. 안효진 '02.11.9 4:34 AM 신고
    내꺼능 INTAC2100F 인데.. 이건 어때여? 평균 적으로 8메가는 나오던데 그래도 글을 읽어 보니 어쩐지 찜찜..한 기분이 있네요 ↓댓글에댓글
  81. 81. 유기동 '02.11.9 8:57 AM 신고
    전 인텍-2000 쓰는데 속도가 1Mb정도 밖에 안나오던데...;; ↓댓글에댓글
  82. 82. 장용성 '02.11.9 9:52 AM 신고
    쌰쿠~~씁니다. 인텍 2100E+ 쓰는데 평균 8.5~9 M 정도 나옴당. 다운속도는 홈피마다 틀리네요.. 잘나오는곳은 초당 1.4M 정도.. 같은동네라도속도차이가 많이 나네요 ㅡㅡ;; 이번에 새로 이사한곳은 5M도 안나오니.. ↓댓글에댓글
  83. 83. 이희수 '02.11.9 1:23 PM 신고
    제길...꼬른 메가패스! 난 왜 속도가 2M밖에 안나오는거지? ↓댓글에댓글
  84. 84. 최효원 '02.11.9 11:24 AM 신고
    두루넷 Xrosstech Cruiser (HCM-1000)모뎀을 쓰고 있는데 죽어도 5메가이상 안나오던데 그러 이것도 DOCSIS 1.0인가요? 그럼 모뎀 새로 사서 쓰고 임대료 안주는게 백번 낫겠네요. ↓댓글에댓글
  85. 85. 권봉석 '02.11.9 11:55 AM 신고
    그 모뎀도 DOCSIS 1.0 만을 지원하므로 속도제한오매가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양질의 모뎀을 구입해서 사용하실것을 권해드립니다. ↓댓글에댓글
  86. 86. 류성근 '02.11.9 1:52 PM 신고
    저는 두루넷에 모댐은 서프보드 4100인데 위에는 안나와 있던데 속도잘나오나여 ↓댓글에댓글
  87. 87. 황정우 '02.11.9 1:41 PM 신고
    근데.. adsl 모뎀은 안하나요? ↓댓글에댓글
  88. 88. 조영득 '02.11.9 3:20 PM 신고
    3Com의 3CR29220이란 제품 사용중인데 이건 DOCSIS1.1을 지원하는것 같은데도 속도가 4메가 이상이 안나오네요...새로운넷이라 그런가? ㅡ.ㅡ ↓댓글에댓글
  89. 89. 박세훈 '02.11.9 2:22 PM 신고
    저는 주홍 슈퍼링크2300 스는데 이넘은 머하는 물건인가여(속도도 구리고 ㅡ,.ㅡ)아시는분 정보를 좀... ↓댓글에댓글
  90. 90. 류성근 '02.11.9 1:52 PM 신고
    narsk@sayclub.com답변 점 주세여..정말 궁금하네여.. ↓댓글에댓글
  91. 91. 문태주 '02.11.9 3:21 PM 신고
    어제 모뎀땜에 두루넷에서 왔는데여..모뎀 갈구.. 속도 측정했는데여.. 10MB 넘더군여.. 허걱.. 기사 아저씨도 놀라더군여.. 원래 3~4MB 밖에 안나온다구 하더라구여..이상하져.. 모뎀은 좀 지난 모토롤라 같던데.. ↓댓글에댓글
  92. 92. 이천두 '02.11.9 3:47 PM 신고
    dasan 5000 은 머하는 물건인가여? ㅡㅡ; 속도는 그럭저럭 나오는데.. ↓댓글에댓글
  93. 93. 홍상오 '02.11.9 3:55 PM 신고
    저는 이사오기전에 크로스텍 크루져 쓸때는 패치하고 많이 나와도 4메가 였는데 이사와서 인텍2100F로 바꾸고 패치한후에는 8메가 나오네요. ↓댓글에댓글
  94. 94. 장용덕 '02.11.9 4:17 PM 신고
    저희집은 Netopia VDSL 이라는 외장을 주더라구욤.. 그런데 속도는 영 꼬랐어욤 속도 무쟈게 않나옴.. 속도 매우 불않하구욤 들쑥날쑥.. 다른곳은 환상이라는데 저희 동네는 않좋네욤.. 속았오.. ↓댓글에댓글
  95. 95. 김성국 '02.11.10 10:09 PM 신고
    나오는데 그럼 한국전산원이 틀란건가요? ↓댓글에댓글
  96. 96. 최홍석 '02.11.9 7:29 PM 신고
    전 두루넷(프리미엄)쓰는데 평소에 속도가4~5메가 나왔는데 갑자기 어느날 속도가 1메가 떨어져서 A/S불렀더니 모뎀 바꿔 주더군여...!! 그당시 쓰던 모뎀은 모토로라 옆으로 놓고 쓰는거 검정색인데 모델명은 모르겟구여 ↓댓글에댓글
  97. 97. 최홍석 '02.11.9 7:31 PM 신고
    그거 쓰다가 바꾼게 SB4010인가 그것였는데 그것도 소용없더라구여...그래서 결국 기사분이 주홍2800을 갔다 주시더라구여 더이상 좋은 모뎀 없다구 하면서 박스에서 쌔삥을 꺼내서 설치 했져 그런데 여전히 속도가 안나오더군여 ↓댓글에댓글
  98. 98. 최홍석 '02.11.9 7:33 PM 신고
    계속 1메가 조금 밑 돌더군여 그래서 결국은 보상기준도 안되서 보상도 못받고 이것저것 하니깐 2메가 나오더군여 기사분도 왜 속도가 안나오는지 모르겟다고 하던군여 저도 그게 참 신기 하더군여 그래서 담날 속도 패치 깔고 이것저것 ↓댓글에댓글
  99. 99. 최홍석 '02.11.9 7:35 PM 신고
    했더니 4메가 한번 나오고 계속 3~4메가 혹은 2메가 들락날락하고 있습니다... A/S다시 불러도 모뎀도 여기서 가장 좋은 주홍2800이고 더이상 어케 해야할지 모겟더라구여 ISP를 바꿔여 하나?? ↓댓글에댓글
  100. 100. 최홍석 '02.11.9 7:38 PM 신고
    모토로라 쓸때도 최고 속도인 5메가 까지 나왔는데 왜 더 좋은 주홍 2800쓰는데 안 나오져 해결 방법이 없나여..!! 컴사양은 펜티엄 Ⅲ 800이구여 램은 512 랜카드 리얼텍 8139인가 케이블 모뎀 주홍2800 입니다 ↓댓글에댓글
  101. 101. 김기봉 '02.11.9 7:40 PM 신고
    저희집은 woojyun intac-2100E+인뎅 이건 뭔지;; ↓댓글에댓글
  102. 102. 최홍석 '02.11.9 7:39 PM 신고
    혹시 해결 방법 아시는 분은 멜주세여 ★benu2@hotmail.com★ 저도 8메가 한번 구경하고 싶어여..!! ↓댓글에댓글
  103. 103. 이성종 '02.11.9 9:42 PM 신고
    크루즈 유저가 많네요. docsis 1.0 을 지원한다고 권봉석님께서 말씀하셨는데 교체해달라고 요구하면 교체가능할까요? 이러저러한 이유...그러니까 docsis 1.1 을 지원하고 칩셋좋은거 달린거 바꿔주라는 거라든지...두루넷 ↓댓글에댓글
  104. 104. 이효용 '02.11.9 9:34 PM 신고
    풋 너희가 dm-100을 알어? ↓댓글에댓글
  105. 105. 이성종 '02.11.9 9:43 PM 신고
    프리미엄 쓰고 있읍니다 ↓댓글에댓글
  106. 106. 권익제 '02.11.9 10:00 PM 신고
    저희집은샤크쓰는뎅...DASAN..DS-5000이라고있는뎅....이건좋은건가요? ↓댓글에댓글
  107. 107. 권익제 '02.11.9 10:00 PM 신고
    속도는엄청안나와욤....... ↓댓글에댓글
  108. 108. 권익제 '02.11.9 10:00 PM 신고
    펜티엄4쓰는뎅.....돌겠음...... ↓댓글에댓글
  109. 109. 박재현 '02.11.9 10:01 PM 신고
    일단 감사드립니다 저같은 무지인에게 이런 중요한 정보를 알게 해주시니 감사 ↓댓글에댓글
  110. 110. 박재현 '02.11.9 10:05 PM 신고
    감사를 쓰고 enter 를 치니 3,8선이 생기네요 아픔이 있네요 이사람의 무지가 이글을 보고 부랴부랴 저의 모뎀을 살펴보니 inforanger scm-110r이네요 모뎀은 임대고 하나로 라이트입니다 처음에 프리미엄 햿다가 속도 ↓댓글에댓글
  111. 111. 박재현 '02.11.9 10:07 PM 신고
    를보니 라이트하고 차이가 없드라고요 그래서 라이트로 바꿨어요 임대사 싫어서 모뎀을 살려고 청계천 갔다가 못샀어요 속도빠른 모뎀을 어디서 어떤걸로 사야하는지 갈켜주시면 감사 ↓댓글에댓글
  112. 112. 박재현 '02.11.9 10:08 PM 신고
    아니면 하나로 전화해서 모뎀 바꾸어 달라고 하면 되는지요 (어떤종류의 모뎀을 요청하죠)) ↓댓글에댓글
  113. 113. 박재현 '02.11.9 10:09 PM 신고
    이런분들 보면 존경스럽고 참 감사해요 ↓댓글에댓글
  114. 114. 박재현 '02.11.9 10:11 PM 신고
    부럽고요 저도 한때는 컴도사가 되고 싶었는데 처음에 8비트 애플 가지고 놀다가 그이후에 기회를 놓쳤어요 ↓댓글에댓글
  115. 115. 박재현 '02.11.9 10:09 PM 신고
    한마디만 하라고 했는데 쓰다보니 길어졌네요 ↓댓글에댓글
  116. 116. 박재현 '02.11.9 10:12 PM 신고
    얼마전에 1,7기가 512메가 ㅡㄹ 구해서 이제 컴초보에 들어섰습니다 ↓댓글에댓글
  117. 117. 박재현 '02.11.9 10:13 PM 신고
    마흔에 갈길은 멀고 배우고 싶은건 많고 숨이차네요 ↓댓글에댓글
  118. 118. 강병구 '02.11.9 10:57 PM 신고
    3com 케이블 모델은 docsis 1.0 만 지원하는 모양입니다. 3com 사이트를 뒤져보니 ↓댓글에댓글
  119. 119. 박재현 '02.11.9 10:14 PM 신고
    좋은날들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댓글에댓글
  120. 120. 박재현 '02.11.9 10:14 PM 신고
    한마디가 길어졌네요 ↓댓글에댓글
  121. 121. 왕종선 '02.11.9 11:01 PM 신고
    우리집은 ntopia VDSL인데 속도가 10/10 나오던데. (속도패치 안해두....) 근데 VDSL용 속도패치는 언제나오죠? VDSL도 숨겨진 속도가 있을듯 한데...... ↓댓글에댓글
  122. 122. 강병구 '02.11.9 10:58 PM 신고
    3com으로부터 구매한 MSO 들은 1.1 업그레이드 신청하라고 되어있네요. 신청자에 한해서 10월 1일 부터 업그레이드 키트를 준다나 어쩐다나. 우린 MSO 가 아니니.. ↓댓글에댓글
  123. 123. 변자영 '02.11.10 12:10 AM 신고
    이상하다....지금 DOCSIS 1.1 을 사용하는 ISP는 아무데도 없다고 하던데... 모뎀만 1.1 지원한다고 되는건 아닐건데... ↓댓글에댓글
  124. 124. 이명규 '02.11.10 12:21 AM 신고
    저도 온세 샤크쓰는데 인택2100 써요 속도 물론 9매가 이상나와죠. 근데 속도테스트는 높은데 페이지 넘어가는게 느리게 느껴지던데 그건 왜 그런거죠? xp쓰고 컴 산지 한달정도 밖에 안됐는데....의문이 생기네요. 속도테스트결과 ↓댓글에댓글
  125. 125. 이명규 '02.11.10 12:22 AM 신고
    속도테스트결과는 높은데 왜 패이지는 늦게 넘어가죠? 이건 어떻게 설명이 가능랗까요? ↓댓글에댓글
  126. 126. 강병구 '02.11.10 12:45 AM 신고
    지에도 언급되어 있었고.,, ↓댓글에댓글
  127. 127. 강병구 '02.11.10 12:45 AM 신고
    3com 케이블 모뎀 설정항목을 뒤져보니 Concatenation 항목이 disable 되어 있네요. 설정치를 건들수 없게 되어서 그렇지 기본적으론 가지고 있는 기능인듯 합니다. 언젠간 바이오스업데이트 되겠지요. 3com 홈페이 ↓댓글에댓글
  128. 128. 김동우 '02.11.10 1:20 AM 신고
    달달이 무약정이라 임대료 오천원씩 냈건만 허허. 다음 기사 기다리겠습니다.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댓글에댓글
  129. 129. 김동우 '02.11.10 1:18 AM 신고
    음 이렇게 자세히 까지는 몰랐지만 집 모뎀이 좀 구리다고는 생각을 했습니다.. 찬찬히 보니 Net&Sys 의 MGN -1000 이군요. 글 보니 이거 쓰시는 분은 없내요 허허 이렇게 까지 안좋은거였을 줄은.. ↓댓글에댓글
  130. 130. 박종한 '02.11.10 2:41 AM 신고
    야행성 날림 테크니컬 라이터라..밤에 주로 하는 나같은 사람을 말하는건가? 전에 속도가 나쁘다고 했더니 SuperLink2800으로 바꿔주던데... ↓댓글에댓글
  131. 131. 오충규 '02.11.10 4:09 AM 신고
    흐음 우선 권봉석님 추카드립니다.. 태블릿 PC 얻었다는데용 287만원짜리... 으음 베터뉴스에서 비시파크에서 활동하신다더니 정말로 열띰 활동하시는군용 화팅 그럼이만 ↓댓글에댓글
  132. 132. 김성국 '02.11.10 10:07 PM 신고
    저도 dm-100 lan8139 사용하는데 벤치비에서는 4메가 한국전산원에서는 6-7메가 나오는 ↓댓글에댓글
  133. 133. 김태영 '02.11.10 11:01 AM 신고
    저 사진의 삽은 빨간색으루 칠해져 잇는걸루 보아 방화삽입니다.. ↓댓글에댓글
  134. 134. 유재원 '02.11.10 1:14 PM 신고
    필자님 우선 AAA+ 드릴게요 또 하두 이글보고 허무해서 저의 샤크 .. 인텍 2100+E 모뎀을 해부해 보았습니다 ... 스크린 샷은 없고 칩셋에 있는 것만 적어서 보네 드릴게요 ^^... 메일좀 알려주세요 ↓댓글에댓글
  135. 135. 김태영 '02.11.10 11:02 AM 신고
    한마디로 말하면 불끄는 삽이라고 볼수있죠 모래 퍼서 끄는... ↓댓글에댓글
  136. 136. 김두진 '02.11.10 2:27 PM 신고
    모뎀의 실체를 알고.안바꿔줄려고 하더군요 우겼습니다. 보다나은 서비스를 위해 고객이 해달라면 당연히 해줘야 되는거 아닌가?.. 모뎀에 문제 없이 잘 써왔지만 바꾸면 더 좋아진다는데 지금 아무문제 없으 그냥 쓰라니 그럴순없죠 ↓댓글에댓글
  137. 137. 변재필 '02.11.10 3:03 PM 신고
    우선 저도 AAA 드리고 이사한다고 두루넷에서 받은 모델명 부터 확인하고 다시 들어와 봐야 겠네요 2부도 기대하겠습니다 ↓댓글에댓글
  138. 138. 김준기 '02.11.10 3:57 PM 신고
    저는여 두루넷 라이트 쓰는데염.... 모델명은 모토로라SB-4101 쓰걸랑여 근데 속도가 9M 왔다갔다 하던데.. 무슨 일이져? 속도 체크가 잘못 됐나? ↓댓글에댓글
  139. 139. 권봉석 '02.11.10 4:05 PM 신고
    관심을 가져주신 여러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저에게 제보사항이 있으신 분들은, sakura@bcpark.net 을 통해 제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에댓글
  140. 140. 권봉석 '02.11.10 4:08 PM 신고
    여러 경로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신 다음, 양질의 모뎀을 구입하셔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댓글에댓글
  141. 141. 권봉석 '02.11.10 4:06 PM 신고
    그리고 라이트를 사용하는데 9Mbps가 나오시는 분이라면, 그냥 얌전히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소문 내지 마시구요. 간단히 말해서 ISP에서 세팅 잘못해놓은겁니다. 그리고 모뎀을 교체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댓글에댓글
  142. 142. 권봉석 '02.11.10 4:08 PM 신고
    1. ISP에 박박 우겨서 교체받기 ( 이 방법은 최근 ISP가 이 글때문에 시달리는 바람에 잘 안될 확률이 높습니다 ) 2. 모뎀 자급제를 통해 구입하기 (이 방법이 좀 더 현실성이 있고, 모뎀 임대료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댓글에댓글
  143. 143. 지승재 '02.11.10 10:40 PM 신고
    나왔던 사랑도 있습니다.. 그러다가 삼성 인가 그 모댐으로 바꾸면서 작년에 방배 2동으로 이사를 왔죠 ^^ 속도 더럽게 안나오다가 모토로라 서프보드 4100쓰는데 초당 1.2메가 나옵니다..^^ 방배동쪽은 속도가 거의 잘나오죠. ↓댓글에댓글
  144. 144. 지승재 '02.11.10 10:43 PM 신고
    아참... 그리고... 제가 구라는 친다고 생각하시는분은 -_- 참고로 저는 속도 패치가튼거 안해요.. 안해도 잘나오니깐 ^^; 암튼 chises@korea.com 이걸로 메일 보내시면 자료 보내드리죠 ^^ ↓댓글에댓글
  145. 145. 지승재 '02.11.10 10:42 PM 신고
    그래서.. 아직가지.. 초당 5메가를 못넘는다는말.. 솔직히 못믿겠던데.. ㅡ.ㅡ;; 쩌업.. 암튼 글쓰신분.. 참 연구 많이 하셧군요 화이팅 ↓댓글에댓글
  146. 146. 박중열 '02.11.10 11:28 PM 신고
    얼마전까지 scm 120r 가지고 1.2MB/s 사용했었는데 말도 안돼 ↓댓글에댓글
  147. 147. 김우철 '02.11.11 12:15 AM 신고
    모뎀도 지역특성을 탄답니다. 아무리 좋은 모뎀도 엿같은 지역에 걸리면 아무소용 없지요 ↓댓글에댓글
  148. 148. 정경택 '02.11.10 11:50 PM 신고
    저는 모토로라 SB4100 케이블 쓰는데요...(WINDOWS XP) 10MB 나오는뎅..빠른건가요? 느린건가요? ↓댓글에댓글
  149. 149. 정경택 '02.11.10 11:50 PM 신고
    아...10MB조금 안된다..9.XXMB.. ↓댓글에댓글
  150. 150. 김우철 '02.11.11 12:23 AM 신고
    제 생각에는 속도패치, 모뎀교체 이런것 보다 A/S 기사 불러서 DB값 측정해서 최대한 0db에 맞추는게 날것같은데요. 지금 사용하시는 모뎀 모두 장단점이 있습니다. ISP에서 모뎀업체를 선정할때 엄청나게 많은 전문가와 많은 ↓댓글에댓글
  151. 151. 김우철 '02.11.11 12:22 AM 신고
    그리고 위에 말씀하신 기능 말인데요.. 작은 패킷을 모아서 IP 헤더에 대한 부하를 줄이는 기능인가요? 모뎀이 얼마나 대단하데 나가는 패킷 모두 까서 보고 다시 재조립해서 보냅니까?? 그러면 오버로드가 더 걸리지 않을까요? ↓댓글에댓글
  152. 152. 김우철 '02.11.11 12:28 AM 신고
    인텍모뎀이라고 아무지역이나 최고에 성능을 발휘하지는 못합니다. ↓댓글에댓글
  153. 153. 김우철 '02.11.11 12:26 AM 신고
    시간을 투자해서 성능테스트를 진행하죠.. 각 모뎀마다 약간의 특성차이로 인해 어떤 모뎀은 높은 db값에 잘 맞고 또 어떤 모뎀은 낮은 db값에 최적화된 성능을 발휘합니다. ↓댓글에댓글
  154. 154. 권봉석 '02.11.11 12:43 AM 신고
    Downstream dB값을 0dB에 맞춘다...라. 위의 벤치마크 테스트를 수행한 환경에서, Downstream 레벨값이 8dB나왔습니다. 매우 양호한거죠. ↓댓글에댓글
  155. 155. 김우철 '02.11.11 12:29 AM 신고
    좀더 정확한 정보 부탁드립니다...그럼 ↓댓글에댓글
  156. 156. 권봉석 '02.11.11 12:44 AM 신고
    저 상황에서 삼성 인포레인저 SCM-110R을 어렵게 구해서 3dB, 6dB, 10dB Attenuator 들고 나가서, 억지로 레벨값 깎은 다음에 테스트해봤습니다. 결과는 아시다시피, Downstream 속도 향상은 ↓댓글에댓글
  157. 157. 권봉석 '02.11.11 12:56 AM 신고
    저 컨캐터네이션은 김우철님이 말씀하시는 그런 개념이 아닙니다. 저도 DOCSIS 1.1 Spec을 깊게 들여다보지는 않았지만, 일일이 IP 패킷 까보는 그런 무식한(?) 방식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에댓글
  158. 158. 권봉석 '02.11.11 12:48 AM 신고
    ISP 내부의 CMTS에 모뎀을 직접 물리고(당연히 dB값 초 양호겠죠), 여러 종류의 모뎀을 모두 붙여서 테스트한 결과. 컨캐터네이션 지원하지 않는 모뎀들만 죄다 속도가 안나왔습니다. 이것은 과연 어떻게 설명해야할지요. ↓댓글에댓글
  159. 159. 권봉석 '02.11.11 12:48 AM 신고
    미미한 대신 U/S 속도가 대폭 깎여버리더군요. DM-100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리고 제가 입수하고 있는 자료중, 정말 여러 사정상 공개할 수 없는 某 ISP의 모뎀 BMT 자료도 있는데. ↓댓글에댓글
  160. 160. 권봉석 '02.11.11 12:55 AM 신고
    기타 다른 자료를 통해서도 검증된 사실입니다. 만약 컨캐터네이션때문에 모뎀에 부하가 걸린다면 왜 DOCSIS 1.1 규격에 이 기능을 집어넣었을까요. ↓댓글에댓글
  161. 161. 권봉석 '02.11.11 12:53 AM 신고
    더 이상 떠들었다가는 무슨 불상사가 생길 지 알수 없기 때문에 이 이상 말씀 드리지 못하는것이 한스럽지만, 컨캐터네이션을 지원하는 모뎀과 지원하지 않는 모뎀의 속도차이가 현저한것은 비씨파크측에서 실시한 자체 검증 말고도, ↓댓글에댓글
  162. 162. 김우철 '02.11.11 1:10 AM 신고
    음... 제가 잘 모르고 글을 올려서 심기가 불편하신건 아닌지...죄송 ↓댓글에댓글
  163. 163. 김우철 '02.11.11 1:11 AM 신고
    제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은 다른게 아니라... 네트웍이라는건 잘 아시게 ↓댓글에댓글
  164. 164. 김우철 '02.11.11 1:12 AM 신고
    지만 장애가 발생하면 어디 한군데 딱 집어서 "이곳에 장애가 발생했습니다"라고 말하기 힘들다는거죠. ↓댓글에댓글
  165. 165. 김우철 '02.11.11 1:13 AM 신고
    특히 케이블 모뎀 특성상 각종 잡음및 회선상태 지역 트래픽 모두 무시하고 딱 집어서 모뎀 문제입니다 라고 말을 못한다는 거죠. ↓댓글에댓글
  166. 166. 김우철 '02.11.11 1:19 AM 신고
    참고로 저는 여러 ISP BMT 많이 참여 했죠!!! ↓댓글에댓글
  167. 167. 조성환 '02.11.11 1:41 AM 신고
    dm100 8139 입니다 395버젼으로 하니까 7m 나오는데요? ↓댓글에댓글
  168. 168. 김우철 '02.11.11 1:16 AM 신고
    이곳 분위기상 속도저하는 모뎀 문제다 라고 흐르는것 같아서 하는 애기입니다. ↓댓글에댓글
  169. 169. 이성진 '02.11.11 1:59 AM 신고
    저기 위에 나오는 삽은 군대에서 쓰는 삽아닌가여? 그니까 건물옆에다가 걸어놓는거 일반적으로 회사에서는 빨간삽을 안쓰거든여 돈아깝구 빨간새긍로 칠해봐야 알아먹는 사람도 없구 ↓댓글에댓글
  170. 170. 정혁 '02.11.11 2:08 AM 신고
    저....이런말 해도 돼나..몰겠는데....케이블만 상관이 있나요??울집은...에데쎌..라이튼데.. ↓댓글에댓글
  171. 171. 조성환 '02.11.11 1:41 AM 신고
    역시 그래도 딴모뎀이 낫겠죠? ↓댓글에댓글
  172. 172. 임백수 '02.11.11 7:17 AM 신고
    저는 크루져 HCM-1000 쓰는데요. 여기에는 UCM 모델밖에 없네요. 제 모뎀의 정체는 무엇인가요..ㅜ_ㅜ ↓댓글에댓글
  173. 173. 조용두 '02.11.11 12:15 PM 신고
    저두 두루넷 프리미엄을 사용하고 있는데, 가끔가다가 최대속도 3M 평소에는 1M이상임돠. ↓댓글에댓글
  174. 174. 조용두 '02.11.11 12:17 PM 신고
    벌써 3년째 쓰고있는데 모뎀은 세번 바꿨구여, 암튼 전 이번에 지역 케이블모뎀으로 바꿀려구생각중인디,한달에 45000원씩 내면서 더이상 이렇게는 못쓰겟어여 ↓댓글에댓글
  175. 175. 김태환 '02.11.11 12:18 PM 신고
    저는 지역케이블모뎀을 쓰는데여..경기케이블이라구..거기서 쪼까난 모뎀을 달아주던데...구거는..어캐 되는지??바꿔단지..2달정도...됐는데...속도가 300정도 뿐이 안나와영..쩝..씨댕..잘나와두 순간400인데... ↓댓글에댓글
  176. 176. 김태환 '02.11.11 12:20 PM 신고
    저두 담에...모뎀 뜨더서 칩셋확인하구..필자님께 멜드리꼐여..!!확인 부탁드림 ↓댓글에댓글
  177. 177. 김태환 '02.11.11 12:19 PM 신고
    ㅡ,.ㅡ;;전에는 삼성을 썼는데여...삼성것이나..이거나..별루인듯..쩝..그쪽 서버가 구린건지;;ㅇ ㅔㅎ ㅕ..모뎀 바꾸면 나아지려나... ↓댓글에댓글
  178. 178. 조재범 '02.11.11 2:59 PM 신고
    흐음..무약정 쓰던 거 끊으면 1.1을 하드웨어적으로 지원하는 모뎀으로 바꿔야 하겠군요..안 주면.. 계약 안 할거야 =ㅅ=;;(속도 느린거 꿋꿋이 참은 시간이 아깝군..) ↓댓글에댓글
  179. 179. 전봉식 '02.11.11 1:03 PM 신고
    제 경험으로는 계속 AS요청하는 겁니다. 그러면 귀찮아서라도 좋은것 달아주던데? ↓댓글에댓글
  180. 180. 염상욱 '02.11.11 3:24 PM 신고
    정말 열심히 하셨네요... 그 노력 칭찬하고 싶습니다. ↓댓글에댓글
  181. 181. 오재욱 '02.11.11 5:46 PM 신고
    저는 아무말도 못하겠네요 다운속도가 60k정도밖에는 되지 않아서 ↓댓글에댓글
  182. 182. 최종국 '02.11.11 8:54 PM 신고
    지는 사이버써퍼시리즈 쓰다가 오늘 기사졸라서 SB4100으로 바꿨는데 큰차이를 못느낍니다. sb4100은 컨게터네이션 1.1을 지원하는가여?? ↓댓글에댓글
  183. 183. 염일묵 '02.11.11 9:31 PM 신고
    여기는 인천 중구 유선방송사에서 제공하는 인터넷을 쓰는데요지금 한국전산원속도 재보니 다운로드 10.8mbps 업807kbps입니다보통10mbps이상나오고 느리면8mbps정도나오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자랑이 아니라 아시는 없습니까 ↓댓글에댓글
  184. 184. 이종철 '02.11.12 5:57 AM 신고
    약간의 의문이 생깁니다. 어떻게 5.4메가라고 단정할 수 있는지요 패킷을 묶어보내지 않는 최대속도인가여? 원래tcp/ip구조에 의해 패킷단위로 전송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 ↓댓글에댓글
  185. 185. 염일묵 '02.11.11 9:37 PM 신고
    참고로 1.6기가 xp쓰고 모뎀은surfboard sb4100 전에 두루넷쓸때는 3~5정도속도박에 안나왔거는요 ↓댓글에댓글
  186. 186. 김종관 '02.11.12 11:42 AM 신고
    시샵의 의견중에 인터넷사업해서 흑자나는 기업은 한 곳도 없습니다. 두루넷이 흑자나면 가장 돈되는 사업인 기업전용선을 sk에 팔았겟어요. 그리고 파워콤망 임대해서 쓰는 지역도 있다는 것은 다들 아시죠. 지금까지 파워콤 임대료를 제 ↓댓글에댓글
  187. 187. 김종관 '02.11.12 11:47 AM 신고
    대로 못 내서 자가망 파워콤에 팔고 있는것도 아시나 모르겠네여. 그리고 모뎀과 인터넷 속도는 서로 관련은 있읍니다. 그렇지만 절대적이진 않아요. 모뎀. 컴퓨터. isp가 궁합이 맞아야 되는것같읍니다. 자기에게 잘 맞는 인터넷을 ↓댓글에댓글
  188. 188. 송원석 '02.11.12 2:39 PM 신고
    이 파일 저장해놓고 볼려면 확장자명이 pda이던데요 이건 뭐로 봐야하죠?? ↓댓글에댓글
  189. 189. 권봉석 '02.11.12 3:07 PM 신고
    PDF 파일은 어도비사의 아크로뱃 리더로 읽으실수 있고, http://www.adobe.com 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에댓글
  190. 190. 김종관 '02.11.12 11:48 AM 신고
    쓰려면 이것저것 써보는 수밖에 없고요. 이것저것도 안되면 전용선 써야죠. ↓댓글에댓글
  191. 191. 김민 '02.11.13 7:08 PM 신고
    두루넷 흑자 확실합니다 -_- 예전에 www.korea.com 도메인 인수 하고 그담에 그 둘이 갈라진게... 자금난의 원인이죠.... 그래서 sk에 기업전용선 팔은듯.... ↓댓글에댓글
  192. 192. 김모르 '02.11.12 4:56 PM 신고
    봉석님 다음글 기대기대기대^^;속이 확뚤리네욥^^; ↓댓글에댓글
  193. 193. 이현호 '02.11.14 9:42 AM 신고
    이글보고 바로 하나로 CS에 글올리고 전화통화 했습니다.. 서비스 센터에서 보유중인 것중에 젤 좋을걸루 해준다고 하네요.. 과연.. 좋은것일지.. 결과나면 글올리죠.. ↓댓글에댓글
  194. 194. 김철우 '02.11.14 2:44 PM 신고
    근데여... 4100이랑 4101이랑 많이 틀린가여? 제꺼는 sb-4100인데 칩셋설명에서는 4101만 있네요... ↓댓글에댓글
  195. 195. 이현호 '02.11.14 9:11 PM 신고
    바껏습니다. Inter-2000 으로 바꺼 주더군요.. 속도 테스트(패치안함) 하니깐.. 0.2Mb씩올라가는군요.. 측정할때마다.. 핑은 삼성만 못합니다만.. 그래도 이게 어딥니까.. 그럼 이만.. ↓댓글에댓글
  196. 196. 변성동 '02.11.14 9:35 PM 신고
    일단 훌륭한 글 감사 드립니다!!! ↓댓글에댓글
  197. 197. 유택근 '02.11.14 8:11 PM 신고
    총알은 멀리가면 떨궈 지지 않나? ↓댓글에댓글
  198. 198. 유진상 '02.11.15 12:53 PM 신고
    ㅇ ㅏ무리 봐도 우진 인텍 2100+ 에 대한 예긴 없네요. 인텍2000 이랑은 다르겠죠?? 홈페이지 찾아 가 봐도 잘 모르겠고.. ㅡㅡ;; 누가 시원한 대답좀 해 줄수 없나요?? ↓댓글에댓글
  199. 199. 박태영 '02.11.16 10:36 AM 신고
    흑...ㅠ.ㅠ 전. ..이제 케이블 모뎀 사용한지 3년 지나서 임대료 안내거든요..삼성 scr-100사용중이거든요 ↓댓글에댓글
  200. 200. 김원선 '02.11.16 3:35 PM 신고
    저는 두루넷 프리미엄 .. 모뎀 DM-100 .. 하하.. 예전에 아무리 패치해도 5메가 못넘었는데 이런이유였군요... 근데 리뷰에서 리어텍 3.95 하면 된다고 해서 하고 한국 전산원에서 봤더니 8메가 ...-_-;;; ↓댓글에댓글
  201. 201. 박태영 '02.11.16 10:37 AM 신고
    전 어케 하져....케이블 모뎀 살려니 어차피 임대료는 안내니까..거금 10만원을 투자할순 없구..에효..박박 우겨서 바꾸자니...임대료 안내는 놈 바꿔줄리두 없구.. ↓댓글에댓글
  202. 202. 김원선 '02.11.16 3:35 PM 신고
    언젠가 이 비밀이 밝혀 지겠죠.. DM-100모뎀과 리얼택 랜카드의 조화... ↓댓글에댓글
  203. 203. 김원선 '02.11.16 3:36 PM 신고
    글구 모뎀과 랜카드 조화 이룬다음에 어떤분이 울트라 패치 하면 좋다고 해서 해봤는데 별다른 변화 없더군요 오히려 조금 느려진듯 -_-;;; 걍 비씨파크 속도패치나ㅎㅎ ↓댓글에댓글
  204. 204. 지성덕 '02.11.16 4:17 PM 신고
    맙소사 (`0`) 엔터치니까 짤리네여 ^^;;; 일단 모뎀에 대해서 이해는 합니다 허나 위에 글을 쓰시는 분들중에 제가 말씀을 드려 줄수 있는게 있는거같아서 몇자 적습니다 ↓댓글에댓글
  205. 205. 지성덕 '02.11.16 4:14 PM 신고
    흠..... 일단 운영자님에게 감사에 말씀을 전하면서 고생하셨어여 (__*)(--*) 음... ↓댓글에댓글
  206. 206. 왕종선 '02.11.16 4:22 PM 신고
    아 여러분~~~ 모뎀 속도에 너무 연연하지 마세요. 공유나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 같은것을 제외하고는 인터넷이나 여러가지는 모뎀의 속도보다는 CPU가 더 중요하답니다. 아무리 인터넷속도가 10이상이라도 CPU가 딸리면 ↓댓글에댓글
  207. 207. 지성덕 '02.11.16 4:22 PM 신고
    모뎀이 좋은데 속도가 안나오는것은 하나로,두루넷,샤크.등은 파워콤 한국전력등에게 선로를 임대하여 사용하는회사들입니다 산골이나 도시에 외곽은 선로의 종점이있습니다 그 선로 에 끝에 계신분들 또는 유저들이 밀집된지역등등... ↓댓글에댓글
  208. 208. 왕종선 '02.11.16 4:23 PM 신고
    당연히 느린것은 어쩔수없죠. 특히 웹페이지 로드같은것이나 온라인게임같은것은 CPU가 상당히 중요하다는...... ↓댓글에댓글
  209. 209. 왕종선 '02.11.16 4:27 PM 신고
    컴터 사항이 낮은분들은 모뎀속도를 따지기 전에 자신의 컴터 사항부터 따져보세요. ↓댓글에댓글
  210. 210. 왕종선 '02.11.16 4:24 PM 신고
    즉 컴퓨터 사항과 모뎀의 속도가 잘 비례해야지만 쾌적하고 빠르게 인터넷/통신을 즐길수 있답니다. ↓댓글에댓글
  211. 211. 지성덕 '02.11.16 4:27 PM 신고
    에서는 아무리 모뎀이 좋아두 속도가 떨어지는 곳이 있습니다 물론 안그런곳두 있지만 ..제가 이렇게 말씀을 드리는거는 제가 현제 하는일이 그거거든여..모뎀 좋아두 속도 안나오는거는 각회사 직원분들이 열심히 노력중일꺼에여 ↓댓글에댓글
  212. 212. 지성덕 '02.11.16 4:29 PM 신고
    계속 짤리네 --;; 암튼 정 안돼시는 분들 한통을 사용해보세여 한통 충남 천안에서 vdsl시험했을떄 up 80m dw 80m 죽이더라구여 ↓댓글에댓글
  213. 213. 왕종선 '02.11.16 4:32 PM 신고
    이런 자질구레한것들을 일일이 따져갔다가는 시간만 허비하고 화병걸리는게 아닌지...... 흠 좋은컴퓨터는 생활을 바꿔준다고 하던데 전 그말에 동의해요. 물론 좋은컴퓨터일수록 좋은 모뎀같은게 필요하겠지만 ㅋㅋ ↓댓글에댓글
  214. 214. 왕종선 '02.11.16 4:37 PM 신고
    아 글구 덧붙이자면 측정상 나오는 속도는 파일의 업/다운을 제외하고는 생활하다보면 거의 차이를 못느끼실껍니다. 제가 그렇거든요. 흠 파일공유할려면 속도가 가장 중요하겠지만 그 외에는 거의 차이를 느끼기 힘든....... ↓댓글에댓글
  215. 215. 왕종선 '02.11.16 4:37 PM 신고
    아무튼 전 이만 물러날께요. 빨리 FITH나왔으면 좋겠다. ↓댓글에댓글
  216. 216. 최일석 '02.11.16 10:26 PM 신고
    데이콤 보라홈넷 쓰는데 모뎀이 dx111이라고 써있는데 절라리 오래된것같거든요 어느회사껀지 알수있을까요? 꼭 부탁드립니다. ↓댓글에댓글
  217. 217. 허정남 '02.11.17 12:49 PM 신고
    Net&Sys의 Mng-2005를 쓰는 사용자 입니다. 3달전에는 MNG-1000을 쓰다가 모뎀이 작동을 안하는 바람에 교체를 받게됐습니다. 지금은 하나로 프로를 쓰고 있어서 그런지 속도가 8메가 이하로 내려가질 않습니다. ↓댓글에댓글
  218. 218. 양해든 '02.11.17 11:01 AM 신고
    하루하루가 짜증나요 ↓댓글에댓글
  219. 219. 안태훈 '02.11.19 1:35 AM 신고
    샤크 Net&Sys의 Mng-2005 모뎀사용합니다..8.5메가 나옵니다..설명할수잇나요 ↓댓글에댓글
  220. 220. 조성용 '02.11.18 7:03 PM 신고
    두루넷 인텍 2000 모뎀 쓰는데 423218 cps 나오는건.. 괜찮은건가요?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